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무안군 재해위험지구 신축 아파트 ‘일파만파’

아주경제 조회수  

 

지난 2022년부터 입주한 무안읍 A아파트 주위에 지난달 말 ‘재해위험지구’를 알리는 표시가 내걸렸다사진김옥현 기자
지난 2022년부터 입주한 무안읍 A아파트 주위에 지난달 말 ‘재해위험지구’를 알리는 표시가 내걸렸다[사진=김옥현 기자]

전남 무안군 무안읍 한 신축아파트가 건설사의 지질조사서에만 의존한 채 허가를 내준 것으로 드러나면서 각종 의혹이 커지고 있다.
 
16일 무안군에 따르면 지난 2022년부터 입주한 무안읍 A아파트 주위에 지난달 말 ‘재해위험지구’를 알리는 표시가 내걸렸다가 보도가 나간 후 철거하는 해프닝이 일어났다.
 
2022년부터 입주를 시작해 208세대의 주민들이 1년 넘게 생활하고 있었던 상황에서 무안군이 주민들의 안전을 무시하고 건축과 입주를 허가 한 것이란 눈총이 커지고 있다.
 
특히 무안군은 5년이나 늦게 표지판을 설치한 것에 대해 단순 실수에 의한 것으로 치부하며 ‘깜빡했다’는 황당한 입장이다.


 
때문에 재해위험지구 해제없이 허가를 내준 점과 아파트 재해영향평가 위원 모두가 군청 직원들로 구성됐다는 점 등으로 입주민들 사이에서 군과 건설사가 결탁한 것 아니냐는 소문까지 나돌고 있다.
 
무안군은 2018년 3월 무안읍 성남리 일대 5만여㎡의 면적을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붕괴위험지구) ‘가’ 등급으로 지정했다.
 
그런데 고작 1년 만인 2019년 5월 재해위험지구 일부가 포함된 부지를 건축 허가하면서 아파트가 들어서 입주를 마쳤다.
 
지금까지도 석회암 공동에 의해 지반 함몰 및 침하현상에 의한 군민의 재산 및 인명피해가 예상돼 위험지구로 유지되고 있다.
 
이곳에 아파트가 들어설 수 있었을까?
 
무안군이 아파트를 건설한 업체의 지질조사서에만 의존했다는 의혹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 무안군은 재해위험지구 내 공동주택 허가에서 제일 중요한 재해영향평가의 대한 착공 준공 허가를 내지 않고, 재해위험지구 해제없이 사용승인해 준 꼴이다.
 
무안군이 재해 영향 평가에 대한 관리감독없이 업체의 자료에만 근거해 아파트 공사에 대한 착공과 완공 검사만 진행한 것도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실제 A평가위원은 “지반공동화 현상에 따른 지반침하가 우려됨에 따라 지반조사결과에 따른 사전방지대책 수립 시행하라”고 평가했다.
 
B평가위원 또한 “사업지구는 지반이 침하돼 자연재해 위험지구로 지정됐던 지역임으로 과도한 지반 굴착개량이나 용수유출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라”고 평가했다

본보 12일자 ‘무안 신축 아파트 입주 1년 뒤 ‘재해위험지구’ 표지판설치 물의’제하 기사가 나간 후 표지판이 사라진 사진사진김옥현 기자
본보 12일자 ‘무안 신축 아파트 입주 1년 뒤 ‘재해위험지구’ 표지판설치 물의’제하 기사가 나간 후 표지판이 사라진 사진[사진=김옥현 기자]

 
그럼에도 무안군은 재해영향평가에 대한 관리감독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입주민들은 “주민의 안전을 지켜줘야 할 무안군은 건설사가 ‘안전하다’고 하는 지질조사 지반조사보고서에만 의존해 건축허가가 나갔고 가장 중요한 재해영향평가 관리 감독을 한번도 하지 않았다”며 “표지판 설치 이후 붕괴 위험 속에 불안해 하고 있는데, 무안군 공무원들로만 평가위원을 구성한 것은 업체와 ‘짜고 치는 것’ 아닌가 하는 의혹만 커지고 있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이와 관련 무안군은 “재해영향평가에 대한 관리 감독을 하지 않은 것은 실수”라며 “재해영향평가에 대한 착·준공을 이제라도 살펴보고 건설사에 대한 행정조치로 과태료를 처분하겠다”고 밝혔다.
 

아주경제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경제] 랭킹 뉴스

  • 올림픽 맛있게 응원하자…집관족 취향저격 ‘올림픽 에디션’
  •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 93.7%...1년 11개월 만에 최고점 찍었다
  • 질병청 '성인 패혈증 초기치료지침' 첫 발간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8월 극장가 '재개봉 러시'…인생영화 다시 스크린으로

[경제] 공감 뉴스

  • 케이뱅크, MY체크카드 90만장 넘었다..."인뱅 유일 K 패스 기능 탑재"
  • 삼정KPMG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에 슬립테크 부상”
  • ‘나는 솔로’ 21기 최종 선택 대반전…순자, 영철 직진에도 선택 포기
  • "‘용인 스마일 보이’ 우상혁이 웃었다"...이상일 용인특례시장, 높이뛰기 우상혁 선수 '응원'하고 '격려'
  • 삼성자산운용, 공식 유튜브 채널 정보 시리즈 인기몰이
  • NH농협은행, 농촌 학생들과 '초록사다리 여름캠프' 개최

