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지난해 이어 올해에도 GDP 5% 안팎 제시
반도체 등 소비 증가에 삼성·SK 수익 개선 기대감
중국이 올해 경제 성장률 목표치를 지난해와 같은 ‘5% 수준’으로 책정, 이에 상응하는 경제 부양 정책을 펼 것으로 예상되면서 국내 기업 수혜로 이어질지 관심이다.
그간 움츠러들었던 소비가 살아나는 등 중국 경제가 활력을 되찾게 되면 한국의 대중국 수출도 덩달아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는 이날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개회식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목표치를 작년과 동일한 5% 수준으로 제시했다.
‘위드 코로나’ 원년이었던 지난해 중국은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을 본격화했음에도 기대 보다 낮은 회복 동력을 보였다. 주 요인으로는 부동산 시장 금융 불안, 내수 소비 위축, 산업 생산 및 수출 둔화 등이 지목된다.
그럼에도 중국은 작년 5.2%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며 당초 목표했던 계획(5.0% 안팎)을 달성했다. 지난해 중국 경제 성장 발목을 잡았던 요인들은 여전하지만, 중국은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 올해 보다 강력한 부양책을 꺼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얼어붙은 국민의 지갑을 열게 하기 위한 다양한 소비 촉진 정책을 제시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리 총리도 “올해 우리나라 발전이 직면한 환경은 여전히 전략적 기회와 리스크가 병존해 있고, 유리한 조건이 불리한 요소 보다 강하다”며 목표 달성 자신감을 표출했다.
중국 정부는 올해 경제·산업 정책 키워드로 ▲신(新)질적생산력 제고 ▲투자 활성화 및 소비 촉진 ▲청년 고용 안정화 ▲디지털 인프라 투자 확대 ▲권역별 경제 발전 추진 ▲농촌 발전 추구를 제시했다.
중국이 자국 경제 성장에 초점을 두고 추진할 글로벌 투자 촉진 방안, 내수 부양 조치 등이 힘을 얻으면 반도체, 유통, 항공 등 국내 사업도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지난해 극심한 부진을 겪었던 국내 반도체는 IT 제품 수요 회복으로 메모리 반도체 매출 반등이 예상된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메모리 반도체의 중국 수출은 41%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한다. 시스템 반도체 역시 중국에 대한 한국 수출 비중은 33%를 나타냈다.
특히 중국의 반도체 제조 경쟁력은 글로벌 선두 기업과 견줘 낸드 플래시 2년, D램 5년, 로직 반도체 5년 정도의 기술 격차가 발생하고 CPU(중앙처리장치), D램, 낸드 등 국산화율도 한 자릿수에 불과해 DDR5, HBM(고대역폭메모리) 등 첨단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국 반도체 수입을 지속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중국의 경제성장을 뒷받침할 산업들은 사실상 ICT가 될 것”이라며 “첨단 반도체 생산은 중국이 아직 불가능하기 때문에 한국산 수입이 늘어날 것”이라고 진단했다.
스마트폰, PC, 서버 등 소비가 많이 발생하는 매스 마켓도 지난해 보다는 회복될 것으로 예상돼 반도체 수요 증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구체적으로 전자 제품 교체 주기 도래 및 스마트폰 신규 수요 등이 반도체 업황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관측이다.
김 전문연구원은 “글로벌 생산 공장이 중국에 많기 때문에 세계 수요가 살아나면 1차적으로 중국향 수출이 늘어나게 되며, 2차적으로는 중국 내수 증가에 힘입어 국내 반도체 소비가 늘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반도체 수요 증가는 삼성·SK 매출에 긍정적 영향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올해 실적 반등을 통해 극심했던 지난해 적자를 만회할 계획이다. 이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중국 시장이 어느 정도 따라줘야 한다.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동향분석실장은 “중국이 올해 정책 중 하나로 제시한 신질적생산력은 첨단 제조, 과학 기술 혁신 등을 의미한다”며 “중국 내 반도체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 수요 증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국의 대중국 수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미국의 대중국 견제에 맞서 중국이 추진하는 전략 산업 자급률 확대 정책 등은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은 자국 기업을 중심으로 AI(인공지능) 반도체·클라우드 등에서 기술 고도화를 꾀하고 있다. 최근 화웨이 AI 반도체 ‘어센드910B’의 경우 엔비디아의 GPU(그래픽처리장치) A100과 견줄 수준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이 같은 중국의 추격을 저지하려면 국내 반도체 제조역량을 높이는 동시에 차세대 기술 개발에서 속도전을 펼쳐야 한다는 지적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