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美 금리 인하, 日 인상 베팅…개미 ‘엔화 미국채 ETF’ 1500억 싹쓸이

서울경제 조회수  

美 금리 인하, 日 인상 베팅…개미 '엔화 미국채 ETF' 1500억 싹쓸이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가 지난 19일 도쿄 일본은행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금리 인상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도쿄 AFP=연합뉴스

국내 개인투자자들이 이달 들어 엔화로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일본의 헤지(위험 분산)형 상장지수펀드(ETF)를 1500억 원 가까이 쓸어 담고 나섰다. 미국이 올해 세 차례 금리 인하를 시사한 가운데 일본이 17년 만에 마이너스 금리 탈출을 선언하자 채권 가격 상승과 환차익을 동시에 겨냥한 투자가 급격하게 늘어나는 양상이다.

28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는 이달 들어 27일까지 ‘아이셰어즈 20년 이상 미국 국채 엔화 헤지 ETF’를 9952만 8995달러(약 1340억 원), ‘아이셰어즈 코어 7-10년 미국채 엔화 헤지 ETF’를 1013만 7919달러(약 136억 원)씩 사들여 나란히 일본 주식 순매수 상위 1·2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들 ETF는 모두 엔화로 중장기 미국채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이들은 특히 이달 국내 투자자의 전체 해외 주식 순매수 순위에서도 7위, 43위를 기록해 미국이 아닌 나라의 종목으로 50위 안에 드는 기염을 토했다. 국내 투자자들이 올 들어 27일까지 두 ETF를 사들인 금액만 각각 2억 7430만 4647달러, 2369만 1511달러에 달해 3개월이 채 안 돼 지난해 연간 순매수액 60%를 넘어섰다.

매수세가 연일 몰리면서 아이셰어즈 20년 이상 미국 국채 엔화 헤지 ETF의 국내 투자자 보관 금액도 지난달 29일 5억 8470만 3678달러에서 이달 26일 6억 7773만 3997달러로 9303만 319달러(약 1253억 원)나 늘었다. 같은 기간 아이셰어즈 코어 7-10년 미국채 엔화 헤지 ETF의 보관 금액도 4817만 5185달러에서 5783만 4267달러로 965만 9082달러(약 131억 원) 더 증가했다. 아이셰어즈 20년 이상 미국 국채 엔화 헤지 ETF와 코어 7-10년 미국채 엔화 헤지 ETF의 올해 보관 금액 총증가분 1억 9409만 7151달러, 1865만 4203달러 가운데 절반가량이 각각 3월에만 몰렸다.

美 금리 인하, 日 인상 베팅…개미 '엔화 미국채 ETF' 1500억 싹쓸이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 연합뉴스

개인들이 해당 ETF를 최근 집중 매수하는 것은 미국의 금리 인하와 일본의 금리 인상을 모두 염두에 두고 선제 투자에 나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통상적으로 미국이 기준금리를 내리면 채권 이자도 함께 내려가 해당 ETF가 투자하는 미 국채 가격은 오르게 된다. 여기에 일본이 금리를 올리면 원화 대비 엔화 가치가 비교적 상승할 수 있어 ETF 투자금 회수 때 환차익까지 얻게 된다. 앞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이달 20일(현지 시간) 연내 세 차례 금리 인하 전망을 유지한 바 있다. 또 일본은행은 19일 금융정책결정회의를 통해 2007년부터 유지했던 마이너스 금리를 종료하고 단기 금리를 0~0.1% 수준으로 인상하기로 했다.

전균 삼성증권 연구원은 “미국 금리 인하 기대와 일본 통화정책 변경에 대한 기대가 증폭하고 있다”며 “아직까지 엔화와 미국채가 모두 약세인 만큼 저가 투자 수요가 계속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서울경제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AI 추천] 랭킹 뉴스

  • 구글, 보급형 스마트폰 '픽셀 8a' 공식 출시
  • 尹대통령 “부총리급 ‘저출생대응기획부’ 신설…교육·노동·복지 등 사회부처 이끌게 할 것”
  • ‘나혼산’ 안재현+안주=76.55kg, 다이어트 시작 “결전의 날이 왔다"
  • 현대차 美 합작사 모셔널, 인력 줄이고 자율주행 상용화도 연기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 윤 대통령 "국민소득 5만달러 꿈 아냐…복지·시장정책 하나로"

[AI 추천] 공감 뉴스

  • 현대차 美 합작사 모셔널, 인력 줄이고 자율주행 상용화도 연기
  • KAMA, '제21회 자동차의 날' 개최…“中 대응 미래차 전환 서두르자”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 ‘나혼산’ 안재현+안주=76.55kg, 다이어트 시작 “결전의 날이 왔다"
  • 플랫폼·콘텐츠 고르게 성장한 카카오…'카카오톡'·'AI' 주력
  • 현대모비스, 울산 전기차 부품공장 만든다...900억원 투자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비싸도 어차피 사줄거잖아” 대안 없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양산 임박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 “그랜저 괜히 샀네” 신형 혼다 어코드, 더 날렵해진 디자인 공개
  • “람보르기니보다 빠른 아우디?” 640마력 RS Q8 퍼포먼스로 판매 부진 이겨낼까?
  • “사자마자 구형된 내 차” 싸서 샀더니 뒤통수 맞는 중국차 근황
  • “전기 VS 디젤 픽업” 무쏘 EV와 타스만, 국내 픽업 트럭 강자가 될 자는 누구인가?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트럼프 관세·정국 불안'...기업 외화예금 2년만 최대 증가

    뉴스 

  • 2
    “너무 춥다” 이승우 작심 발언, 추춘제 전환 제동?

