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소비심리 등서 트럼프 우세
바이든, 학자금 대출 탕감·재정적자 축소
트럼프 경고에도 바이든 집권 후 증시 호황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경제 성과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감염증 대유행)과 고금리의 영향을 받았다. 기준금리와 가처분 소득, 소비자 심리 등의 분야에서는 대규모 경기부양을 꾀했던 트럼프가 우세한 반면, 바이든은 학자금 대출 탕감 및 증시 호황, 재정적자 감소라는 성과를 냈다고 최근 워싱턴포스트(WP)가 평가했다.
기준금리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정부로부터 독립적으로 운영된다. 하지만 연준의 통화정책이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정부와 분리해 두고 보기는 어렵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재임 기간 연준은 치솟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11차례 인상했다. 이에 따라 미국 기준금리는 0.25%에서 현재 5.50%까지 급등하며 2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랐다. 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주택담보대출(모기지)과 개인 대출, 신용카드 대출 등 모든 부문의 대출 비용이 상승했다.
트럼프 정권에서 금리가 가장 높았던 때는 2018년 말에서 2019년 중반으로, 당시 기준금리는 2.50% 수준이었다.
가처분 소득
미국인의 소비력은 바이든 대통령의 임기 초반인 2021년 이후 크게 감소했다. 물가가 가파르게 오르고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기간의 경기부양책을 줄여 나가자 가계 소득에 큰 변화가 생긴 것이다. 최근에는 임금 상승률이 인플레이션을 추월하면서 미국인들의 실질 가처분소득이 지난해보다 양호해졌다.
반면 트럼프 집권 기간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 대유행) 이전까지 미국인들의 소비력은 꾸준히 증가했다. 미국인의 실질 가처분소득은 2017년 1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약 10% 증가했다.
주식 시장
트럼프는 재임 기간의 증시 호황을 자신의 치적으로 내세워 왔다. 그는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바이든이 대통령이 된다면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주식 시장 붕괴가 일어날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트럼프의 경고에도 미국증시는 바이든 집권 이후 상승세를 이어 왔다. 지난해 고금리와 변동성 확대 우려로 주춤했던 주가는 연준의 금리 인상 종료 기대감에 다시 회복세로 돌아섰다. 다우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이번 달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S&P500지수도 최고점을 눈앞에 두고 있다.
학자금 대출
미국의 미상환 학자금 대출 잔액은 20년간 꾸준히 증가해 왔다. 바이든 대통령은 학자금 대출 부담을 줄이겠다는 포부를 갖고 취임했다. 실제로 바이든 정부는 360만 명이 넘는 미국인의 학자금 대출 약 1320억 달러(약 171조4550억 원)를 탕감했다. 저소득층 학생에게 제공되는 ‘펠 그랜트’ 보조금도 늘렸다. 그 결과 최근 6개월 동안 미상환 학자금 대출 잔액이 감소했다.
소비자 심리
경제 지표의 강세에도 미국의 소비자심리는 바이든 정부 들어 급격히 악화했다. 미국 미시간대가 집계하는 소비자심리지수는 유가가 사상 최고치로 치솟았던 지난해 6월 50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이번 달 소비자심리지수는 69.40을 기록하며 다시 반등했지만, 여전히 트럼프 정부 시절보다 낮은 수준이다.
재정적자
미국 연방정부 재정적자는 트럼프 집권 시절 매년 증가해 2020년 정점을 찍었다. 코로나19 팬데믹 대응을 위한 대대적인 감세 조치 등으로 당시 미국의 정부 부채는 7조8000억 달러에 달했다. 바이든 정부가 들어선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적자 폭은 줄었지만, 재정적자는 올해 다시 전년 대비 23% 늘어난 1조7000억 달러로 증가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