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HMM 품은 김홍국 ‘벌크+컨테이너’ 시너지로 국내 대표 해운그룹 도약

한국금융신문 조회수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

[한국금융신문 서효문 기자]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사진)이 HMM(대표 김경배)을 품게 되면서 국내 대표 해운기업으로 발돋움한다. HMM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김 회장은 ‘벌크+컨테이너’ 시너지로 해운시장 불황을 타파, 초대형 국적선사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산업은행(회장 강석훈닫기

강석훈기사 모아보기)과 한국해양진흥공사는 지난 18일 하림그룹(팬오션·JKL컨소시엄)을 HMM 매각 우선협상대상자(이하 우협)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산은 측은 “HMM 경영권 매각 우협으로 팬오션·JKL컨소시엄을 선정했다”며 “향후 세부 계약 조건에 대한 협상을 거쳐 내년 상반기 중 거래를 종결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하림그룹도 국내 최대 해운사의 우협으로 선정된 만큼 순조롭게 인수를 끝내겠다고 밝혔다. 하림그룹 측은 “우협 지위를 갖고 매각 측과 성실한 협상을 통해 남은 절자를 마무리, 본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예정대로 내년 상반기에 인수를 잘 마무리한다면 팬오션과의 시너지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상향, 신뢰받는 국적선사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언급했다.

대조적인 컨테이너·벌크 운임 추이

HMM이 김홍국 회장 품에 순조롭게 안긴다면 하림그룹은 ‘벌크+컨테이너’라는 이상적인 해운업 사업구조를 가지게 된다. 해당 사업구조는 ‘컨테이너 해상운임 급락’이라는 HMM의 악재를 극복할 수 있는 동력이 될 수 있다고 하림그룹은 기대한다. 이는 운임지수 추이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지료=한국관세물류협회.

지료=한국관세물류협회.

지료=한국관세물류협회.

HMM 품은 김홍국 ‘벌크+컨테이너’ 시너지로 국내 대표 해운그룹 도약

이미지 확대보기

한국관세물류협회에 따르면 현재 상하이컨테이너지수(SCFI)와 발틱운임지수(BDI)는 상당히 대조적이다. SCFI는 작년 초를 기점으로 하락해 올해부터는 1000포인트대(1093.52. 2023년 12월 15일 기준)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해 1월(2022년 1월 7일 기준) 5109.6포인트를 기록하던 것과 매우 대조적이다.

반대로 BDI는 올해 4분기부터 다시 상승하기 시작, 지난해 초와 유사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지난 18일 기준 BDI는 2288포인트다. 3일 전(12월 15일) 2348포인트 대비 소폭 하락했지만 올해 초 500포인트대(2023년 2월 16일 기준)까지 떨어졌던 내림세를 떨쳐낸 모습이다. 이는 호황이었던 지난해 초(2022년 1월 5일 2285포인트)와 유사한 수준이다.

자료=한국관세물류협회.

자료=한국관세물류협회.

자료=한국관세물류협회.

HMM 품은 김홍국 ‘벌크+컨테이너’ 시너지로 국내 대표 해운그룹 도약

이미지 확대보기

즉, SCFI와 BDI의 대조적인 상황은 팬오션과 HMM의 시너지를 기대하기 충분한 요소로 풀이된다. 하림그룹 측도 “양사가 쌓아온 시장수급과 가격 변동에 대한 대응력이 훌륭하다”며 “이를 통해 어떤 글로벌 해운시장 불황도 충분히 타개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며 팬오션과 HMM간의 적극적인 협력으로 컨테이너 운임 불황을 타파하겠다는 뜻을 시사했다.

HMM·팬오션 공통점 “약점 육성”

양사가 최근 각자의 약점으로 지적했던 부문을 육성하기 시작한 점도 시너지로 꼽힌다. 팬오션의 경우 벌크선 대비 약점으로 꼽현던 컨테이너선 부문이 2020년대 들어 매출이 지속해서 상승 중이다. 2020년 2467억 원에 불과했던 컨테이너선 부문 매출은 2021년 3533억 원, 지난해 5094억 원이다. 올해 3분기 역시 2789억 원의 누적 매출액을 기록, 약 4000억 원대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단위 : 억 원. 자료=팬오션.

단위 : 억 원. 자료=팬오션.

단위 : 억 원. 자료=팬오션.

HMM 품은 김홍국 ‘벌크+컨테이너’ 시너지로 국내 대표 해운그룹 도약

이미지 확대보기

HMM도 약점이었던 벌크선 육성에 집중한다. 이는 지난해 취임한 김경배 사장의 전략이기도 하다. 김 사장은 취임하자마자 벌크선 육성 카드를 꺼냈다. 지난해 7월 실시한 ‘중장기 전략 설명회’를 통해 그는 “벌크 선대 확대를 통해 컨테이너선에 집중된 사업 비중을 재조정할 것”이라며 “이는 중장기 전략 중의 하나로 국적선사로 책임을 다하고 지속성장을 이어가기 위한 행보”라고 설명했다.

