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산업 발전을 위해 공공기관의 직접구매를 가능하게 하는 등 제도 개선에 나서자 업계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클라우드 기업들은 공공기관 고객을 확보해 민간확대와 해외진출까지 노릴 계획이다.
19일 IT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근 ‘소프트웨어사업 계약 및 관리감독에 관한 지침’을 개정해 SaaS 직접구매 제도를 도입했다. 그동안 설치형 SW(소프트웨어)에만 적용되던 직접구매 제도를 디지털서비스몰에 등록된 SaaS까지 확대 적용하는 근거를 마련한 것이다.
직접구매 제도란 용역구축 사업에서 발주기관이 통합 발주를 하지 않고 직접 조건에 맞는 제품을 찾아 구매하도록 하는 제도다. 직접구매가 가능한 상황에서 공공기관은 통합 발주보다 직접구매를 우선 고려해야 한다. 중소·중견기업들은 이번 직접구매 대상 확대로 중간 마진이 사라져 제값을 받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됐다는 반응이다.
IT대기업들도 이번 제도 개선을 반기는 분위기다. 그동안 대기업 SaaS는 SI(시스템통합) 사업 통합 발주에 포함돼 소프트웨어 진흥법 상 대기업 참여 제한에 걸려 사업을 수주하기가 어려웠다. 하지만 이번 제도 개선으로 SaaS만 별도로 직접구매가 가능해져 대기업 SaaS의 공공기관 진출길이 넓어진 것이다.
한 IT 대기업 관계자는 “그동안 공공기관에서도 암암리에 중소·중견기업이 아닌 대기업의 SaaS를 구독하고 싶어하는 움직임이 있었던 것으로 안다”며 “SaaS만 따로 직접구매가 가능해지면 대기업 입장에서는 좀 더 쉽게 공공분야로 진출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또다른 IT 대기업 관계자도 “SaaS 사업의 경우 SI 사업을 수주하는 것보다 사업 규모가 작아서 금전적인 이익은 크지 않다”면서도 “공공기관에서 쓰면서 점차 여러 곳에서 많이 쓰이게 된다면 작은 것들을 쌓아 레퍼런스 측면에서 좀 더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SaaS 산업 발전 방향에 맞춰 IT 대기업들도 자사 SaaS의 해외진출 전략 수립에 매진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 SaaS 전환에 대한 관심도가 낮은 편인데 해외 기업ㄷ르은 상대적으로 높은 관심을 보여서다. IT 대기업 입장에서는 국내시장 공략보다 해외진출이 급한 상황이다.
대표적으로 삼성SDS는 최근 국내 1위 SRM(구매공급망관리) 솔루션 기업 엠로, 미국 공급망 플랫폼 기업 오나인솔루션즈와 전략적 협력 관계를 맺고 글로벌 SRM SaaS 솔루션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SCP(공급망계획) 역량을 갖춘 삼성SDS가 SRM 역량 확보 뿐만 아니라 글로벌 사업망까지 확보해 향후 사업 영역을 확장한 것이다.
LG CNS도 MS(마이크로소프트)와 함께 클라우드 보안 사업을 협력하는가 하면 MS 애저를 기반으로 한 기업용 생성AI(인공지능)를 만들기로 했다. LG CNS는 최근 싱글렉스 플랫폼으로 각 기업이나 기관에서 필요한 SaaS를 컨설팅해주는 등 SaaS 역량을 강화하는 모습이다.
SK C&C는 자사의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을 MS 애저의 헬스케어 산업군과 협력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국내 CRM(고객관계관리) 전문 기업인 세일즈포스코리아와 함께 SaaS 기반 산업별 업무 특화 IT서비스 오퍼링 모델 공동 개발에 착수하기도 했다.
한 IT서비스 업계 관계자는 “기존 SI 구축의 경우 고객의 요구사항대로 사업마다 시스템이 다 달라서 통합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어갔다면 SaaS는 이미 만들어진 것을 가져다 쓰는 방식이라 유지비용만 들어 향후 국내에서도 수요가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며 “이미 글로벌 SW(소프트웨어) 시장에서는 SaaS 비중이 제일 높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