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HP 25% 역성장…PC 불황에 외산 업체 ‘휘청’

서울경제 조회수  

국내 PC 시장의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특히 시장 점유율이 낮은 일부 해외 제조사들의 실적이 크게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HP코리아가 최근 공개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회사는 자체 회계연도 기준 지난해(2022년 11월~지난해 10월) 연간 4546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년(2021년 11월~2022년 10월) 6091억 원보다 25.4% 줄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94억 원에서 68억 원으로 27.2% 역성장했다. 2021년 대비 전년 30%대를 자랑했던 HP코리아의 성장률이 1년 만에 급감한 것이다.

HP 25% 역성장…PC 불황에 외산 업체 ‘휘청’

해외 제조사 중 감사보고서를 공개하는 또다른 업체 한국레노버 역시 상황은 비슷하다. 지난해 7월 공개한 자체 회계연도 기준 2022년(2022년 4월~지난해 3월) 매출은 전년보다 21% 감소한 3204억 원, 영업이익은 11% 줄어든 90억 원을 기록했다. 한국레노버 실적 추이 역시 성장률이 20%대에서 -20%대로 급감하는 역V자 곡선을 보여준다. MSI코리아는 2022년 적자 전환했다.

에이수스, 에이서, 델 등 다른 외산 업체들은 국내 감사보고서를 공개하지 않지만 시장 상황과 점유율을 감안하면 사정은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조사업체 한국IDC에 따르면 국내 PC 출하량은 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비대면 문화가 확산됐던 2021년 연간 607만 대로 10년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가 이후 감소세에 접어들었다. 특히 2022년 4.7%에 그쳤던 감소세는 지난해에는 1~3분기 누적 기준 20%로 가팔라졌다. 지난해 1~3분기 누적 출하량은 388만 대였고 이 추세를 감안하면 연간 500만 대 수준으로 예상된다. 한국IDC는 “온라인 수업용 PC 수요가 급감했고 여가 활동을 위한 지출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HP 25% 역성장…PC 불황에 외산 업체 ‘휘청’
국내 분기별 PC 출하량 추이. 사진 제공=한국IDC

그나마 소비자의 국산 선호 덕에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과반의 점유율을 유지하며 실적 타격을 경감할 수 있지만 해외 제조사는 처지가 다르다. 정부의 교육용 노트북 대량 발주 등의 변수에 따라 상황이 조금씩 다르지만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국내 노트북 시장에서 매년 점유율 50% 이상을 차지해왔다. 그나마 남은 점유율 중 독자적 수요층이 있는 애플을 제외한 나머지를 레노버, 에이수스, 에이서, HP, 델, MSI 같은 윈도PC 제조사들이 나눠갖는다. 비교적 최근 IDC 집계치인 지난해 1분기 시장 점유율은 삼성전자가 52%, LG전자가 22%로 양사 합산 74%에 달했다.

이 같은 시장 판도를 뒤집을 수단으로 올해 ‘인공지능(AI) PC’ 경쟁이 본격화할 것으로 업계는 내다봤다. 지난해 12월 인텔이 신경망처리장치(NPU)를 장착해 AI 연산 성능을 크게 높인 첫 중앙처리장치(CPU) ‘코어 울트라’를 공개한 후 PC 제조사들은 이를 탑재한 AI PC를 앞다퉈 출시 중이다.

다만 이 역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인텔 코어 울트라 공개 직후에 각각 ‘갤럭시북4’와 ‘LG그램 프로’를 선보이며 국내 수요 선점에 나선 모습이다. 특히 갤럭시북4는 AI 비서를 활용한 갤럭시 스마트폰과의 연동성 강화를 내세우며 전작보다 1.5배 많은 초기 판매량을 기록했다. 한국IDC는 “AI를 접목해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논의와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라며 “보안이 확보된 PC에서 개인 데이터를 직접 처리함으로써 개인 정보의 유출도 막고 보다 심화된 개인화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서울경제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AI 추천] 랭킹 뉴스

  • 구글, 보급형 스마트폰 '픽셀 8a' 공식 출시
  • 尹대통령 “부총리급 ‘저출생대응기획부’ 신설…교육·노동·복지 등 사회부처 이끌게 할 것”
  • ‘나혼산’ 안재현+안주=76.55kg, 다이어트 시작 “결전의 날이 왔다"
  • 현대모비스, 울산 전기차 부품공장 만든다...900억원 투자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 윤 대통령 "국민소득 5만달러 꿈 아냐…복지·시장정책 하나로"

[AI 추천] 공감 뉴스

  • ‘나혼산’ 안재현+안주=76.55kg, 다이어트 시작 “결전의 날이 왔다"
  • KAMA, '제21회 자동차의 날' 개최…“中 대응 미래차 전환 서두르자”
  • 윤 대통령 "국민소득 5만달러 꿈 아냐…복지·시장정책 하나로"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 플랫폼·콘텐츠 고르게 성장한 카카오…'카카오톡'·'AI' 주력
  • "기사들도 전기차 손절" 요즘 택시, '이 자동차'가 대세 됐습니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고속도로에서 다들 이런 거야?” 연휴 노린 귀향길의 얌체족들
  • “주유소에서 멧돼지 바베큐 할 뻔” 운전자들, 하다 하다 주유소도 조심해야 하나
  • “이젠 비트코인도 압류?” 과태료 체납자, 돈 숨겨도 다 털릴 예정!
  • “싹 다 밀어버린 준비 끝냈다” 차주들, 범칙금 안 내려면 미리 치워야 한다
  • “이거 들어오면 제네시스도 위험!” 4천만원대 프리미엄 전기 SUV 출시 예정
  • “성공하더니 7천 만원 외제차 구입” 이주빈, BMW X4로 장롱 면허 탈출
  • “현대차에 손벌리는 미국!” 스타리아에 쉐보레 마크 달리는 이유
  • “팰리세이드의 유일한 대항마” 아빠들 난리난 트래버스 풀체인지 하이컨트리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놀뭐' 유재석, 바다의 폭군 ‘돌돔’ 닮은꼴 등극

    연예 

  • 2
    '이강인 절친' 일본 신예, 바르셀로나 유스에서 성공했다…라 마시아 베스트11 선정

    스포츠 

  • 3
    "판매한다면 클럽 역사상 가장 큰 후회될 것"…'나폴리·첼시 이적설' 맨유 윙어 활약에 팬들은 "제발 팔지 마!"

