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유동화증권 발행 실적이 2022년 대비 10%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금리인하가 시작하더라도, 장기간 고금리로 인한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부문 침체 지속 등의 영향으로 유동화증권 시장의 본격적인 개선은 쉽지 않다는 것으로 전망된다.
31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해 유동화시장 발행 규모는 금액과 건수 기준 모두 전년 대비 하락했다. 발행액은 2022년(208조 원) 대비 10.4% 감소한 186조 원, 발행 건수는 2691건에서 2049건으로 23.9% 감소했다. 2021년 266억 원이 발행된 점과 비교하면 30% 넘게 축소했다. 유동화증권 발행액이 200조 원 아래로 떨어진 것은 2018년 이후 처음이다.
자산군 별로 보면 ABS 발행액은 MBS를 제외하고 전 영역에서 역성장했다. MBS 발행액은 2022년 33조 원에서 지난해 53조 원으로 증가했으나, ABCP(자산담보부 기업어음) 및 ABSTB(단기사채) 발행이 크게 감소하면서 전체 유동화증권 시장위축을 이끌었다.
ABCP 및 ABSTB 발행액은 175억 원에서 133억 원으로 약 24% 떨어졌다. 증권사들이 부동산 PF, 기업매출채권 등의 대출채권을 유동화하고, ABCP, ABSTB 등 상품으로 만들어 발행한 비중이 줄어들었다는 것은 부동산 개발사업을 진행하는 시행사들과 기업들의 자금 조달 능력이 떨어졌다는 의미다. 유동화증권 시장에 현금이 떨어지면서, 기업들이 발행대신 현금 상환에 나섰다고 볼 수 있다.
부동산 시장 연착륙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에도 공사비 상승, 브릿지론 단계에서 본PF로의 전환 지연, 신규 사업 감소, 대손비용 증가, 조달금리 상승 둥 사업 환경이 악화하면서 유동화 조달 비용이 증가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2022년 말 7.4%에 달했던 PF ABSTB 금리(A1 기준)는 지난해 1월 5.3%로 크게 하락한 후 3분기까지 4.5% 내외에서 안정적 수준을 보였으나, 작년 말 부동산 PF시장 지연과 태영건설 워크아웃 사태의 영향으로 다시 5% 턱 끝까지 급등한 상태다. 2022년 1~3분기 평균 금리인 3% 대비 100bp 이상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다.
PF대출채권에서도 증권사들이 직접 신용보강하는 형태의 유동화증권 발행금행이 크게 감소했다. 2019년 이후 신용등급이 불안정한 대형건설사와 건전성 규제에 놓인 은행 대신 증권사들이 부동산PF 신용보강에 나서면서 높은 보증 수수료를 챙겼다. 증권사들의 2019년부터 2022년 평균 신용보강 유동화 비중은 54.2%로 50%를 큰 폭 웃돌지만, 지난해 44.8%로 급감했다.
반면, 건설사들이 신용보강하는 유동화증권 발행은 지난해 47.5%로 치솟았다. 착공 전 부동산 PF 브릿지론 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던 증권사들이 PF대출채권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보수적 영업기조로 전환한 것으로 해석된다.
유동화증권 시장의 불확실성은 올해도 하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금리 인하와 경기 연착륙 기대에도 높은 가계부채 수준, 부동산 PF 사업장 부실 현실화 등 실질적인 위험 요인이 산재하고 있어서다. 시장에서는 올해 유동화시장의 본격적인 회복을 예상하기는 쉽지 않고, 기준금리 인하 시기, PF대출채권 및 MBS 유동화의 감소 폭에 따라 전체 시장의 회복세가 좌우될 것으로 전망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