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전국 아파트 착공 실적이 역대 최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사비 갈등에 주요 정비사업이 지체된 데다 미분양 여파로 신축 아파트 공급 수요가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26일 국토교통부 주택 건설 실적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전국 아파트 착공 실적은 13만 3585가구로 전년 같은 기간(27만 8566가구) 대비 52% 감소했다. 이는 2011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후 가장 작은 규모다. 전국 연간 아파트 착공 실적은 부동산 시장이 활황이었던 2021년 39만여 가구로 전년 대비 18%가량 증가한 뒤 2022년 28만여 가구로 줄었고 지난해에는 15만 가구를 밑돈 것으로 추정된다.
지방의 착공 실적 감소 폭이 컸다. 수도권의 아파트 착공 실적은 6만 6212가구로 전년 동기간(12만 9286가구) 대비 48% 감소했고 같은 기간 지방은 14만 9280가구에서 6만 7373가구로 54% 줄었다. 지난해 세종시에서 착공한 아파트는 단 한 가구도 없었다. 미분양이 적체된 대구시는 1만 4848가구에서 962가구로 94% 감소했고 제주시도 1909가구에서 858가구로 착공 실적이 55% 줄었다.
아파트 착공 실적이 감소한 주요 요인으로는 공사비 갈등이 꼽힌다. 주거환경연구원에 따르면 2022년 서울 재건축·재개발 평균 공사비는 자재 값과 인건비 상승 여파에 3.3㎡당 673만 원으로 2년 전(528만 7000원)에 비해 약 27% 뛰었다.
노원구 ‘상계주공5단지’는 지난해 11월 공사비 갈등 끝에 재건축 시공사인 GS건설과 계약을 해지했다. 이에 따라 2025년 목표였던 착공 시점도 미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 서초구 반포동 ‘반포주공1단지(1·2·4주구)’는 2017년 재건축 시공사로 현대건설을 선정한 뒤 2022년 1월 이주를 마쳤지만 2년이 넘도록 착공을 하지 못하고 있다. 조합은 기존 최고 35층에서 49층으로의 설계 변경을 추진했으나 공사비 상승을 우려한 일부 조합원들이 반대했고 논의가 길어지자 시공사와의 공사비 협상 시점도 미뤄진 상황이다.
지난해 1~11월 주거용 건축 허가 면적도 전년 동기 대비 30.5% 감소했다. 주택 공급의 선행지표인 아파트 인허가 및 착공 실적 부진이 이어지면서 향후 신축 아파트 공급도 줄어들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올해 주택 준공 물량이 2년 전(41만 가구)보다 27% 감소한 30만 가구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올해 역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와 대형 건설사 신용등급 하향 등 여파로 착공 실적이 감소하면서 향후 신축 아파트에 수요가 더 쏠릴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
*‘집슐랭 연재’ 구독을 하시면 부동산 시장 및 재테크와 관련한 유익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생하게 전달받으실 수 있습니다.
- [북스& – 베스트셀러] 불황 속 재테크 관심 쑥…’주식투자 단타전략’ 6위
- 1분만에 매진…임윤찬, 서울시향 새 시작 빛냈다
- 올해도 웹툰 콘텐츠 전성시대
- [북스& – 인터뷰] “팀장은 미니CEO…팀원 움직여 성과 이뤄야죠”
- 미뤄진 메이저 25승…조코비치, 호주오픈 4강서 탈락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