    스포츠 

  • 4
    尹·내란 핵심 관계자 재판 본격화… 바빠진 법원[서초동 야단법석]

    뉴스 

  • 5
    '강적들' 진중권 "김경수 발언 文과 상의...국힘, 헌재 공정성 시비는 '탄핵 불복' 빌드업"

    뉴스 

[AI 추천] 인기 뉴스

  • 구글, 보급형 스마트폰 '픽셀 8a' 공식 출시
  • 尹대통령 “부총리급 ‘저출생대응기획부’ 신설…교육·노동·복지 등 사회부처 이끌게 할 것”
  • ‘나혼산’ 안재현+안주=76.55kg, 다이어트 시작 “결전의 날이 왔다"
  • 현대모비스, 울산 전기차 부품공장 만든다...900억원 투자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 윤 대통령 "국민소득 5만달러 꿈 아냐…복지·시장정책 하나로"

지금 뜨는 뉴스

  • 1
    “2월1일부터 加·멕시코에 25%” 트럼프 관세 폭탄 예고에 금융시장 격변 초읽기 [AI PRISM*글로벌 투자자 뉴스]

    뉴스 

  • 2
    북미 관세 25% vs. 캐나다 달러 1.18% 하락… 글로벌 투자전략 재점검 [AI PRISM*금융상품 투자자 뉴스]

    뉴스 

  • 3
    SK온, 3사 합병으로 재무 건전성 개선…글로벌 배터리·트레이딩 강자로 도약한다

    뉴스 

  • 4
    [리뷰] 유럽의 일상, 그리고 모두를 위한 EV - 토요타 어반 크루저

    차·테크 

  • 5
    ‘나혼산’ 김대호, 14년만에 퇴사 고백 '울컥'...새조개 샤부샤부 '최고의 1분'

    연예 

[AI 추천] 추천 뉴스

  • ‘나혼산’ 안재현+안주=76.55kg, 다이어트 시작 “결전의 날이 왔다"
  • KAMA, '제21회 자동차의 날' 개최…“中 대응 미래차 전환 서두르자”
  • 윤 대통령 "국민소득 5만달러 꿈 아냐…복지·시장정책 하나로"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 플랫폼·콘텐츠 고르게 성장한 카카오…'카카오톡'·'AI' 주력
  • "기사들도 전기차 손절" 요즘 택시, '이 자동차'가 대세 됐습니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고속도로에서 다들 이런 거야?” 연휴 노린 귀향길의 얌체족들
  • “주유소에서 멧돼지 바베큐 할 뻔” 운전자들, 하다 하다 주유소도 조심해야 하나
  • “이젠 비트코인도 압류?” 과태료 체납자, 돈 숨겨도 다 털릴 예정!
  • “싹 다 밀어버린 준비 끝냈다” 차주들, 범칙금 안 내려면 미리 치워야 한다
  • “이거 들어오면 제네시스도 위험!” 4천만원대 프리미엄 전기 SUV 출시 예정
  • “성공하더니 7천 만원 외제차 구입” 이주빈, BMW X4로 장롱 면허 탈출
  • “현대차에 손벌리는 미국!” 스타리아에 쉐보레 마크 달리는 이유
  • “팰리세이드의 유일한 대항마” 아빠들 난리난 트래버스 풀체인지 하이컨트리

추천 뉴스

  • 1
    '놀뭐' 유재석, 바다의 폭군 ‘돌돔’ 닮은꼴 등극

    연예 

  • 2
    '이강인 절친' 일본 신예, 바르셀로나 유스에서 성공했다…라 마시아 베스트11 선정

    스포츠 

  • 3
    "판매한다면 클럽 역사상 가장 큰 후회될 것"…'나폴리·첼시 이적설' 맨유 윙어 활약에 팬들은 "제발 팔지 마!"

    스포츠 

  • 4
    尹·내란 핵심 관계자 재판 본격화… 바빠진 법원[서초동 야단법석]

    뉴스 

  • 5
    '강적들' 진중권 "김경수 발언 文과 상의...국힘, 헌재 공정성 시비는 '탄핵 불복' 빌드업"

    뉴스 

지금 뜨는 뉴스

  • 1
    “2월1일부터 加·멕시코에 25%” 트럼프 관세 폭탄 예고에 금융시장 격변 초읽기 [AI PRISM*글로벌 투자자 뉴스]

    뉴스 

  • 2
    북미 관세 25% vs. 캐나다 달러 1.18% 하락… 글로벌 투자전략 재점검 [AI PRISM*금융상품 투자자 뉴스]

    뉴스 

  • 3
    SK온, 3사 합병으로 재무 건전성 개선…글로벌 배터리·트레이딩 강자로 도약한다

    뉴스 

  • 4
    [리뷰] 유럽의 일상, 그리고 모두를 위한 EV - 토요타 어반 크루저

    차·테크 

  • 5
    ‘나혼산’ 김대호, 14년만에 퇴사 고백 '울컥'...새조개 샤부샤부 '최고의 1분'

    연예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