김 사장의 벌크 육성은 조금씩 실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매출 비중이 5% 미만까지 떨어졌던 벌크선 매출 비중이 올해 들어 급등한 것. 올해 3분기 기준 벌크선 누적 매출은 전체 매출의 14.51%(9198억 원)였다. 2020년 8.46%, 2021년 4.96%, 2022년 5.89%였던 것과 비교하면 엄청난 상승세다.

기준 : 당해 전체 매출 대비, 단위 : %. 자료=HMM.

기준 : 당해 전체 매출 대비, 단위 : %. 자료=HMM.

기준 : 당해 전체 매출 대비, 단위 : %. 자료=HMM.

HMM 품은 김홍국 ‘벌크+컨테이너’ 시너지로 국내 대표 해운그룹 도약

이미지 확대보기

용선 비중을 낮추고 있는 점도 양사 간 공통점이다. 팬오션의 경우 60%가 넘었던 용선 비중을 현재. 50% 초반까지 끌어내렸다. 2020년대 들어 팬오션의 용선 비중은 2020년 55.76%(121척), 2021년 63.79%(192척), 2022년 58.96%(158척), 2023년 3분기 53.3%(128척)다.

HMM은 2010년대 후반부터 꾸준히 용선 비중을 줄이고 사선 확대를 펼쳐오고 있다. 2010년대 중반 고(高)용선료와 해상운임 급락에 대한 트라우마가 있어서다. 이를 바탕으로 HMM은 2019년부터 꾸준히 사선을 확충했다.

2019년 24척에 불과했던 HMM 사선은 ▲2020년 35척 ▲2021년 49척 ▲2022년 53척 ▲올해 3분기 61척으로 늘어났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

한국금융신문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AI 추천] 랭킹 뉴스

  • 구글, 보급형 스마트폰 '픽셀 8a' 공식 출시
  • 尹대통령 “부총리급 ‘저출생대응기획부’ 신설…교육·노동·복지 등 사회부처 이끌게 할 것”
  • 현대차 美 합작사 모셔널, 인력 줄이고 자율주행 상용화도 연기
  • ‘나혼산’ 안재현+안주=76.55kg, 다이어트 시작 “결전의 날이 왔다"
  • 현대모비스, 울산 전기차 부품공장 만든다...900억원 투자
  • 윤 대통령 "국민소득 5만달러 꿈 아냐…복지·시장정책 하나로"

[AI 추천] 공감 뉴스

  • 플랫폼·콘텐츠 고르게 성장한 카카오…'카카오톡'·'AI' 주력
  • ‘나혼산’ 안재현+안주=76.55kg, 다이어트 시작 “결전의 날이 왔다"
  • 윤 대통령 "국민소득 5만달러 꿈 아냐…복지·시장정책 하나로"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 현대차 美 합작사 모셔널, 인력 줄이고 자율주행 상용화도 연기
  • “빠르고 강력한 EV9 등장에 국내외 발칵!” 기아 EV9 GT 출시 예고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오토바이 싹 다 난리” 정부, 이제 오토바이 제대로 잡겠다 선언!
  • “쉐보레 스파크가 돌아왔다!” 전기 SUV로 변모한 스파크의 근황
  • “포터·봉고 발등에 불 떨어졌다” 르노, 볼보와 합작 전기 화물차로 정면승부
  • “현대차그룹이 진짜로 월클?” 글로벌 자동차 시장 빅3된 현대차그룹
  • “고속도로에서 다들 이런 거야?” 연휴 노린 귀향길의 얌체족들
  • “주유소에서 멧돼지 바베큐 할 뻔” 운전자들, 하다 하다 주유소도 조심해야 하나
  • “이젠 비트코인도 압류?” 과태료 체납자, 돈 숨겨도 다 털릴 예정!
  • “싹 다 밀어버린 준비 끝냈다” 차주들, 범칙금 안 내려면 미리 치워야 한다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잠룡열전]⑧ ‘친문 적자의 귀환’ 김경수, ‘진영 정치’ 속 틈 노릴까

    뉴스 

  • 2
    러시아 “부풀려진 中 해군력…세계 1위는 커녕 美 따라잡는데 25년 걸려”[이현호 기자의 밀리터리!톡]

    뉴스 

  • 3
    "딸, 2485만원이면 부담 없지?"…연비 21.4km/L '갓성비 세단' 정체

    뉴스 

  • 4
    [정책 인사이트] ‘필리핀 가사도우미’ 시범사업 이달 종료… 고용부, 本사업 고민 중

    뉴스 

  • 5
    조이, 뭔가 바뀐 것 같더니…성숙+러블리 '물올랐네'

