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0 총선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연예계 스타들의 정치 참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평소 응원하던 정당이나 의원에 대해 공개 지지 선언을 하거나 선거 캠프나 당에서 직책을 맡아 후보와 함께 뛰는 이들이 늘고 있는데요. 최근 가수 김흥국, 배우 정준호, 이원종, 문성근 등이 특정 정당 후보를 공개지지하고 나섰습니다. 연예인 뿐 아니라 축구선수 이천수와 소설가 조정래와 같은 유명인들도 적극 참여에 나서고 있는데요.
대중의 지지를 얻어야 하는 정치인들이 유명인을 정치에 활동에 활용하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유명인 영입은 인지도 면에서 유권자들의 표심을 얻는 데 가장 빠르고 쉬운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최근 팬덤 정치가 가속화되면서 특정 정당이나 정치인을 지지한 연예인들이 비난을 받는 사례가 많아지기도 하는데요. 이에 과거와 달리 자신의 정치색을 드러내기 꺼리는 유명인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다수 유명인들이 자신의 소신에 따라 혹은 개인적 인연에 따라 정치 활동에 나서고 있는데요. 과연 효과가 있을까요.
“이번 총선은…” 공개 지지 나선 스타들
지난 대선에서 윤석열 대통령 지지를 공개 선언했던 가수 김흥국은 신현준, 정준호의 유튜브 채널 ‘정신업쇼’에 출연해 “이번 총선에서는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함께 하고 싶다”고 밝혔습니다. 김흥국은 “선거 때만 되면 후보들로부터 도와달라는 연락이 온다”라며 누군가의 서포터가 아닌 후보로 정치에 도전할 의사도 있다고 전했는데요. 그는 앞서 2022년 대선 당시 20일간 유세 현장을 찾아 응원하고 지방선거에서도 국민의힘 후보 유세를 지원한 바 있습니다.
정준호 역시 지난달 27일 “나의 20대 때를 보는 것 같다. 정치는 참 어려운 일이다. 공익법인 홍보대사라 정치중립 의무가 있어 많이 못 도와줘 미안하다. 마음만은 곁에 있겠다”며 국민의힘 영입인재 한정민 후보를 공개 지지한 바 있습니다.
야당을 지지하는 이들도 있습니다. ‘야인시대’에 출연한 배우 이원종은 5일 유튜브채널 ‘이연희TV’에 출연해 청주 흥덕구에 출마하는 이연희 민주연구원 상근부원장을 ‘정책 전문가’로 소개하며 후보와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지지를 호소했습니다.
배우 문성근은 조국혁신당 공동 후원회장을 맡았는데요. 이번 총선에서는 조정래 작가도 함께 조국혁신당의 공동 후원회장을 맡습니다. 조 작가는 과거부터 조 대표를 지지했는데요. 2022년 4월에는 조 대표의 부인인 정경심 전 동양대 교수를 사면해달라고 요청하는 탄원서를 문재인 대통령에게 제출하기도 했습니다. 문성근 배우는 ‘노무현재단’ 이사를 역임하며 친노계는 물론 친문계의 지지를 받는 인사로 평가되는 인물입니다.
스포츠 스타 역시 예외는 아닙니다. 국가대표 축구선수 출신 이천수는 최근 인천 계양을에 출사표를 낸 원희룡 전 국토부 장관 후원회장을 맡았습니다.
김제동·김미화, 표현은 자유지만…
선거철이 다가올수록 교수, 연예인은 물론 최근엔 스포츠인들도 합류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단순한 지지 선언을 넘어 정치성향을 앞세워 적극적인 활동에 나선 이들도 많은데요. 이 때문일까요. 연예인들이 정치·사회적 이슈에 소신을 드러냈다가 여론의 집중 공격을 받는 일이 잦아졌습니다.
연예인들의 소신 발언이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기 시작한 건 15년 전 부터인데요. 사회관계망서비스(SNS)가 활발해지면서 민감한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사회적 발언이 늘어나면서 시작된 것입니다. 2008년 배우 김규리씨가 광우병 소고기 파동 당시 자신의 미니홈피에 “광우병 소고기를 먹느니 차라리 청산가리를 입에 털어넣는 편이 낫겠다”는 글을 올려 정부의 연예계 블랙리스트에 올랐습니다. 2011년 한진중공업 사태 당시 노조 집회를 지지했던 배우 김여진, 진보적 정치인들과 순회공연을 하며 정부 비판 발언을 했던 방송인 김제동·김미화, 동물·환경보호 등 사회 문제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여온 가수 이효리 등이 있습니다.
대중의 관심을 받는 연예인 특성과 SNS 발달로 발언의 파급력은 더욱 막강해졌습니다. 발언의 적절성 여부와 상관없이 사회정치적 사안을 언급했다는 이유 만으로 공격 대상이 된다는 점인데요.
물론 단순 정치적 발언에서 벗어나 실제 정치에 참여한 경우도 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 내정된 유인촌 대통령실 문화체육특별보좌관은 1971년 연극 배우로 데뷔해 1974년 MBC 공채 탤런트에 합격한 연예계 출신 정치인입니다. 유 장관은 1990년 이명박 전 대통령을 모티브로 한 KBS 드라마 ‘야망의 세월’ 주인공을 맡으면서 인연을 맺었고 이 전 대통령이 2004년 서울시장 시절 설립한 서울문화재단의 첫 대표이사를 맡으며 두사람의 인연이 시작됐습니다. 유 장관은 2007년 대선 당시 이 전 대통령의 유세 선거를 돕고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회교육문화분과 자문위원으로 활동한 뒤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이명박 정부 초대 문체부 장관을 지냈습니다.
선거판에서 사라진 유명인들, 줄어드는 이유는
과거 연예인들이 활발히 정치색을 드러낸 것과 달리 최근에는 정치 참여 모습이 확연히 달라진 모양샙니다. 최근 연예인들은 정치적 사안에 대해 중립적 태도를 고수하며 불필요한 갑론을박을 차단하는 분위기인데요. 자신의 견해를 밝히는 것은 개인의 자유이지만 대중적 인지도가 높다보니 발언을 조심해야 한다는 지적 탓으로 보여집니다.
특히 연예인들의 대선 후보 지지 선언은 19대 대선 이후부터 급격히 줄어드는 모습이었는데요. 박근혜 정부의 이른바 ‘문화계 블랙리스트’가 알려진 이후 자신의 정치적 성향을 밝혔다가는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문화예술계 내 공포 심리가 작용한 탓으로 보여집니다.
이러한 분위기는 20대 대통령선거에서도 감지됐습니다. 특정 후보를 지지하는 연예인이 유세 현장에 동참해 지지를 호소하던 모습은 익숙한 풍경이었지만 당시 대선 현장에서는 이른바 ‘셀럽 유세’를 찾아보기 어려웠습니다. 공개 지지를 한 경우 비난을 받기도 했는데요. 배우 김의성은 당시 이재명 후보 공개 지지를 선언한 후 악플 공격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 같은 모습이 문화예술계의 표현의 자유를 압박하는 것으로 비칠 소지가 있다고 우려합니다. 손희정 문화평론가는 CBS라디오에 출연해 “한국에는 이상한 방식으로 중립을 요구하는 문화가 있는 것 같다. 미국 같은 경우 ‘폴리틱스’와 ‘엔터테이너’를 합친 ‘폴리테이너’ 즉, 정치 활동을 하는 연예인들이 정치적 발언을 하는 경우가 많지만 아무 문제가 안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