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소 폭 두 번째로 커…상품 수출 회복세와 대비
지난해 3분기 우리나라 서비스 수출이 7% 넘게 줄며 4개 분기 연속 감소세를 지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긴 감소세이며 낙폭은 두번째로 큰 것이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우리나라 상품 수출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29일 OECD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한국의 국제수지 서비스 수출액(명목)은 300억11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7.6% 줄었다.
이는 OECD 39개 회원국 중 덴마크(-20.0%)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감소 폭이다.
이로써 한국 서비스 수출액은 2022년 4분기(-5.8%)를 시작을 4개 분기 연속 감소세가 이어졌다. OECD 회원국 중 이스라엘과 함께 가장 긴 감소세를 기록한 것이다. 감소 폭의 경우 덴마크(-20.0%)에 이어 두 번째로 크다.
지난해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서비스 수출액은 전년동기보다 9.7% 늘어 한국(-7.6%)과 대비를 이룬다. 한국 서비스 수출이 4개 분기째 감소하는 동안 OECD 평균은 4.0%, 7.4%, 8.0%, 9.7% 늘며 매 분기 증가 폭이 확대됐다.
한국 서비스 수출 부진은 작년 하반기부터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우리 상품 수출과도 대조적이다. 우리 수출은 작년 10월(전년대비 +5.0%)을 시작으로 11월(+7.7%), 12월(+5.1%)까지 3개월 연속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지난달엔 최대 주력 품목인 반도체가 110억3000만 달러로 전년대비 21.8% 늘어 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한국 서비스업 수출 부진의 주된 이유로는 제조업에 비해 낮은 글로벌 경쟁력이 꼽힌다. 한국의 서비스 수출 규모는 전 세계 15위 수준으로 상품 수출(6위)에 비해 낮다. 작년 3분기 기준 한국의 서비스 수출 비중은 15.8%로 주요 7개국(G7·29.9%)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이러한 서비스 경쟁력 약화는 한국 수출이 반도체 등 ‘상품’에 편중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지난달 윤석열 대통령은 ‘2027년 서비스 수출 10위권 진입’을 목표로 제시하기도 했지만 여전히 실효성 있는 정책을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특히 관광 등 서비스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서비스업발전기본법안 등은 몇 년째 국회에 계류 중인 상태다.
서비스 수출 부진 심화는 상품 중심의 수출 회복세를 상쇄해 경제 성장 동력을 갉아먹을 수 있는 만큼 서비스업 경쟁력을 제고해 서비스 수출 비중을 높이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