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수출은 전년대비 7.4% 감소한 6326.9억 달러·수입은 12.1% 감소한 6426.7억 달러·무역수지는 99.7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23년 수출은 글로벌 고금리 기조·중국 경기회복 지연 등 어려운 대외여건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수출 호조세 지속·일반기계 및 선박 2분기 이후 플러스 전환·반도체 수출의 점진적 회복 등에 따라 1분기 저점 이후 개선 흐름을 이어가면서 10월에 플러스로 전환되었다.
무역수지는 수출의 점진적 개선과 에너지 가격 안정화 등에 따른 수입 감소로 6월에 흑자 전환되었다. 하반기 기준으로 총 163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이에 힘입어 무역수지 적자규모는 99.7억 달러로 전년 대비 크게 축소되었다.
품목별로는 자동차·일반기계·선박 등의 수출이 증가했다. 자동차 수출은 전기차·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와 같은 고부가 차량 수출 판매 호조에 따라 709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역대 최고인 2022년 실적(541억 달러)을 30% 이상 경신했다.
일반기계 수출은 전년대비 4.6%, 선박 수출은 20.9% 증가했다.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수출은 1분기 저점 이후 개선 흐름이 지속되고 있으며 11월 플러스 전환 이후 2개월 연속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주요 9대 수출시장 중 미국·EU(유럽연합)·중동·CIS(독립국가연합)에서 수출이 증가했다. 대(對)미국 수출은 역대 최대실적(1157억 달러)을 기록하며 18년 만에 아세안을 제치고 2위 수출시장의 위상을 되찾았다.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과 미국의 수출 비중 차이도 2003년 이후 최소 수준인 1.5%p로 좁혀졌다.
대(對)EU 수출도 자동차·일반기계 등 수출 호조세에 힘입어 역대 최고실적을 기록했다. 대(對) 중국 수출은 중국 경기둔화에 따라 19.9% 감소했다. 다만 중국 수출은 8월 이후 5개월 연속 100억 달러를 상회하면서 개선 흐름이 이어졌다.
방문규 산업부 장관은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지난해는 동아시아 경쟁국들에 비해 수출 위기를 조기에 극복한 한 해였다”며 “새해에도 수출이 우상향 기조를 확고히 하고 경제성장을 이끄는 핵심 견인차가 될 수 있도록 총력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