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임팩트 김현일 기자] 지난해 사상 최대 매출을 경신한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과의 기업결합심사 작업에서도 일본 경쟁당국의 벽을 넘으며 연이은 호재를 맞았다. 이제 양사의 합병은 미국과 유럽연합(EU) 두 곳의 승인만을 남겨놓고 있다.
31일 대한항공은 필수 신고국가인 일본 경쟁당국인 공정취인위원회(JFTC, 이하 일본 경쟁당국)로부터 아시아나항공 인수와 관련된 기업결합 승인을 허가받았다고 밝혔다. 이로써 기업결합 승인을 받아야 하는 14개국 중 12개국에서 승인을 완료하게 됐다.
대한항공은 지난 2021년 1월 일본 경쟁당국에 설명자료를 제출하고 경제분석 및 시장조사를 진행해 같은 해 8월 신고서 초안을 제출했다. 이후 오랜 기간동안 폭 넓은 시정조치를 사전 협의해온 바 있다.
다만 일본 경쟁당국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과 양사 산하 저비용항공사(LCC)인 진에어, 에어부산, 에어서울까지 결합할 경우 한-일노선에서 시장점유율이 증가해 경쟁제한 우려가 있는 노선들에 대한 시정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따라 대한항공은 일본 경쟁당국과 면밀한 협의를 거쳐 해당 항공사들의 운항이 겹쳤던 한-일 여객노선 12개 중 서울 4개 노선(서울-오사카·삿포로·나고야·후쿠오카)과 부산 3개 노선(부산-오사카·삿포로·후쿠오카) 슬롯을 일부 양도하기로 했다. 국적 저비용 항공사를 비롯해 진입항공사(Remedy Taker)들이 해당 구간 운항을 요청할 경우 양도가 이뤄지는 식이다. 다만 경쟁제한 우려가 없는 5개 노선은 대상에서 제외했다.
일본 경쟁당국은 한일 화물노선에 대해서도 경쟁제한 우려를 표명했으나, 아시아나항공 화물기 사업 부문의 매각 결정에 따라 ‘일본발 한국행 일부 노선에 대한 화물공급 사용계약 체결(BSA, Block Space Agreement)’외에는 별다른 시정조치를 요구하지 않았다. 아시아나항공 화물기 사업 부문의 매각은 남아 있는 모든 경쟁당국의 승인을 받고, 아시아나항공을 자회사로 편입한 이후에 진행된다.
한편 대한항공은 지난해 큰 폭의 여행수요 회복으로 최대 매출을 경신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엔데믹 이후 화물 공급 정상화에 따라 크게 떨어졌다.
대한한공은 지난해 매출 14조5751억원을 달성했다. 전년도와 비교해 8.7% 증가한 수준이다. 4분기 역시 역대 4분기 최대치를 찍었다. 전년 동기 대비 10.3% 증가한 3조9801억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주줌했다. 연간으로는 전년 대비 45.0% 줄어든 1조5869억원에 그쳤다. 4분기로 좁혀봐도 1년 만에 64.7% 감소해 1836억원에 머물렀다.
매출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해운을 비롯한 글로벌 공급망 문제, 여객기 화물칸(벨리) 공급 감소 등에 따라 반사이익을 얻었다. 하지만 엔데믹 이후 항공화물 공급이 정상화됨에 따라 수익성은 하락했다. 특히 4분기의 경우, 연간 성과목표 및 안전목표 달성에 따른 인건비가 일시적으로 반영됐다.
여객사업의 경우 2019년 대비 공급이 80%대 회복에 머물렀음에도 불구, 수요 회복 및 하이클래스 탑승률 증가에 따라 2019년 대비 매출 증가했다. 화물사업은 여객기 벨리와 해운 정상화 등에 따라 코로나19 기간 수준의 반사이익은 없었지만, 2019년보다 더 높은 수익성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대한항공은 “전년 대비 크게 떨어졌음에도 지난해 영업이익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2864억원) 대비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며 “영업이익률도 10.9%로 타 글로벌 항공사 대비 높은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대한항공은 올해 1분기 여객은 항공수요와 공급이 정상화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견조한 장거리 수요가 유지되고, 동계 성수기 관광 수요 회복으로 실적 호조를 기대하고 있다. 단, 화물의 경우 글로벌 경기 회복 지연으로 반도체, 자동차, 디스플레이 등 전통적인 항공화물 수요 반등 시기는 불확실하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여객의 경우 동남아 관광노선 및 일본 지선공급 확대 등을 추진하며 수익 극대화 예정”이라며 “화물은 지난해 말부터 이어진 전자상거래 수요 강세 유지 및 국제정세 위기에 따른 공급망 불안에 탄력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