|
고금리에 이자 부담이 커진 카드사들이 지난해 카드채 등 여신전문채권(여전채) 비중을 줄이고 외화채‧자산유동화증권(ABS) 등으로 자금 조달처를 다변화하고 있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8개 전업 카드사의 지난해 자금조달실적에서 여전채가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56.61%로 2021년(66.7%)에 비해 10% 이상 축소됐다.
은행과 달리 수신기능이 없는 카드사들에게 여전채는 자금 조달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자금조달원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고금리 장기화로 카드사의 차환 부담이 가중되면서 입지가 갈수록 좁아지고 있다. 이달 4일 기준 여신전문채권(여전채) 금리는 3.674%로 안정을 찾아가는 모습이지만, 올 상반기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카드채(6조759억 원) 중 64% 가량은 평균 1.86% 금리로 조달됐다. 금리가 6%에 육박했던 단기물의 경우 차환 비용이 줄어들 수 있지만, 장기물은 이전보다 2%포인트 이상 높은 금리를 줘야 하는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금리 부담이 큰 현 상황에서 카드사가 3년물 이상 장기채를 발행하면 3년 간 상당히 높은 이자를 지급해야 한다”며 “향후 카드채 금리가 내려가면 그 때 채권 발행을 하는 게 이익이다”고 설명했다.
카드업계는 자금 조달처를 넓히는 전략으로 대응하고 있다. 올 1월에 6억 달러 규모의 외환 ABS를 발행한 삼성카드가 대표적인 사례다. ABS는 매출채권을 담보로 발행하기 때문에 여전채보다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카드사 건전성 지표인 레버리지 배율 조절에 유리한 신종자본증권도 주요 조달처로 부상하고 있다. KB국민카드가 지난달 업계 최초로 공모방식을 통한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했고, 롯데카드는 지난달 사모 방식을 통해 연 6.2%의 표면이자율로 1700억 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을 찍었다. 현대카드도 올 2월 신종자본증권 1400억 원을 5.56%의 금리로 1200억 원과 200억 원 규모로 두 번 발행했다.
업계 관계자는 “채권 만기 도래를 감안했을 때 특정 조달 수단에 너무 편중이 돼 있으면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며 “리스크 분배 차원에서 자금 조달처를 다변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