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은밀하게 가격담합…305.4억 부과
DB메탈·심팩·동일·태경산업이 제조사 전부
실질적 경쟁없이 안정적으로 공급량 확보
공정위, “엄중 제재…기초소재 감시 강화”

철강산업 필수소재인 ‘망간합금철’ 구매입찰에서 담합한 국내 제조업체 4곳이 10여 년간 은밀하게 불공정행위를 해온 것이 드러나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수백억원 상당의 과징금 철퇴를 맞았다.
공정위는 13일 DB메탈, 심팩, 동일산업, 태경산업 등 국내 망간합급철 제조업체 4곳이 국내 10개 제강사들이 실시한 구매입찰에서 투찰가격 등을 담합한 행위를 적발해 시정명령과 과징금 총 305억3700만원을 부과하기로 했다.
10개 제강사는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세아베스틸, YK스틸, 한국철강, 대한제강, 한국특수형강, 태웅, 두산중공업 등이다.
이들 4개사는 국내 망간합금철 제조업체 전부다. 지난 2009년부터 2019년까지 약 10여년 간 총 165회 망간합금철 구매입찰에 참여하면서 가격하락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공급량을 확보하고자 투찰가격, 낙찰자 합의, 거래물량 등을 담합했다.
이 사건 입찰은 먼저 포스코와 현대제철을 시작으로 동국제강 등 중소 제강사들이 진행했다. 4개사는 포스코 입찰 전 사무실에 모여 포스코와 현대제철 투찰가격 등을 합의했다.
이후 실시한 동국제강 등 중소 제강사의 입찰에서는 따로 모이지 않고 카카오톡 메신저 등을 통해 합의를 진행했다.

특히 국내 전체 제강사의 입찰 물량을 사전에 일정 비율대로 배분하기로 합의했다. 합의된 비율은 디비메탈(34.5%), 심팩(30.0%), 동일산업(24.5%), 태경산업(11.0%) 등으로 조사됐다.
또 입찰 후에는 그 비율대로 상호 간 물량을 나눠 공급해 오랫동안 실질적인 경쟁 없이 각 사가 안정적으로 공급량을 확보했다.
정창욱 공정위 카르텔조사국장은 “장기간 관행처럼 지속됐던 담합을 근절하는 한편, 철강산업의 합리적인 가격형성과 합금철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산업 전반에 파급효과가 큰 기초소재 담합에 대한 감시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망간합금철은 철강 생산과정에 사용되는 부원료다. 철강에 필요한 성분을 첨가해 산소·유황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철을 질기고 단단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는 필수 첨가제로 쓰인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