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AI 대장주’ 엔비디아 데이터센터 호황…최대실적 경신 전망

서울경제 조회수  

'AI 대장주' 엔비디아 데이터센터 호황…최대실적 경신 전망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중국을 방문해 신년행사를 열고 현지 직원들과 춤을 추고 있다. 서울경제DB

초기 인공지능(AI)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엔비디아의 실적 결과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그 결과에 따라 반도체 등 국내 AI 관련주도 시장에서 집중적인 관심을 받을 수 있다는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관건은 데이터센터 실적으로 한 분기 만에 역대 최대치를 또 경신할지 여부다.

19일 금융투자 업계는 21일(현지 시간)로 예정된 엔비디아의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에 따라 반도체 등 국내 AI주의 단기 주가 향방도 갈릴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엔비디아는 초기 AI 시장의 90% 가까이를 장악하고 있는 그야말로 AI 대장주다. 호퍼100(H100) GPU의 경우 개당 가격이 약 4000만 원까지 치솟을 만큼 품귀 사태를 겪고 있다. H100은 마진이 가장 높은 기업 데이터센터에 들어가는 GPU다.

실제 엔비디아 주가는 1년 남짓한 기간 주가가 다섯 배가량 수직 상승했다. 이달 13일과 14일에는 시가총액 규모가 아마존과 구글 모회사 알파벳까지 넘어서 나스닥 3위로 올라섰다.

'AI 대장주' 엔비디아 데이터센터 호황…최대실적 경신 전망

대신증권(003540)은 엔비디아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과 순이익이 각각 203억 8000만 달러, 104억 달러를 기록해 전 분기보다 12.5%가량 증가할 것이라고 봤다. 일단 해외 투자 업계도 엔비디아의 4분기 실적 발표 이후 추가 주가 상승 가능성을 높게 보는 분위기다. 엔비디아의 현 주가수익비율(PER)은 35.88배로 나스닥 시총 1위인 마이크로소프트(MS)의 38.12배에 비해 낮다는 것이다. 아난다 바루아 루프캐피털 연구원은 이달 15일 엔비디아의 추후 1년간 목표주가를 현 주가보다 65% 비싼 1200달러로 제시하기도 했다.

글로벌 헤지펀드들의 매수 움직임도 활발한 편이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미국 보스턴 소재 헤지펀드인 애로스트리트캐피털은 지난해 4분기 엔비디아 주식을 400만 주 매입했다. 세계 최대 헤지펀드 브리지워터어소시에이츠도 같은 기간 엔비디아 보유 주식을 4배로 늘려 22만 주 이상을 추가 확보했다. 억만 장자인 크리스 로코스가 이끄는 영국의 로코스캐피털도 엔비디아 주식을 25만 주 이상 매입했고 르네상스테크놀로지스도 해당 기간 30만 주 이상 샀다. 김정윤 대신증권 연구원은 “엔비디아 실적 발표를 통해 올해 AI 시장에 대한 자신감이 형성되면서 반도체 생태계 전반의 주가의 상승 여력이 커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다만 엔비디아의 4분기 실적이 시장 눈높이를 충족해도 주가가 당장 급등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최근 글로벌투자은행 UBS는 고객 서한을 통해 엔비디아의 최고급 GPU 리드타임(고객이 칩을 주문해서 직접 받아보는 데 걸리는 시간)이 11개월에서 3~4개월로 줄어들었다면서 고객 수요가 생각보다 빨리 소강 국면에 접어들 수 있다는 경고를 내놓기도 했다. 실제 AMD(MI300 GPU), 인텔(가우디 GPU) 등 기존 GPU 업체가 엔비디아를 추격하고 있고 메타·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들도 엔비디아 칩의 대체재 찾기에 혈안이다. 이승우 유진투자증권(001200) 연구원은 “엔비디아의 실적에 따라 AI주 랠리의 지속 여부가 판가름 날 것”이라며 “엔비디아가 이미 올 들어 47%나 상승했다는 점에서 주가가 더 오르려면 회사의 올해 실적 예상치가 상당히 높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경제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AI 추천] 랭킹 뉴스

  • 구글, 보급형 스마트폰 '픽셀 8a' 공식 출시
  • 尹대통령 “부총리급 ‘저출생대응기획부’ 신설…교육·노동·복지 등 사회부처 이끌게 할 것”
  • ‘나혼산’ 안재현+안주=76.55kg, 다이어트 시작 “결전의 날이 왔다"
  • 현대모비스, 울산 전기차 부품공장 만든다...900억원 투자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 윤 대통령 "국민소득 5만달러 꿈 아냐…복지·시장정책 하나로"

