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의 지식재산권 무역수지 흑자 규모가 연간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저작권 흑자 폭이 확대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2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지재권 무역수지 흑자는 1억8000만 달러로 연간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산업재산권 적자 폭이 축소된 가운데 저작권 흑자 폭이 확대되면서 흑자 전환한 것으로 한은은 분석했다.
지재권 무역수지를 유형별로 보면 산업재산권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지난 2022년 26억2000만 달러에서 지난해 18억6000만 달러로 축소됐다.
저작권의 흑자 규모는 같은 기간 17억4000만 달러에서 22억1000만 달러로 확대됐다.
산업재산권 중 특허 및 실용실안권 적자 규모는 18억5000만 달러에서 7억 달러로 축소됐다. 자동차, 2차전지 관련 해외 현지법인에 대한 수출이 증가한 영향이다.
상표 및 프랜차이즈권 적자는 6억5000만 달러에서 11억7000만 달러로 늘어났다. 해외 라이센스 의류와 잡화 브랜드 수입이 증가하면서다.
저작권 중 문화예술저작권은 8억8000만 달러에서 11억 달러로 증가했다. 이는 연간 기준 역대 최대 흑자 규모다.
이중 음악·영상 저작권의 흑자는 7억8000만 달러에서 9억5000만 달러로 늘어났다. 국내 엔터테인먼트사의 수출이 증가하면서 연간 기준 흑자 폭 1위를 기록했다.
연구개발 및 SW 저작권도 8억6000만 달러에서 11억1000만 달러로 흑자 규모가 확대됐다.
연구개발 및 SW 저작권의 경우 컴퓨터프로그램의 적자 폭이 22억1000만 달러에서 21억2000만 달러로 축소됐다. 데이터베이스의 흑자 규모는 29억8000만 달러에서 31억 달러로 늘었다.
기관 형태별로 보면 국내 대기업의 흑자 규모는 40억5000만 달러에서 60억7000만 달러로 확대됐다. 특허권, 상표권, 소프트웨어 저작권 수출이 증가하면서 연간 기준 역대 최대 흑자를 기록했다.
반면 국내 중소·중견기업은 7억5000만 달러 흑자에서 3억3000만 달러로 적자 전환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은 27억7000만 달러 흑자를 냈지만, 서비스업은 27억1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거래 상대방 국가별로는 영국(-32억3000만 달러)과 미국(-20억9000만 달러) 등에서 적자를 보인 반면 중국(25억2000만 달러)과 베트남(13억6000만 달러) 등에서 흑자를 기록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