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가오는 미국 대선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재대결이 예고된 가운데 두 사람과 관련된 각종 수혜주에 관심이 뜨겁다. 특히 미국에 대한 국내 기업들의 의존도가 크다는 점에서 경선 과정에서 나오는 정책에 따라 국내 증시도 영향을 받을 것이란 분석이다.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국내 수혜 종목으로는 신재생에너지 기업인 한화솔루션·씨에스윈드·두산퓨얼셀 등에 관심이 쏠린다. 헬스케어 산업을 영위하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등도 주목 받고 있다. 이는 바이든 대통령이 임기 동안 환경 정책을 강조해 온 만큼, 연임 시에도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기반으로 동일한 정책 기조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 때문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해선 방산·전통에너지·필수소비재 등의 업종이 수혜주로 부각되고 있다. 국내에선 한화에어로스페이스·LIG넥스원·현대로템·GS칼텍스·현대오일뱅크 등의 기업이 있다.
1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해 11월에 치러질 미국 대선에서 바이든 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결 구도가 사실상 확정되면서 친환경에너지·헬스케어·인프라·방산·전통에너지·필수소비재 등이 수혜주로 부상하고 있다.
미국 현지에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두 사람 간의 지지율 격차는 단 1%포인트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누구하나 우세하다고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두 사람과 관련된 수혜주들 전부에 관심이 쏠릴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올 하반기 금리 인하에 힘이 실리는 것과 더불어 양당 대표 정책들도 구체화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향후 수혜주 중심으로 수급이 집중될 것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양당의 최종 후보 확정 및 구체적인 공약은 7~8월에 예정된 전당대회에서 공식적으로 발표된다.
바이든 대통령의 수혜주로는 친환경에너지·헬스케어·인프라 등이 거론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재임 시절 동안 친환경 정책을 강조해왔다. 2022년에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시행해 에너지 안보 및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해 대규모 자금을 투자했다. 여기에는 의료비 지원·법인세 인상 등의 내용도 포함돼 있다. 최근에는 50억 달러 규모의 운송 인프라 관련 프로젝트에 대한 재정 투입 계획도 발표했다. 업계에선 바이든 대통령이 연임할 시, 이 같은 정책 기조를 지속해 나갈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과 관련해선 방산·전통에너지·필수소비재 등이 언급되고 있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 우선주의를 강조하면서 재선 공약으로 군사력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선거 과정에선 기존의 값비싼 신재생 에너지 사업을 다시 원유로 바꾸는 등 석유·가스 생산량 증대를 우선 과제로 내세웠다. 수혜주와는 반대로 트럼프 전 대통령이 IRA 폐기에 대한 의지를 보이고 있는 점에서 당선 시 전기차·이차전지 업종 악재도 예상되고 있다.
업계에선 미국에 대한 한국의 수출 비중이 크기 때문에 미국 대선 과정에서 발표되는 정책에 따라 수혜 업종을 중심으로 국내 증시도 영향을 받을 것이란 분석이다. 4년 전 미국 대선 당시에도 각 후보와 관련한 국내 수혜 업종을 중심으로 반등세를 보인 바 있다.
국내 기업들 중 바이든 대통령 수혜주로 거론되고 있는 종목은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영위하는 한화솔루션·씨에스윈드·두산퓨얼셀 등이다. 헬스케어 부문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등이 떠오른다. 그 외에 LG화학·SK이노베이션·삼성SDI 등 이차전지주도 주목 받고 있다.
트럼프 수혜주로는 방산주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LIG넥스원·현대로템 등이 관심을 받고 있다. 조연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는 각자도생하는 전 세계 국가의 국방비 확대와 K-방산에 대한 관심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며 “트럼프의 재선으로 전 세계 국가의 국방비가 확대될 시, K-방산에 대한 관심도 더 높아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밖에도 GS칼텍스와 현대오일뱅크 등 전통에너지주에 대한수혜도 예상된다.
김찬희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산업 측면에서 국내 기업들의 미국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국내 증시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지지율·당선 가능성 등에 따라 향후 후보자 관련 국내 주식 업종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고, 나아가 기업들의 이익 흐름, 제조업 경기 회복 양상, 통화정책 스탠스, 정책 변수 등에 따라서도 국내 시장이 반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