[AI 추천] 공감 뉴스

  • ‘나혼산’ 안재현+안주=76.55kg, 다이어트 시작 “결전의 날이 왔다"
  • “지금이 구매 적기라는 현대 자동차의 파격 할인 차량은?!”
  • KAMA, '제21회 자동차의 날' 개최…“中 대응 미래차 전환 서두르자”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 현대모비스, 울산 전기차 부품공장 만든다...900억원 투자
  • "기사들도 전기차 손절" 요즘 택시, '이 자동차'가 대세 됐습니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비싸도 어차피 사줄거잖아” 대안 없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양산 임박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 “그랜저 괜히 샀네” 신형 혼다 어코드, 더 날렵해진 디자인 공개
  • “람보르기니보다 빠른 아우디?” 640마력 RS Q8 퍼포먼스로 판매 부진 이겨낼까?
  • “사자마자 구형된 내 차” 싸서 샀더니 뒤통수 맞는 중국차 근황
  • “전기 VS 디젤 픽업” 무쏘 EV와 타스만, 국내 픽업 트럭 강자가 될 자는 누구인가?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K-배터리, 3대 리스크 돌파 혁신 쇼케이스…5일 ’인터배터리 2025’ 개막

    뉴스 

  • 2
    “너무 춥다” 이승우 작심 발언, 추춘제 전환 제동?

    스포츠 

  • 3
    “이번 겨울 마지막 눈꽃”… 눈부신 설경을 자랑하는 국내 여행지

    여행맛집 

  • 4
    '트럼프 관세·정국 불안'...기업 외화예금 2년만 최대 증가

    뉴스 

  • 5
    [콘텐츠&피플] 고기호 음공협 부회장, “K팝 글로벌화, 업계 '부익부 빈익빈' 해결해야”

    연예 

[AI 추천] 인기 뉴스

  • 구글, 보급형 스마트폰 '픽셀 8a' 공식 출시
  • 尹대통령 “부총리급 ‘저출생대응기획부’ 신설…교육·노동·복지 등 사회부처 이끌게 할 것”
  • ‘나혼산’ 안재현+안주=76.55kg, 다이어트 시작 “결전의 날이 왔다"
  • 현대모비스, 울산 전기차 부품공장 만든다...900억원 투자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 윤 대통령 "국민소득 5만달러 꿈 아냐…복지·시장정책 하나로"

지금 뜨는 뉴스

  • 1
    [미리보는 MWC25]〈2〉텔코에서 테크코로 진화…AI 혁신 이끄는 통신사

    차·테크 

  • 2
    예스 24, 문학의 향기를 담은 디퓨저 컬렉션 선봬

    여행맛집 

  • 3
    크래프톤 '블라인드스팟', 실내서 펼치는 CQB의 묘미... 배그 바통 이을까

    차·테크 

  • 4
    '스키남매' 박세율·박연수, 나란히 메달 획득 "함께 좋은 성적 거둬 기뻐"

    스포츠 

  • 5
    “덕분에 살아있다”…라면 1개 외상한 실직 청년, 몇달 뒤 건넨 봉투 깜짝

    뉴스 

[AI 추천] 추천 뉴스

  • ‘나혼산’ 안재현+안주=76.55kg, 다이어트 시작 “결전의 날이 왔다"
  • “지금이 구매 적기라는 현대 자동차의 파격 할인 차량은?!”
  • KAMA, '제21회 자동차의 날' 개최…“中 대응 미래차 전환 서두르자”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 현대모비스, 울산 전기차 부품공장 만든다...900억원 투자
  • "기사들도 전기차 손절" 요즘 택시, '이 자동차'가 대세 됐습니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비싸도 어차피 사줄거잖아” 대안 없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양산 임박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 “그랜저 괜히 샀네” 신형 혼다 어코드, 더 날렵해진 디자인 공개
  • “람보르기니보다 빠른 아우디?” 640마력 RS Q8 퍼포먼스로 판매 부진 이겨낼까?
  • “사자마자 구형된 내 차” 싸서 샀더니 뒤통수 맞는 중국차 근황
  • “전기 VS 디젤 픽업” 무쏘 EV와 타스만, 국내 픽업 트럭 강자가 될 자는 누구인가?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추천 뉴스

  • 1
    K-배터리, 3대 리스크 돌파 혁신 쇼케이스…5일 ’인터배터리 2025’ 개막

    뉴스 

  • 2
    “너무 춥다” 이승우 작심 발언, 추춘제 전환 제동?

    스포츠 

  • 3
    “이번 겨울 마지막 눈꽃”… 눈부신 설경을 자랑하는 국내 여행지

    여행맛집 

  • 4
    '트럼프 관세·정국 불안'...기업 외화예금 2년만 최대 증가

    뉴스 

  • 5
    [콘텐츠&피플] 고기호 음공협 부회장, “K팝 글로벌화, 업계 '부익부 빈익빈' 해결해야”

    연예 

지금 뜨는 뉴스

  • 1
    [미리보는 MWC25]〈2〉텔코에서 테크코로 진화…AI 혁신 이끄는 통신사

    차·테크 

  • 2
    예스 24, 문학의 향기를 담은 디퓨저 컬렉션 선봬

    여행맛집 

  • 3
    크래프톤 '블라인드스팟', 실내서 펼치는 CQB의 묘미... 배그 바통 이을까

    차·테크 

  • 4
    '스키남매' 박세율·박연수, 나란히 메달 획득 "함께 좋은 성적 거둬 기뻐"

    스포츠 

  • 5
    “덕분에 살아있다”…라면 1개 외상한 실직 청년, 몇달 뒤 건넨 봉투 깜짝

    뉴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