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이차전지 수출 98억 달러, 전년 대비 1.6%p↓
100억 달러 문턱서 주춤…8년 만에 감소세
전기차 수요 둔화·해외 생산 거점 가동 등 영향
국내 배터리 산업이 연간 수출액 100억 달러 달성을 눈앞에 두고 성장세가 꺾이는 모습이다. 전방산업인 전기차 수요가 둔화함에 따라 배터리 수요가 감소했고, 국내 배터리 기업들이 미국이나 유럽 등으로 생산 거점을 옮긴 영향으로 풀이된다.
4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이차전지(배터리) 수출액은 98억3000만 달러로 전년보다 1.6% 감소했다. 연간 수출액이 전년 대비 감소세를 보인 건 2015년 이후 8년 만이다.
우리나라의 이차전지 수출은 2017년 50억 달러를 처음 돌파한 이후 고속 성장하며 2022년 99억8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하지만 지난해 100억 달러의 고지를 넘지 못하고 수출이 감소했다.
올해 들어서 이차전지 수출은 더욱 위축되고 있다. 1월 이차전지 수출은 5억9000만 달러로, 지난해 1월보다 26.2% 감소했다. 정부가 분류한 15대 주력 수출품 중 반도체를 포함한 13개 품목은 뚜렷한 수출 회복세를 보인 반면, 무선통신 기기(-14.2%)와 이차전지만 수출이 감소했다.
한국의 전체 수출에서 이차전지가 차지하는 비중도 줄어들었다. 이차전지의 수출 비중은 지난해 1.6%에서 1월 1.1%로 떨어졌다.
중국산을 중심으로 이차전지 수입이 빠르게 늘면서 무역수지 흑자도 감소 추세다. 이차전지 무역수지 흑자는 2019년 58억3000만 달러에서 지난해 9억 달러까지 축소됐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격화한 전기차 수요 둔화와 함께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배터리 기업들이 해외로 생산 거점을 이동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이들 기업은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이나 유럽연합(EU)의 핵심원자재법(CRMA) 등 통상 환경 변화에 대응해 해외 생산 거점 가동을 본격화하고 있다. 현지 공장에서 생산된 물량을 바로 고객사에 납품하기 때문에 국내 수출 물량의 상당 부분이 대체된다는 분석이다.
내수시장을 넘어 세계 시장에서 빠르게 점유율을 높이고 있는 중국 업체들과의 경쟁도 일부 영향을 주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중국을 제외한 세계 시장에서 중국 CATL의 시장 점유율은 27.7%로 전년보다 5.6%포인트(p) 확대됐다. 국내 배터리 3사의 합산 점유율은 1년 새 53.9%에서 48.5%로 하락했다.
실제로 지난해 한국과 중국 배터리 기업의 ‘격전장’인 유럽으로의 이차전지 수출은 25.1% 감소했다.
다만 전기차·배터리 시장의 장기 성장성이 유효하고, 해외 생산이 확대되더라도 양극재 등 배터리 소재 수출이 대신 늘어나는 등 국내 사업 파급 효과가 여전히 큰 만큼 기술 우위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 동향’ 보고서에서 “주요국 탄소중립 기조 속에서 전기차 시장이 확대돼 이차전지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전망”이라며 “시장이 고도화됨에 따라 고기능 기술 개발을 통해 제품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