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항공 당국이 글로벌 항공기 제작사 보잉의 737 맥스(MAX) 시리즈의 생산 과정에서 각종 결함을 발견한 가운데 해당 기종을 도입하려던 국내 항공사들의 경영 전략에도 비상등이 켜졌다. 새 기재를 들여와 각종 비용을 절감하고 사업 영역 확대 기회를 모색했으나, 도입 시기가 당초 대비 미뤄질 것으로 보여 당분간 기존 항공기들을 연장 운용할 수 밖에 없게 돼서다.
13일 외신과 항공업계에 따르면 미 연방항공청(FAA)은 최근 6주 간 보잉과 737 맥스 동체 제작사 스피릿 에어로시스템스의 생산 공정에 대한 현장 실사를 진행했고, 지난 4일 품질 관리 요구 사항을 준수하지 못한 다수 사례를 적발했다.
점검 결과 FAA는 보잉에 관해 89개 항목 중 56개는 합격, 33개에 대해서는 불합격 판정을 내렸고, 규정 위반 사례 97건을 추가로 발견한 것으로 전해진다. 또 스피릿 에어로시스템스는 13개 항목에 대해 점검을 받아 6개에는 합격, 나머지는 불합격한 것으로 알려졌다. 점검 과정에서 스피릿 에어로시스템스 정비사는 비행기 문의 기밀 유지성을 확인하기 위해 호텔 키 카드와 액체 비누를 쓰는 모습도 보였다.
이에 FAA는 “정비사가 따라야 하거나 기록해야 하는 설명서와 지침이 모호하고 불분명하다”고 지적했고 보잉의 생산 증가 계획을 중단시켰다. 이어 연방법무부(DOJ)에 수사를 의뢰해 \’2차 보잉 게이트\’로 확산될지에 대해 이목이 집중된다.
이는 보잉이 알래스카항공에 인도한 737-9 맥스 여객기가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에서 이륙한 직후 동체 비상 출입문 덮개(도어 플러그)가 비행 중 이탈한 사고가 발생한 데에 따른 조치다. 앞서 미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는 비행 중 도어 플러그가 뜯겨 나간 사고는 비행기 조립 시 도어 플러그의 볼트의 누락으로 촉발된 것으로 확인됐다는 내용을 담은 예비 조사 보고서를 지난달 6일 공개했다.
미국 항공사들은 이 여파로 일제히 올해 실적 전망을 하향 조정했고, 유나이티드항공은 여객기 인도 지연에 춘계 조종사 신규 채용을 보류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마찬가지로 해당 기종을 도입하기로 결정한 국내 항공사들의 중장기 사업 계획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 항공산업과가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기재 도입 계획에 따르면 올해 국내 항공사들은 737-8 맥스 기종을 총 27대 들여오기로 했다. 이에 따라 당초 계획대로라면 항공사별로는 △대한항공(공군·진에어 리스분 포함) 11대 △제주항공 6대 △티웨이항공 5대 △이스타항공 8대 △플라이강원 6대로 올해 총 36대가 될 예정이었지만 기약 없이 신 기재 도입과 구형 기재 송출이 밀리게 됐다.
특히 제주항공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제주항공은 2018년 11월 보잉과 6조2434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해 737-8 맥스 50대(40대 구매 확정·추가 10대 옵션) 도입 계획을 수립했다. 금융 비용을 줄이고 타사 대비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중거리 노선을 개발하고 취항하겠다는 차원에서였다. 실제 737-8 맥스는 제주항공의 주력 기종인 737-800보다 항속 거리가 800km나 길고 LEAP-1B 계열 신형 엔진은 연비가 CFM56 엔진보다 우수해 재무 구조를 더욱 탄탄하게 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됐다.
하지만 제작사 이슈가 가라앉을 때까지 당분간 구형 기재를 그대로 운용할 수 밖에 없게 됐다는 분석이다. 국토부 항공기술정보시스템(ATIS)에 등록된 제주항공의 보유 기재 수는 총 42대이고 이 중 절반 가량이 기령 15년을 넘긴 것으로 파악된다.
항공업계의 한 관계자는 “기재 도입 계획은 연초에 국토부에 보고하지만 늘 가변적이어서 보수적으로 수립하는 편”이라며 “사업 전략 일부에 영향을 받겠지만 기재 공급이 정상화 될 때까지 기다리는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