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로 예정된 미국 연준(Fed)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기준금리 결정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채권전문가들은 매파적 동결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아울러 그간 가팔랐던 시장금리의 조정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11일 채권전문가들이 내놓은 보고서를 보면 이같은 전망에 대체적으로 일치했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12월 FOMC는 기준금리 만장일치 동결 전망 유지와 함께 매파적인 회의 내용을 예상한다. 점도표 조정도 크지 않거나 유지될 것”이라며 “연준은 최근 과도한 금리 하락 쏠림에 견제구를 날려야 할 필요가 있다”고 예상했다.
이어 “1993년 이후 긴축 사이클에서 인상이 종료된 뒤 기준금리가 고점을 유지한 기간은 평균 10.6개월”이라며 “기준금리 인상이 끝났다고 가정할 경우 금번 동결 기간은 5개월에 불과하다. 과거 평균만큼만 유지된다고 하더라도 인하는 (내년) 5월 이후에나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도 “12월 FOMC에서는 만장일치 기준금리 동결 및 QT(양적긴축)를 유지할 전망”이라며 “최근 시장이 빠르면 내년 3월 인하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는 만큼 기자회견에서는 과도한 인하 기대감과는 거래를 두는 코멘트를 전망한다. 파월은 11월 회의와 같은 매파적 동결을 의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채권시장에도 우호적 재료는 아닐 것이란 전망이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12월 FOMC는 채권시장에 그리 우호적인 변수가 아닐 것이다. 빠르게 하락한 금리 수준을 감안할 때 11월과 같은 비둘기파적 발언이나 행보를 기대하는 것은 쉽지 않아 보인다”며 “기준금리 인하 기대로 시장금리가 가파르게 하락했다는 사실을 통화당국이 이미 인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통화당국의 견제는 충분히 예견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임제혁 메리츠증권 연구원도 “12월 FOMC는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하나 경제전망(SEP)상 2024년 금리 인하는 50bp를 시사할 것으로 예상한다. 9월 점도표 분포가 퍼져있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75bp 가능성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예상보다 강했던 11월 고용지표를 반영하며 시장은 내년 인하기대를 113bp까지 하향 조정했지만 그럼에도 50~75bp 보다는 시장 기대가 앞서간 측면이 있다. 12월 FOMC는 가팔랐던 미국채 금리의 조정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