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집을 사려면 26년치 월급을 모아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혼부부나 청년층이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을 하거나 부모님의 도움을 받아도 보금자리를 마련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는 얘기다.
15일 한국은행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국내 가계당 소득 대비 주택가격배율(PIR)이 26배로 PIR 통계를 확인할 수 있는 전세계 80개국의 중앙값(11.9배)을 크게 웃돌았다. 이 같은 수치는 국가 비교 통계 사이트(NUMBEO)에 게시된 자료로 한국은행이 이번 보고서에서 인용했다. PIR은 중위 규모인 90㎡ 아파트 가격을 가계의 평균 순가처분소득으로 나누는 방식으로 산출됐다.
한국의 PIR은 1인당 국민소득이 비슷한 일본(10.3배), 이탈리아(9.7배), 스페인(7.8배)보다 2배 이상 높다. 아시아국가 중에서 인구 밀집이 높은 나라로 꼽히는 대만(20.1배)과 싱가포르(15.5배)도 넘어섰다.
한국보다 PIR이 높은 나라는 전체 80개국 가운데 △시리아(86.7배) △가나(78.6배) △홍콩(44.9배) △스리랑카(40.8배) △중국(34.6배) △네팔(32.8배) △캄보디아(32.5배) △필리핀(30.1배) △나이지리아(28.2배) △에티오피아(26.4배) 등 10개국에 그친다.
홍경식 한국은행 통화정책국장은 지난 14일 통화신용정책보고서 설명회에서 “주택가격이 고평가돼 있다는 사실은 주변을 봐도 잘 알 것”이라며 “어느 지표로 보더라도 고평가돼 있음을 부인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2021년 말부터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졌는데도 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과 엇박자를 내면서 집값이 크게 올랐다는 분석이 나온다.
문제는 급격한 집값 상승이 가계부채 증가를 부채질하면서 경제 전반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올 하반기 들어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가격이 다시 꿈틀대면서 가계대출이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은행 가계대출은 지난 4월부터 주택 관련 대출을 중심으로 5개월 연속 늘면서 올 들어 8월까지 17조원 증가한 상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