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매판매 2년 연속 줄어…내수 경기 부진
지난해 산업 생산이 소폭 증가하는데 그쳤다. 서비스 생산이 전년대비 2.6% 늘었지만 제조업 생산이 반도체 업황 부진에 4%가까이 감소한 탓이다.
소비를 뜻하는 소매판매는 2년째 줄었고, 설비투자는 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내수 경기가 부진했다는 의미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전산업생산 지수(2020년=100)는 110.9로 전년보다 0.7% 늘었다.
이로써 산업생산은 2021년(5.3%)과 2022년(4.6%) 이어 3년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이중 서비스생산이 전년보다 금융·보험, 운수·창고 등을 중심으로 2.9% 늘어 전산업 생산 증가를 이끌었다.
그러나 광공업 생산은 전년보다 3.8% 줄었다. 제조업 생산이 지난해 상반기 반도체 업황 부진 여파로 3.9% 줄어든 영향이 컸다. 이는 1998년(-6.5%)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반도체 생산은 5.3% 줄었다. 2001년(-15.3%) 이후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소비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는 전년보다 1.4% 줄었다. 2003년(-3.2%) 이후 최대 감소 폭이다. 승용차 등 내구재 판매는 0.2% 늘었지만 비내구재와 준내구제가 각각 1.8%, 2.6% 줄어든 탓이다. 고물가ㆍ고물가 기조가 소비 부진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소매판매는 2022년(-0.3%)에 이어 2년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설비투자는 전년보다 5.5% 줄면서 2019년(-5.6%) 이후 최대 감소폭을 보였다.
건설기성(불변)은 건축(9.8%)과 토목(1.3%)에서 공사 실적이 모두 늘어 전년보다 7.7% 늘었다. 다만 건설 경기의 향후 흐름을 보여주는 건설수주(경상)는 부동산 경기 침체로 주택 등 건축(-30.6%)이 크게 줄어 19.1% 감소했다.
지난달 전산업 생산은 전월보다 0.3% 늘어 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설비투자도 반도체장비 등 기계류(8.9%)가 늘어 5.5% 증가했다. 반면 소매판매는 0.8% 줄어 한 달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승용차 등 내구재·준내구재·비내구재 판매 모두 줄어든 탓이다.
지난달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3포인트(p) 내려갔고,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1p 올랐다.
기획재정부는 “작년 제조업 생산이 전반적으로 부진했지만 작년 2분기부터 3개 분기 증가하면서 하반기로 갈수록 제조업 생산・수출 중심 회복흐름이 뚜렷해지고 있다”며 “이는 연간 국내총산생(GDP) 흐름과도 부합한다”고 밝혔다.
이어 “다만 민간소비는 완만한 둔화흐름을 지속하고 있고, 건설투자는 부진했던 선행지표가 실적으로 가시화되면서 작년 4분기 감소 전환(-2.0%)하는 등 부문별 온도차가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제조업 생산・수출 중심의 경기회복 온기가 전 분야로 빠르게 확산될 수 있도록 2024년 경제정책방향 및 민생토론회 후속조치의 조속한 이행, 상반기 재정 신속집행 관리, 내수 취약부문 보완과제 발굴 등에 정책 노력을 집중할 계획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