당신을 위한 인기글

  • “고속도로에서 다들 이런 거야?” 연휴 노린 귀향길의 얌체족들
  • “주유소에서 멧돼지 바베큐 할 뻔” 운전자들, 하다 하다 주유소도 조심해야 하나
  • “이젠 비트코인도 압류?” 과태료 체납자, 돈 숨겨도 다 털릴 예정!
  • “싹 다 밀어버린 준비 끝냈다” 차주들, 범칙금 안 내려면 미리 치워야 한다
  • “이거 들어오면 제네시스도 위험!” 4천만원대 프리미엄 전기 SUV 출시 예정
  • “성공하더니 7천 만원 외제차 구입” 이주빈, BMW X4로 장롱 면허 탈출
  • “현대차에 손벌리는 미국!” 스타리아에 쉐보레 마크 달리는 이유
  • “팰리세이드의 유일한 대항마” 아빠들 난리난 트래버스 풀체인지 하이컨트리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전참시' 신현준, 故김수미 향한 그리움에 오열...정준호 특별출연

    연예 

  • 2
    “잘 칠수밖에 없는 스윙, (김)영웅아 조금만 힘 빼라” 이대호 극찬…삼진 줄이고 AVG 올리는 특급조언

    스포츠 

  • 3
    “3년 치 물량 동났다”… 수억 원대 슈퍼카의 ‘역대급 흥행’ 비결

    차·테크 

  • 4
    환율의 뉴노멀은 수준이 아니라 변동성이다 [양석준의 마켓인사이드]

    뉴스 

  • 5
    ESG와 컴플라이언스 [민창욱 변호사의 ESG 길라잡이]

    뉴스 

[경제] 인기 뉴스

  • 올림픽 맛있게 응원하자…집관족 취향저격 ‘올림픽 에디션’
  •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 93.7%...1년 11개월 만에 최고점 찍었다
  • 질병청 '성인 패혈증 초기치료지침' 첫 발간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8월 극장가 '재개봉 러시'…인생영화 다시 스크린으로

지금 뜨는 뉴스

  • 1
    “이렇게 보관하면 10일도 거뜬…” 올바른 상추 보관법, 차근차근 알려드립니다

    여행맛집 

  • 2
    연기 지도해주다가 한눈에 반해버려서 결혼까지 해버린 남자배우

    뉴스 

  • 3
    "텀블러에 치약을 발라보세요"… 정말 놀라운 일이 생깁니다

    여행맛집 

  • 4
    "어머니, 넘어지면 큰일나요"…삼성, 美 '낙상예방' 효도앱 투자

    뉴스 

  • 5
    [설 여론조사 분석]'윤 대통령 탄핵 기각' 36%~40%...'헌재 비율상 탄핵기각이 민심' [방송3사 4개여론조사]

    뉴스 

[경제] 추천 뉴스

  • 케이뱅크, MY체크카드 90만장 넘었다..."인뱅 유일 K 패스 기능 탑재"
  • 삼정KPMG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에 슬립테크 부상”
  • ‘나는 솔로’ 21기 최종 선택 대반전…순자, 영철 직진에도 선택 포기
  • "‘용인 스마일 보이’ 우상혁이 웃었다"...이상일 용인특례시장, 높이뛰기 우상혁 선수 '응원'하고 '격려'
  • 삼성자산운용, 공식 유튜브 채널 정보 시리즈 인기몰이
  • NH농협은행, 농촌 학생들과 '초록사다리 여름캠프' 개최

당신을 위한 인기글

  • “고속도로에서 다들 이런 거야?” 연휴 노린 귀향길의 얌체족들
  • “주유소에서 멧돼지 바베큐 할 뻔” 운전자들, 하다 하다 주유소도 조심해야 하나
  • “이젠 비트코인도 압류?” 과태료 체납자, 돈 숨겨도 다 털릴 예정!
  • “싹 다 밀어버린 준비 끝냈다” 차주들, 범칙금 안 내려면 미리 치워야 한다
  • “이거 들어오면 제네시스도 위험!” 4천만원대 프리미엄 전기 SUV 출시 예정
  • “성공하더니 7천 만원 외제차 구입” 이주빈, BMW X4로 장롱 면허 탈출
  • “현대차에 손벌리는 미국!” 스타리아에 쉐보레 마크 달리는 이유
  • “팰리세이드의 유일한 대항마” 아빠들 난리난 트래버스 풀체인지 하이컨트리

추천 뉴스

  • 1
    '전참시' 신현준, 故김수미 향한 그리움에 오열...정준호 특별출연

    연예 

  • 2
    “잘 칠수밖에 없는 스윙, (김)영웅아 조금만 힘 빼라” 이대호 극찬…삼진 줄이고 AVG 올리는 특급조언

    스포츠 

  • 3
    “3년 치 물량 동났다”… 수억 원대 슈퍼카의 ‘역대급 흥행’ 비결

    차·테크 

  • 4
    환율의 뉴노멀은 수준이 아니라 변동성이다 [양석준의 마켓인사이드]

    뉴스 

  • 5
    ESG와 컴플라이언스 [민창욱 변호사의 ESG 길라잡이]

    뉴스 

지금 뜨는 뉴스

  • 1
    “이렇게 보관하면 10일도 거뜬…” 올바른 상추 보관법, 차근차근 알려드립니다

    여행맛집 

  • 2
    연기 지도해주다가 한눈에 반해버려서 결혼까지 해버린 남자배우

    뉴스 

  • 3
    "텀블러에 치약을 발라보세요"… 정말 놀라운 일이 생깁니다

    여행맛집 

  • 4
    "어머니, 넘어지면 큰일나요"…삼성, 美 '낙상예방' 효도앱 투자

    뉴스 

  • 5
    [설 여론조사 분석]'윤 대통령 탄핵 기각' 36%~40%...'헌재 비율상 탄핵기각이 민심' [방송3사 4개여론조사]

    뉴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