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2023년 전국민 경제이해력 평가 결과’…금융 부문 대체로 낮아
우리 국민의 경제이해력이 60점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금융 부문에서 이해력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기획재정부 의뢰로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실시한 ‘2023년 전국민 경제이해력'(Economic Literacy) 평가 결과 전체 평균 점수는 58.7점 나타났다. 2021년 조사 때보다는 2.4점 높아졌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9~11월 18세 이상 3000명을 대상으로 총 20문항의 질문지를 통한 대면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문항별 정답률을 보면, ‘기준금리 파급효과’ 항목이 35.3%로 가장 낮았다. 이어 정기예금(37.1%), 근로계약(43.3%), 온라인 거래(48.8%), 세금(49.3%) 순으로 저조한 정답률을 보였다.
수요·공급 원리(79.2%), 재무관리(71.4%), 자산(69.4%), 연금(68.2%) 등에서는 비교적 높은 경제이해력을 보였다.
연령대별로는 70대 평균점수가 46.8점으로 가장 낮았고 이어 60대가 53.6점으로 낮았다. 점수가 가장 높은 연령은 30대로 63.8점, 이어 20대(61.9점), 40대(60.9점), 50대(59.9점) 순으로 나타났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61점, 비수도권이 56.2점으로 격차를 보였다.
경제이해력과 병행한 ‘경제교육 의견조사'(9문항)에서는 ‘경제를 잘 모르는 편’이라는 답변이 30.5%로 ‘잘 아는 편’은 16.2%에 불과했다. 관심도에서는 평소 경제 이슈에 관심을 갖고 있다는 답변이 40.1%로, 관심이 없다는 응답(21.8%)보다 크게 많았다.
‘학교밖’ 경제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선 82.3%가 긍정 답변했다. 목돈의 투자 항목으로는 정기예금(39.1%)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부동산(24.6%), 주식·채권 직접투자(18.2%) 순이었다.
기재부 관계자는 29일 “경제이해력 평균점수가 소폭 상승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경제이해력을 높일 여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특히 학교밖 경제교육을 확대하자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평가했다.
이와 관련, 기재부는 오는 6월 ‘디지털 경제교육 플랫폼’을 출범하고 각종 경제 콘텐츠를 제공할 예정이다.
청년들의 사회진출 과정에 필요한 경제지식을 종합한 ‘청년 경제교육 스타터팩’도 연내 제작·보급하고, 지역경제교육센터 및 지방자치단체와 네트워크를 강화하여 소외계층 경제교육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