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태영건설이 28일 오전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을 신청했다. 그간 태영건설에 수천 억 원대 대출을 제공해온 금융기관들은 채권을 온전히 회수할 수 있을지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오전 중 채권단 협의회 구성을 통보할 예정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태영건설의 올해 3분기 말 차입금 총액은 장기 1조 4942억 원, 단기 6608억 원 등 총 2조 155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중 국내 은행들로부터 빌리 차입금은 장기 4693억 원, 단기 2250억 원 등 총 7243억 원이다. 장기 차입금에는 일반·시설자금 대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이 포함된다.
가장 많은 돈을 빌려준 은행은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이다. 산은은 PF 대출 1292억 원, 단기 차입금 710억 원 등 2002억 원의 채권을 보유했다. KB국민은행은 PF 대출 1500억 원, 단기 차입금 100억 원 등 1600억 원, IBK기업은행은 PF 대출 997억 원 우리은행은 단기 차입금 720억 원을 각각 빌려줬다. 이외 신한은행 636억 원, 하나은행 619억 원 등 순이다.
보험·증권사, 제2금융권 등의 대출도 적지 않았다. 한화생명보험은 845억 원, IBK연금·흥국생명보험이 각 268억 원, 농협생명보험은 148억 원의 PF 대출을 태영건설에 내줬고, 농협손해보험은 333억 원, 한화손해보험과 푸본현대생명보험은 각 250억 원의 시설자금 대출을 제공했다.
증권 업계에서는 KB증권의 PF 대출금 412억 원이 가장 많았다. 이외 하나증권이 300억 원, 한양증권이 100억 원의 단기차입금을 제공했다. 신협중앙회와 용인중앙새마을금고도 각각 397억 원, 359억 원의 대출 채권이 있었다.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을 신청함에 따라 산은은 이처럼 대출 채권을 보유한 금융회사를 대상으로 채권금융기관 협의회를 구성, 소집할 예정이다. 태영건설이 이후 경영정상화 계획 등 자구안을 제출하면 채권단은 이를 심사 후 지원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워크아웃 개시는 채권단의 75%가 동의해야 가능하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