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7년 전 우리 아이 세뱃돈, 주식으로 줬더라면 최고 5472%↑…이차전지가 ‘효자’

이투데이 조회수  

출처=이미지투데이

내가 가장 후회하는 것은 좀 더 어렸을 때 주식 투자를 하지 않은 것이다.

세계적 ‘투자의 귀재’로 꼽히는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이 한 말이다.

효율적 부를 축적하기 위해서는 얼마나 높은 수익률을 올리느냐보다, 얼마나 오랫동안 투자하느냐가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면서다. 돈에는 ‘복리’의 속성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11살부터 주식을 시작한 워런 버핏은 “다시 태어날 수 있다면 5살부터 주식을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코로나19를 거치면서 주식 투자에 대한 개인투자자들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정부도 이러한 국민적 관심에 부응하며 주가순자산비율(PBR) 1배 미만 기업들의 주가를 올릴 수 있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내놓았으나, 국내에서는 아직도 주식으로 돈 벌기 어렵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이럴 때일수록 어떤 종목에 투자해야 할지를 판별하는 ‘옥석 가리기’는 중요해진다. 올해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아이들이 출생연도에 받은 세뱃돈으로 그 당시 주식을 샀더라면 얼마나 수익을 올릴 수 있었을까.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7일 기준 코스피·코스닥 상장사 2013개 가운데 2018년보다 주가가 높은 기업은 780개(38.7%)에 불과했다. 상승률이 가장 높은 종목은 5472%를 기록한 반면, 최저 마이너스(-) 99% 수익률을 기록한 종목도 있었다. 코스피 지수는 7년 사이 2396.55에서 8.9%가 상승했다.

수익률 하위권은 대부분 코스닥 종목들이 차지했다. 하락률 1~10위 종목 중 코스피 기업은 3곳뿐이었다. 크루셜텍의 주가는 7년 전 15만7750원에서 지난 7일 395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외 휴림네트웍스(-99.05%), 노블엠앤비(-98.34%), 에스엘에너지(-98.26%), 에스디생명공학(-97.84%), 골드앤에스(-97.66%), 오가닉티코스메틱(-97.66%) 등이 큰 폭 내렸다.

코스피 종목에서는 비케이탑스(-97.88%), 에이프로젠(-97.70%), 제이준코스메틱(-97.65%),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94.23%) 등의 수익률이 부진했다. 대체로 화장품, 바이오 산업 내 코스닥 상장 기업들의 주가가 낮게 나타났다. 사드(THAAD)와 엔데믹 이후에도 중국 내 소비심리가 악화하면서 코스메틱 시장은 유의미한 주가 반등이 전무한 상태다.

반면 상승률 상위권에 포함된 기업은 코스피와 코스닥 상장사가 고르게 섞여 있었다. 7년 전보다 주가 상승을 이끈 테마는 이차전지였다. 에코앤드림의 주가는 7년 전 664원에서 5472.29% 뛴 3만7000원에 마감했다. 에코앤드림은 환경과 에너지 솔루션 기업으로 출발했으나, 일찌감치 주요 사업 포트폴리오를 변경해 현재는 이차전지 전구체 전문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2위인 금양(2841.82%) 역시 이차전지 기업으로 7년 전 종가는 2750원에 불과했다. 지난 8일 금양 종가는 8만3900원을 기록했다. 이어서 에코프로(5위·2470.48%), 삼아알미늄(6위·2358.77%), 코스모신소재(7위·1580.60%) 등도 7년 새 높은 수익률을 올린 이차전지 기업들이다.

이외에도 인공지능(AI) 기반 소프트웨어(SW) 기업 엠로(2612.82%), TCC스틸(2610.09%), 신성델타테크(2366.88%), 로봇 테마 에브리봇(1438.46%), 한미반도체(1050.48%) 등의 주가도 큰 폭 뛰었다. 2018년 초 이들 기업의 1주당 평균 주가는 3250원으로 5000원도 채 되지 않았지만, 현재는 최고 11만7300원을 기록하고 있다.

