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인베스트·델리오 사태로 국내 가상자산(가상화폐) 예치 서비스 불안감이 커진 가운데 스테이킹(Staking)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예치 상품과 스테이킹이 큰 틀에서 구조가 비슷하다 보니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혼동하는 경우도 많다.
23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가상자산 예치와 스테이킹은 가상자산을 맡기고 일종의 이자를 지급받는 점에서 비슷하다고 볼 수 있지만 완전히 다른 개념이다.
‘먹튀’ 논란이 불거진 하루인베스트, 델리오 같은 예치 서비스는 사업자가 차익 거래 등을 통해 투자자에게 줄 이자를 충당한다. 쉽게 말해 가상자산 운용사가 가상자산을 운용해 수익률을 보장해 준 것이다.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는 “그 과정에서 하루인베스트, 델리오 등은 고이율을 내세우면서 고객에게 특별한 고지 없이 위험한 운용방법(선물, 옵션)까지 사용했던 것”이라며 “일종의 집합투자나 투자일임에 해당하는데 사업자 규제가 되지 않아 문제가 터졌다”고 말했다.
반면 스테이킹은 구조상 은행에 돈을 맡기는 예금과 유사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가상자산을 네트워크에 맡기는 행위라는 점에서 다르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 검증에 활용하고 그 대가로 가상자산을 보상으로 분배받는 것이다.
맹주희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원은 “블록체인이라는 네트워크가 유지되기 위해 블록을 생성하고 연결하는 방식을 통해 거래를 기록하고 검증해 주는 누군가가 필요하다”며 “이런 블록을 생성·기록·검증하는 방식에는 지분증명(PoS) 등이 있는데 스테이킹이 PoS 기반의 블록체인에서 활용된다”고 설명했다.
스테이킹은 24시간 동안 자신의 컴퓨터 등을 통해 노드(nod)를 운용해 블록 생성을 검증해야 하는데 가상자산 거래소나 관련 서비스 업체가 스테이킹을 수행한다.
블록체인 업계 관계자는 “스테이킹은 예치와 같이 금융상품으로 거래소에 맡기고 운용되는 게 아니라 블록체인 검증에 사용되는 거라 상품의 하나로 봐야 할지 여부도 판단이 필요하다”고 했다.
“스테이킹 상대적으로 안전하다지만… 위험성 대비 제도 마련 필요”
/사진=업비트 홈페이지 |
국내 5대 원화거래소 중 고팍스만 예치 서비스인 ‘고파이’를 운영했었고,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에서는 스테이킹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가령 업비트는 이더리움(연 추정 보상률 기대값 4.3%), 코스모스(22.5%), 에이다(3.4%) 등 총 3종의 가상자산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보상률은 수수료 (10%)를 제외하고 참여자들이 실제 분배받은 보상 수량을 연 단위로 환산해 일주일마다 업데이트한다.
스테이킹은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자금 여력이 있는 거래소에서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위험성이 덜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또 거래소들이 서비스 이용자의 권리의 전부나 일부 또는 계약상 지위를 제3자에게 이전, 양도, 담보제공 등 처분하지 않는다는 자체 이용약관을 마련해 놨다.
하지만 스테이킹 역시 적용되는 제도가 없는 실정이다. 스테이킹도 고수익률을 유지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가 보안이나 보상 분배 구조를 불투명하게 만들 위험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맹 연구원은 “전 세계적으로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스테이킹 서비스가 주요 사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만큼 국내에서도 증권성 여부를 점검하고 향후 투자자 보호를 위한 보안·보상 분배 구조 등 스테이킹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에 대한 제도적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