    연예 

[AI 추천] 인기 뉴스

  • 구글, 보급형 스마트폰 '픽셀 8a' 공식 출시
  • 尹대통령 “부총리급 ‘저출생대응기획부’ 신설…교육·노동·복지 등 사회부처 이끌게 할 것”
  • 현대차 美 합작사 모셔널, 인력 줄이고 자율주행 상용화도 연기
  • ‘나혼산’ 안재현+안주=76.55kg, 다이어트 시작 “결전의 날이 왔다"
  • 현대모비스, 울산 전기차 부품공장 만든다...900억원 투자
  • 윤 대통령 "국민소득 5만달러 꿈 아냐…복지·시장정책 하나로"

지금 뜨는 뉴스

  • 1
    김윤혜 "'나의 완벽한 비서' 정수현, 나와 비슷…일상처럼 연기" [화보]

    연예 

  • 2
    국내 불법복제물 이용률 여전히 19.1%

    차·테크 

  • 3
    尹 구속기소 후 첫 주말 대규모 찬반집회…"파면" vs "석방"

    뉴스 

  • 4
    이런 모습 처음이야…신나는 ‘생일빵’→‘악!’허리잡은 감독→‘할리우드 액션’에 웃음꽃 피어난 캐링턴 훈련장→‘퇴출 3인방’도 동참→긍정적인 신호

    스포츠 

  • 5
    미쳤다 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 현대캐피탈 질주 누가 막나…쿠바 특급 36점 폭발, GS 꼴찌 탈출 시동

    스포츠 

[AI 추천] 추천 뉴스

  • 플랫폼·콘텐츠 고르게 성장한 카카오…'카카오톡'·'AI' 주력
  • ‘나혼산’ 안재현+안주=76.55kg, 다이어트 시작 “결전의 날이 왔다"
  • 윤 대통령 "국민소득 5만달러 꿈 아냐…복지·시장정책 하나로"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 현대차 美 합작사 모셔널, 인력 줄이고 자율주행 상용화도 연기
  • “빠르고 강력한 EV9 등장에 국내외 발칵!” 기아 EV9 GT 출시 예고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오토바이 싹 다 난리” 정부, 이제 오토바이 제대로 잡겠다 선언!
  • “쉐보레 스파크가 돌아왔다!” 전기 SUV로 변모한 스파크의 근황
  • “포터·봉고 발등에 불 떨어졌다” 르노, 볼보와 합작 전기 화물차로 정면승부
  • “현대차그룹이 진짜로 월클?” 글로벌 자동차 시장 빅3된 현대차그룹
  • “고속도로에서 다들 이런 거야?” 연휴 노린 귀향길의 얌체족들
  • “주유소에서 멧돼지 바베큐 할 뻔” 운전자들, 하다 하다 주유소도 조심해야 하나
  • “이젠 비트코인도 압류?” 과태료 체납자, 돈 숨겨도 다 털릴 예정!
  • “싹 다 밀어버린 준비 끝냈다” 차주들, 범칙금 안 내려면 미리 치워야 한다

추천 뉴스

  • 1
    [잠룡열전]⑧ ‘친문 적자의 귀환’ 김경수, ‘진영 정치’ 속 틈 노릴까

    뉴스 

  • 2
    러시아 “부풀려진 中 해군력…세계 1위는 커녕 美 따라잡는데 25년 걸려”[이현호 기자의 밀리터리!톡]

    뉴스 

  • 3
    "딸, 2485만원이면 부담 없지?"…연비 21.4km/L '갓성비 세단' 정체

    뉴스 

  • 4
    [정책 인사이트] ‘필리핀 가사도우미’ 시범사업 이달 종료… 고용부, 本사업 고민 중

    뉴스 

  • 5
    조이, 뭔가 바뀐 것 같더니…성숙+러블리 '물올랐네'

    연예 

지금 뜨는 뉴스

  • 1
    김윤혜 "'나의 완벽한 비서' 정수현, 나와 비슷…일상처럼 연기" [화보]

    연예 

  • 2
    국내 불법복제물 이용률 여전히 19.1%

    차·테크 

  • 3
    尹 구속기소 후 첫 주말 대규모 찬반집회…"파면" vs "석방"

    뉴스 

  • 4
    이런 모습 처음이야…신나는 ‘생일빵’→‘악!’허리잡은 감독→‘할리우드 액션’에 웃음꽃 피어난 캐링턴 훈련장→‘퇴출 3인방’도 동참→긍정적인 신호

    스포츠 

  • 5
    미쳤다 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 현대캐피탈 질주 누가 막나…쿠바 특급 36점 폭발, GS 꼴찌 탈출 시동

    스포츠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