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홍기원 기자】 부영그룹 이중근 회장이 통큰 기부에 이어 저출산 극복을 위한 ‘통큰 결단’을 밝혔다. 나아가 저출산 대책 및 임대주택 공급 등에 대한 정책방향도 제안했다.
부영그룹은 5일 서울시 중구 태평빌딩에서 2024년 시무식을 열었다. 이날 시무식에서는 출산장려금 수여식과 19단 경연대회도 함께 열렸다.
부영그룹은 이 자리에서 2021년 이후 출산한 직원들의 자녀 70명에게 출산장려금을 1억원씩 지급했다. 부영그룹은 앞으로도 직원 자녀를 대상으로 출산장려금 지원을 이어가겠다는 구상이다.
2021년생과 2022년생 자녀를 둔 한 부영그룹 직원은 “전혀 예상하지 못한 금액을 지원받아 어안이 벙벙하다”라며 “아내가 셋째 낳고 싶었지만 외벌이라 경제적으로 힘들었는데 긍정적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직 아이를 낳지 않은 동료직원도 낳아야겠다고 하더라”고 덧붙였다.
이중근 회장은 신년사를 통해 “저출산 문제가 지속된다면 20년 후 경재생산인구수 감소와 국방 인력 부족 등 국가 존립의 위기를 겪게 될 것”이라며 “저출산의 배경에는 자년 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 그리고 일과 가정생활 양립의 어려움이 크게 작용해 출산장려금을 지급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셋째까지 출산한 임직원 가정에는 국가로부터 토지가 제공된다면 임차인 조세부담이 없고 유지보수 책임이 없는 국민주택을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
부영그룹은 출산장려금 지원 외에도 ▲자녀 대학 학자금 지급 ▲적계가족 의료비 지원 ▲자녀 수당 지급 등의 사내 복지를 실시하고 있다. 이 회장은 나아가 국가정책으로 저출산 해법을 위해 ‘출산장려금 기부면세 제도’를 건의했다.
이 제도는 개인이나 기업이 출산장려금(최고한도 1억원)을 기부하면 개인 기부금액은 연말정산시 소득공제 대상으로 하고, 법인 기부그액은 법인소득공제 대상으로 하는 내용이다. 수령자는 출생당사자와 부모 또는 대리인으로 하며 수령금액은 면세대상으로 다른 수입금액과 합산과세하지 않는다. 부영그룹 관계자는 “법인세를 공제 받는다면 최고한도 1억원씩이라도 기꺼이 기부할 것”이라며 “1차적으로 세금이 줄어드는 것으로 보이겠으나 기부금 사용에 의한 사장 형성으로 2~3차의 조세수입이 충당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회장은 이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번 출산장려금은 출생한 자녀에게 지급했으니 근로소득세 대상에 합산하기에는 다툼의 여지가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회사가 직원에 지급하면 세율 38%가 적용되나 자녀에 증여한 방식이 인정되면 증여대상에 따라 1억원까지는 새율 10%가 적용될 수 있다. 이 회장은 출산장려금 지원에 대해 “(다른 기업도)좋은 방법이라면 인용되길 바란다”도 발언했다.
한편, 이 회장은 임대주택과 하자보수에 대한 정책도 함께 제안했다. 그는 “임대와 분양의 성격을 혼재시키는 분양대기 임대주택제도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운을 떼며 “앞으로의 주택시장은 민간도 참여해 30%의 거주만을 위한 영구 임대주택과 70%의 소유주택으로 개편해 소유자의 유지보수로 대체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회장은 평소 ‘집은 사는 것이 아니라 사는 곳’이라는 주거 철학을 강조해 왔다. 이를 바탕으로 주거체계를 영구적 거주목적의 주택과 소유목적의 주택으로 명확히 구분해 공급하자는 제안이다.
부영은 정부의 제도적 지원이 뒤따른다면 앞으로 신규 임대주택은 영구적인 거주 목적의 임대주택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또, 영구거주 목적의 임대주택은 주택관리가 중요해지기에 향후 임대주택 전문관리기업으로 거듭나도록 주택관리공단이나 일본의 민간임대주택 관리기업 등을 벤치마킹하겠다는 구상이다.
부영그룹은 지난해 6월 하자보수 ‘당일처리’ 시스템 개편안을 선보이고 지난달 31일자로 그동안 접수된 하자에 대해 100% 보수를 완료했다. 부영그룹 관계자는 “무주택 서민의 주거안정을 위한 공공기여를 강화하고 거주자 중심의 주택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서민의 주거안정과 주거문화 선도 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댓글1
저희 가족에게 500만원만 빌려주세요...꼭 갚을께요...제발요...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