    스포츠 

  • 3
    “이번 겨울 마지막 눈꽃”… 눈부신 설경을 자랑하는 국내 여행지

    여행맛집 

  • 4
    K-배터리, 3대 리스크 돌파 혁신 쇼케이스…5일 ’인터배터리 2025’ 개막

    뉴스 

  • 5
    크래프톤 '블라인드스팟', 실내서 펼치는 CQB의 묘미... 배그 바통 이을까

    차·테크 

[AI 추천] 인기 뉴스

  • 구글, 보급형 스마트폰 '픽셀 8a' 공식 출시
  • 尹대통령 “부총리급 ‘저출생대응기획부’ 신설…교육·노동·복지 등 사회부처 이끌게 할 것”
  • ‘나혼산’ 안재현+안주=76.55kg, 다이어트 시작 “결전의 날이 왔다"
  • 현대차 美 합작사 모셔널, 인력 줄이고 자율주행 상용화도 연기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 윤 대통령 "국민소득 5만달러 꿈 아냐…복지·시장정책 하나로"

지금 뜨는 뉴스

  • 1
    [미리보는 MWC25]〈2〉텔코에서 테크코로 진화…AI 혁신 이끄는 통신사

    차·테크 

  • 2
    [콘텐츠&피플] 고기호 음공협 부회장, “K팝 글로벌화, 업계 '부익부 빈익빈' 해결해야”

    연예 

  • 3
    예스 24, 문학의 향기를 담은 디퓨저 컬렉션 선봬

    여행맛집 

  • 4
    “덕분에 살아있다”…라면 1개 외상한 실직 청년, 몇달 뒤 건넨 봉투 깜짝

    뉴스 

  • 5
    신동엽이 인증한 '화깨수', 누적 판매 150만개 돌파 'MZ세대 인기'

    뉴스 

[AI 추천] 추천 뉴스

  • 현대차 美 합작사 모셔널, 인력 줄이고 자율주행 상용화도 연기
  • KAMA, '제21회 자동차의 날' 개최…“中 대응 미래차 전환 서두르자”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 ‘나혼산’ 안재현+안주=76.55kg, 다이어트 시작 “결전의 날이 왔다"
  • 플랫폼·콘텐츠 고르게 성장한 카카오…'카카오톡'·'AI' 주력
  • 현대모비스, 울산 전기차 부품공장 만든다...900억원 투자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비싸도 어차피 사줄거잖아” 대안 없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양산 임박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 “그랜저 괜히 샀네” 신형 혼다 어코드, 더 날렵해진 디자인 공개
  • “람보르기니보다 빠른 아우디?” 640마력 RS Q8 퍼포먼스로 판매 부진 이겨낼까?
  • “사자마자 구형된 내 차” 싸서 샀더니 뒤통수 맞는 중국차 근황
  • “전기 VS 디젤 픽업” 무쏘 EV와 타스만, 국내 픽업 트럭 강자가 될 자는 누구인가?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추천 뉴스

  • 1
    '트럼프 관세·정국 불안'...기업 외화예금 2년만 최대 증가

    뉴스 

  • 2
    “너무 춥다” 이승우 작심 발언, 추춘제 전환 제동?

    스포츠 

  • 3
    “이번 겨울 마지막 눈꽃”… 눈부신 설경을 자랑하는 국내 여행지

    여행맛집 

  • 4
    K-배터리, 3대 리스크 돌파 혁신 쇼케이스…5일 ’인터배터리 2025’ 개막

    뉴스 

  • 5
    크래프톤 '블라인드스팟', 실내서 펼치는 CQB의 묘미... 배그 바통 이을까

    차·테크 

지금 뜨는 뉴스

  • 1
    [미리보는 MWC25]〈2〉텔코에서 테크코로 진화…AI 혁신 이끄는 통신사

    차·테크 

  • 2
    [콘텐츠&피플] 고기호 음공협 부회장, “K팝 글로벌화, 업계 '부익부 빈익빈' 해결해야”

    연예 

  • 3
    예스 24, 문학의 향기를 담은 디퓨저 컬렉션 선봬

    여행맛집 

  • 4
    “덕분에 살아있다”…라면 1개 외상한 실직 청년, 몇달 뒤 건넨 봉투 깜짝

    뉴스 

  • 5
    신동엽이 인증한 '화깨수', 누적 판매 150만개 돌파 'MZ세대 인기'

    뉴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