이투데이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경제] 랭킹 뉴스

  • 30여 년 한 우물 파더니 “마침내 날개 달았다”…시대적 흐름에 ‘방긋’
  • “등록금보다 월세가 더 무서워요” 학부모들 곡소리 나오고 있다는 지역
  • 서울 아닌데도 연예인 100명이 거주하고 있다는 지역, 바로…
  • 한동안 방송서 안 보이던 ‘전설의 조동아리’ 멤버…이렇게 살고 있죠
  • “전국 760만명?”, “1인 100만원 상당?”…단비 같은 지원금 소식, 기대감 ‘활짝’
  • 틈새시장 파고 들더니 “중국이 이럴 수가”…삼성·LG ‘초비상’

[경제] 공감 뉴스

  • “100년을 버텨낸…” 두산이 재계의 최고 생존자로 불리는 진짜 이유
  • “독점 우려된다”…랜드마크 잃어버려 지역 반발 심각한 업계 현황
  • 경상수지 7개월째 흑자…역대 최저는 사실 ‘이때’였다고?
  • 서민 위해 할인했더니 “이럴 줄은 몰랐다”…편법이 판치자 ‘발칵’
  • 외할아버지 가르침? “27년 간 이어졌다”…회장님 ‘깜짝’ 등장, 대체 무슨 일?
  • 줄도산 공포에 “특단의 조치 꺼내 들었다”…정부의 결심에 ‘술렁’

당신을 위한 인기글

  • “한 달 주차료가 41만 원?” 미친 비용이지만 박수 받는 아파트 개정안
  • “렉스턴 결국 단종되나” 대신 ‘무쏘’ 이름 바꿔 달고 돌아올 가능성 제기
  • “스포티지 구매 후회 막심” 토레스 하이브리드, 스포티지보다 이게 더 좋다고?
  • “기아차 그대로 베꼈네” EV3 똑 닮은 중국 전기차 출시
  • “비싸도 어차피 사줄거잖아” 대안 없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양산 임박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 “그랜저 괜히 샀네” 신형 혼다 어코드, 더 날렵해진 디자인 공개
  • “람보르기니보다 빠른 아우디?” 640마력 RS Q8 퍼포먼스로 판매 부진 이겨낼까?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대권 가는 길 ⑪] "준비돼 있다"는 홍준표…마지막 도전서 결실 얻을까

    뉴스 

  • 2
    尹 오늘 최후진술…"한강 피바다""국힘 해체" 극단으로

    뉴스 

  • 3
    '손흥민의 낮은 크로스 잘 처리했다'…'멀티골 폭발' EPL 주간 베스트11 선정

    스포츠 

  • 4
    IBK 1승11패 악몽, 33억 쏟고도 사실상 4년 연속 봄배구 탈락…"안 되면 짜증 내는데" 그래도 이 선수밖에 없다

    스포츠 

  • 5
    中 올 R&D에만 800조 원…기술 패권 선점 속도[글로벌 모닝 브리핑]

    뉴스 

[경제] 인기 뉴스

  • 30여 년 한 우물 파더니 “마침내 날개 달았다”…시대적 흐름에 ‘방긋’
  • “등록금보다 월세가 더 무서워요” 학부모들 곡소리 나오고 있다는 지역
  • 서울 아닌데도 연예인 100명이 거주하고 있다는 지역, 바로…
  • 한동안 방송서 안 보이던 ‘전설의 조동아리’ 멤버…이렇게 살고 있죠
  • “전국 760만명?”, “1인 100만원 상당?”…단비 같은 지원금 소식, 기대감 ‘활짝’
  • 틈새시장 파고 들더니 “중국이 이럴 수가”…삼성·LG ‘초비상’

