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시각 3일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New York Stock Exchange)에서 뉴욕 증시 상장 종목 중 핵심 기술 종목 100개를 모아 만든 나스닥(NASDAQ·National Association of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을 포함한 주요 3대 지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Federal Reserve System)의 금리 인상 기조 영향으로 하락 마감했다./그래픽=<한국금융신문>
[한국금융신문 임지윤 기자]
미국 뉴욕 증시가 일제히 다시 하락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Federal Reserve System)가 “연내 금리 인하는 없다”고 못 박으며 투자심리 위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금리 인상 방향성을 좌우하는 지표 중 하나인 고용지표가 여전히 견조한 것으로 나타난 점도 증시엔 부정적 상황이다.
현지 시각 3일 뉴욕증권거래소(NYSE·New York Stock Exchange)에서 뉴욕 증시 상장 종목 중 핵심 기술 종목 100개를 모아 만든 나스닥(NASDAQ·National Association of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47%(153.52포인트) 감소한 1만305.24에 마감했다.
이어서 대형 기업 주식 500개를 포함한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 500 지수(S&P500·Standard & Poor’s 500 index)의 경우, 1.16%(44.64포인트) 낮아진 3803.33을 나타냈으며, 미국 30개 대표 종목 주가를 산술평균한 다우 존스 공업평균 지수(DJIA·Dow Jones Industrial Average)는 1.02%(336.69포인트) 내린 3만2930.08을 기록했다.
중소형주 위주의 러셀(Russell) 2000 지수 역시 0.97%(17.26포인트) 하락한 1755.28로 집계됐고,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도 1.98%(50.94포인트) 떨어진 2518.52에 거래를 마쳤다.
미국 증시가 내림세를 걸은 이유는 미 연준이 공개한 연방 공개시장 위원회(FOMC‧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의사록에서 찾을 수 있다.
미 연준이 전날 발표한 FOMC 의사록에 따르면, 한동안 금리 인상 기조는 지속될 전망이다. 회의록은 “올해부터 연방 기금(FF·Fed Funds rate) 금리 목표치를 낮추기 시작하는 게 적절하다고 생각한 참석자는 한 명도 없었다”며 “지속적인 물가 하락 추세가 명확해질 때까지 제한적인 태도가 필요하다”고 적시했다.
아울러 지난해 10월 인플레이션(Inflation·물가 상승) 지표가 소폭 완화하는 흐름을 보였지만, 지속해서 내린다는 확신을 가지려면 더 많은 증거가 필요하다는 말도 덧붙였다.
제롬 파월(Jerome Powell) 연준 의장 역시 지난달 0.5%포인트(p) 금리를 인상한 뒤 “인플레이션을 2%로 유지할 수 있는 여러 재료를 얻어야 한다”며 통화 긴축 정책을 유지할 뜻을 밝힌 바 있다.
시장 기대와 달리 금리 인하는 없을 것이란 연준의 확신이 퍼지면서 투자심리는 위축됐다. 게다가 노동시장마저 아직 견조한 상태로 확인됐다. 거듭된 금리 인상 효과가 고용 지표에 영향을 못 미치고 있다는 것으로 풀이될 경우, 금리 인상 속도나 폭은 더 빠르고 커질 수 있게 된다.
이날 발표된 민간 부문 고용은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ADP(Automatic Data Processing·대표 카를로스 A. 로드리게스) ‘전미 고용 보고서’에 의하면 12월 민간 고용은 11월 대비 23만5000명 늘었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15만3000명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주간 실업 보험 청구자 수도 계절조정 기준으로 전주보다 1만9000명 감소한 20만400 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문가 예상치인 22만3000명보다 적은 수치다.
시장은 내일(현지 시각 6일) 발표되는 미 노동부의 고용보고서를 주목하고 있다. 이것마저 연준에 힘을 실는 방향으로 결과가 나온다면 증시는 악재의 연속이 될 가능성이 크다.
현재 시장에선 12월 비농업 부문 고용은 20만명 증가해 전달 26만3000명보다 소폭 감소할 것이라 예상한다. 실업률은 3.7%로 전달과 같은 수준일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임지윤 기자 dlawldbs20@fntimes.com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