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증시 부양책을 벤치마킹한 한국의 개혁안이 주식 시장에 대대적인 활력을 불어넣을지는 미지수라고 로이터통신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잃어버린 30년’을 깨고 일본 증시가 연일 신고가를 경신하는 가운데 한국 정부는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기 위해 ‘밸류업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애널리스트들은 한국 정부의 개혁은 일본과 달리 장기간의 증시 상승으로 이어지긴 어려울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로이터통신은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낙관에 코스피 지수는 이번주 20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일부 시장 참여자들은 조만간 차익 실현에 나설 준비를 하고 있다”며 “이들은 4월 총선 이후에는 상승세가 계속되지 않을 것이란 의구심을 품고 있다”고 전했다.
소시에테 제네랄의 애널리스트들은 “지금 단계에서는 밸류업 프로그램이 기업 부문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는 확신할 수 없다”고 말했다.
애널리스트들은 이번 개혁안이 일본의 사례를 따라한 점, 개인 투자자들의 참여도가 높은 점 등은 고무적이나, 재벌 기업의 불투명한 의사결정 등이 여전히 한국 증시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고 봤다.
일본 정부 주도 하에 증시 개혁이 이뤄지면서 일본 증시 대표 주가지수인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지수)는 지난해 28% 급등한 데 이어 올해 17% 뛰었다.
애널리스트들은 일본과 같은 효과를 낳기 위해서는 개혁이 강력하고 효과적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 금융당국은 업종별 투자지표(PBR·ROE 등)를 비교·공시하고 상장사의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기재하는 한편, 주주가치 제고 우수업체 등으로 구성된 지수와 상장지수펀드(ETF)를 개발하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대모비스, 삼성물산, SK이노베이션은 올해 자사주 소각에 나서는 등 일부 기업들은 정부의 증시 개혁에 화답하고 있다.
이에 외국인들은 올해 들어 10조2000억원에 달하는 한국 주식을 사들였다. 이달에만 6조7000억원을 샀다. 지난해 한국 주식을 11조 3000억원을 매수한 점에 비하면 외국인들의 매수세가 급증한 것이다.
그러나 한국 개인 투자자들의 매도세는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 국내 주식을 13조8000억원 순매도한 개인 투자자들은 올해 들어 지금까지 약 5조1000억원을 매도했다. 이들 자금은 한국 증시를 떠나 미국이나 일본으로 향하고 있다.
애널리스트들은 후속 조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강력한 후속 조치가 없다면 투자자들이 대거 차익실현에 나설 수 있다는 경고다.
로이터통신은 “당국은 단순히 격려 수준에 그칠 것이 아니라 변화를 요구해야 한다는 게 애널리스트들의 일관된 생각”이라며 이들은 높은 상속세, 가족 소유 경영 체제 등을 장애물로 꼽았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