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부동산 경기 위축, 미분양 주택 누증으로 건설업 영업환경이 악화하면서 일부 건설기업의 재무건전성이 저하되고 부실위험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방 중소 건설기업의 한계기업과 부실위험기업 비중이 크게 상승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한국은행은 23일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지방 중소 건설기업은 대기업과 수도권 소재 중소 건설기업에 비해 한계기업과 부실위험기업 비중이 더 크게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은이 사업보고서를 공시한 비금융 상장기업 2392개 중 건설업 72개 기업을 분석한 결과 상장 건설기업은 지난해 1∼3분기 중 상환능력, 유동성, 안정성이 저하됐다. 영업이익만으로 이자 비용을 감당하지 못하는 취약 기업 비중은 지난해 9월 기준 36.1%로 2021년 말(28.9%)보다 상승했다.
같은 기간 유동성 우려 기업 비중도 18.1%로 전년(13.3%)보다 커졌다. 유동성 우려 기업은 1년 이내에 상환 만기가 돌아오는 유동부채가 1년 이내 현금화할 수 있는 유동자산보다 많은 유동비율 100% 미만 기업이다.
부채비율(부채/자기자본)은 지난해 9월 말 107.9%로, 2021년 말(97.4%)보다 상승했다. 다만 부채가 자기자본의 200%를 초과하는 과다부채기업 비중은 19.4%로 2021년 말(27.7%)보다 하락했다.
건설기업의 중위 부실 위험(기업이 1년 후 부도 상태로 전환될 확률)은 0.613%로 2021년 말(0.603%)에 비해 소폭 상승했으며, 부실 위험기업(부실위험 5% 초과) 비중은 2.8%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일부 건설기업은 프로젝트파이낸싱과 부동산 관련 기타 대출에 대한 상당 규모의 채무 보증을 제공하고 있어 우발채무가 현실화할 경우 부실 위험이 커질 수 있다. 한은에 따르면 상장 건설기업 중 32개 기업이 PF대출·유동화증권에 대한 채무보증을 제공하고 있으며, 일부 기업은 자기자본의 2배를 초과하는 PF 채무보증을 제공했다.
중도금 대출 보증 등 기타 채무보증을 모두 포함하면 44개 기업이 부동산 관련 우발채무를 보유하고 있으며, 10분의 1 정도가 우발채무 규모가 자기자본의 5배를 초과했다.
또 지난해 건설경기 부진, 원자재 가격 상승과 이자비용 부담 등으로 건설 기업 내 한계기업과 부실위험기업의 비중이 중소 건설기업을 중심으로 크게 상승했을 것으로 한은은 추정했다. 지역별로는 지방 소재 중소 건설기업의 한계기업과 부실위험기업 비중이 수도권 소재 기업보다 더 크게 상승했을 것이란 분석이다.
이에 따라 분양을 통해 자금이 공급돼 최종 청산되는 부동산 PF의 특성을 고려할 때 부동산 PF 부실 예방과 건설사의 재무위험 완화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부동산 경기의 연착륙이 중요할 것으로 한은은 판단했다.
한은은 “재무제표상 재무비율로 평가한 부실위험이 이미 5%를 초과한 기업은 물론, PF 채무보증 제공 규모가 큰 건설기업과 이들이 시공·보증한 PF사업장에 대한 미시적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며 “일시적으로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건설기업에 대해 자구노력을 전제한 조건부 지원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MB·文 이어 朴도…달성군 입주 1주년 맞아 잠행 끝?
- “딸 가질래요” 정자 성별 선택해 인공수정 가능해진다
- 아동·청소년 성범죄 가해자 10명 중 6명은 ‘아는 사람’
- 코인원, 9주년 기념 사내 소통 강화 캠페인 진행
- 일반대학에서도 온라인 수업만 듣고 학사학위 취득 가능해진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