지금 뜨는 뉴스

  • 1
    "키움 시절이면? 못하죠" 용기 낸 이정후, 화답한 류지현 감독…韓 야구계 변화 불러일으킬까? [MD스코츠데일]

    스포츠 

  • 2
    ‘이젠 사랑할 수 있을까’ 박형준·CEO 손보미, 통했다 [TV온에어]

    연예 

  • 3
    ‘결혼지옥’ 어른아이 부부, 도박 중독 남편 왜? [TV온에어]

    연예 

  • 4
    양산 원동 매화축제 2025 마을 주차 할리스카페 포토존

    여행맛집 

  • 5
    미국vs 중국, 대만해협 워게임 결과는…“美 스텔스 미사일에 中 주력 구축함 초토화”[이현호 기자의 밀리터리!톡]

    뉴스 

[경제] 추천 뉴스

  • “100년을 버텨낸…” 두산이 재계의 최고 생존자로 불리는 진짜 이유
  • “독점 우려된다”…랜드마크 잃어버려 지역 반발 심각한 업계 현황
  • 경상수지 7개월째 흑자…역대 최저는 사실 ‘이때’였다고?
  • 서민 위해 할인했더니 “이럴 줄은 몰랐다”…편법이 판치자 ‘발칵’
  • 외할아버지 가르침? “27년 간 이어졌다”…회장님 ‘깜짝’ 등장, 대체 무슨 일?
  • 줄도산 공포에 “특단의 조치 꺼내 들었다”…정부의 결심에 ‘술렁’

당신을 위한 인기글

  • “한 달 주차료가 41만 원?” 미친 비용이지만 박수 받는 아파트 개정안
  • “렉스턴 결국 단종되나” 대신 ‘무쏘’ 이름 바꿔 달고 돌아올 가능성 제기
  • “스포티지 구매 후회 막심” 토레스 하이브리드, 스포티지보다 이게 더 좋다고?
  • “기아차 그대로 베꼈네” EV3 똑 닮은 중국 전기차 출시
  • “비싸도 어차피 사줄거잖아” 대안 없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양산 임박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 “그랜저 괜히 샀네” 신형 혼다 어코드, 더 날렵해진 디자인 공개
  • “람보르기니보다 빠른 아우디?” 640마력 RS Q8 퍼포먼스로 판매 부진 이겨낼까?

추천 뉴스

  • 1
    [대권 가는 길 ⑪] "준비돼 있다"는 홍준표…마지막 도전서 결실 얻을까

    뉴스 

  • 2
    尹 오늘 최후진술…"한강 피바다""국힘 해체" 극단으로

    뉴스 

  • 3
    '손흥민의 낮은 크로스 잘 처리했다'…'멀티골 폭발' EPL 주간 베스트11 선정

    스포츠 

  • 4
    IBK 1승11패 악몽, 33억 쏟고도 사실상 4년 연속 봄배구 탈락…"안 되면 짜증 내는데" 그래도 이 선수밖에 없다

    스포츠 

  • 5
    中 올 R&D에만 800조 원…기술 패권 선점 속도[글로벌 모닝 브리핑]

    뉴스 

지금 뜨는 뉴스

  • 1
    "키움 시절이면? 못하죠" 용기 낸 이정후, 화답한 류지현 감독…韓 야구계 변화 불러일으킬까? [MD스코츠데일]

    스포츠 

  • 2
    ‘이젠 사랑할 수 있을까’ 박형준·CEO 손보미, 통했다 [TV온에어]

    연예 

  • 3
    ‘결혼지옥’ 어른아이 부부, 도박 중독 남편 왜? [TV온에어]

    연예 

  • 4
    양산 원동 매화축제 2025 마을 주차 할리스카페 포토존

    여행맛집 

  • 5
    미국vs 중국, 대만해협 워게임 결과는…“美 스텔스 미사일에 中 주력 구축함 초토화”[이현호 기자의 밀리터리!톡]

    뉴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