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광양항만공사의 해양플라스틱 자원순환 사업으로 탄생한 업사이클링 의류 /사진=김훈남 |
“재생 페트(PET)병은 우리가 버린 페트병을 씻어서 쓰는 건가요?”
당연한 말이지만 대답은 “아니오“이다. 씻어서 다시 쓰는 것은 가정에서 폐기물을 버리기 전 단계다. 우리가 분리배출해서 버리는 폐플라스틱은 소재의 성질과 상태에 따라 적합한 재활용 방식을 거쳐 새 제품으로 탄생한다.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방법은 크게 물리적 재활용과 화학적 재활용 등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물리적 재활용은 폐플라스틱을 종류별로 분류한 뒤 파쇄 후 물과 약품 등으로 이물질을 씻어 낸다. 이후 압출 성형 등을 통해 1차 가공물인 필렛 혹은 플레이크로 만들어 낸 뒤 2차 가공을 거쳐 제품을 만드는 방식이다.
우리가 최근 백화점 등 매장에서 볼 수 있는 재생 플라스틱 원사(原絲)를 사용한 의류 제품이 대표적인 예다. 폐플라스틱에서 뽑은 실을 식혀 옷감을 만드는 셈이다. 재생 플라스틱을 활용한 페트병이나 식품 용기 역시 물리적 플라스틱 재활용에 속한다.
물리적 재활용은 비교적 공정이 단순한 것이 강점으로 꼽힌다. 플라스틱 가운데 가장 고품질 제품에 해당하는 PET가 주로 물리적 재활용에 쓰인다. 화학이나 열처리가 적기 때문에 탄소 감축 효과도 뛰어나다는 설명이다. 다만 불순물을 얼마나 제거하느냐가 곧 제품의 질과 직결되는 탓에 전(前)처리가 필수고 폐기물 상태에 따라 재활용이 불가능하기도 하다. 원유에서 제품을 만드는 기존 방식에 비해 생산비용이 늘어난다는 점, 재활용 횟수가 늘어날수록 제품 성능이 떨어진다는 점 등도 단점으로 꼽힌다.
화학적 재활용은 폐플라스틱을 ‘녹여’ 새 제품의 원료로 만드는 방식이다. 성분분해를 하기 때문에 여러 플라스틱 소재가 섞인 제품이나 비닐 등 재활용에 주로 쓴다. 중합체인 폐플라스틱을 300~600도(℃) 녹이면 플라스틱의 최초 원료 형태인 ‘모노머'(단위체)로 분리된다. 이를 다시 석유화학 공정의 원료인 납사(나프타)로 만들어 플라스틱의 순환고리를 구성하는 게 최종 목표다.
오염정도나 제품 성질에 크게 구애받지 않아 물리적 재활용의 한계를 극복할 기술로 꼽히지만 현재까지 화학적 재활용은 폐플라스틱에서 뽑은 열분해유를 난방용으로 쓰는 데 그치고 있다. 우리 석유업계는 내년까지 실증을 거쳐 화학적 재활용으로 얻은 납사를 기존 플라스틱 공정에 투입하는 실험을 진행 중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