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의 한 다세대 주택에 전기계량기가 설치돼 있다/사진=뉴스1 |
정부 정책의 영향을 크게 받는 ‘관리물가’를 제외할 경우 근원물가 상승률이 올 10~11월 5%를 넘은 것으로 추정됐다. 국제유가 상승 등으로 원가부담이 커진데다 그간 누적된 비용인상압력이 큰 점을 고려할 때 내년에는 전기·도시가스요금이 상당폭 인상되며 물가를 밀어 올릴 수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국내외 경기하방압력이 커지면서 근원물가 오름세는 점차 축소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과 ‘향후 근원물가 흐름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은 11월 기준 4.3%로 나타나 4개월 연속 상승했다. 근원물가는 계절적 요인에 따라 영향을 받는 농산물이나 일시적인 외부 충격으로 급격하게 가격이 오르내리는 석유류 등을 제외한 물가를 의미한다.
한은은 올해 근원물가 오름세가 지속적으로 확대된 것은 그간 외식 등 개인서비스품목의 물가상승 확산세가 꾸준히 높아진 데다 내구재 등 공업제품의 확산세도 연초에 비해 확대된 탓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정부가 가격을 통제하는 관리물가를 제외할 경우 근원물가는 10월과 11월 각각 5%, 5.1%로 5%를 넘어섰을 것으로 추정됐다. 관리제외 근원물가는 지난 1분기 3.3%에서 2분기(4.1%), 3분기(4.8%) 등 꾸준히 오름세를 이어오고 있다.관리물가는 공공서비스, 전기·가스·수도, 휴대전화료 등의 가격을 의미한다.
한은은 전기·도시가스 요금의 경우 지난해 이후 국제유가 상승 등으로 원가 부담이 커졌으나 인상폭은 이에 미치지 못해 그간 누적된 비용 인상 압력이 큰 점을 감안할 때 내년에는 상당폭 인상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식료품, 에너지 등 비근원품목의 가격상승이 근원품목에 대한 비용 인상압력을 높여 소비자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한은은 최근 외식물가 상승률이 다소 낮아진 데다, 국내 경기 하방 압력도 커지면서 근원물가 오름세는 둔화될 가능성이 조금 더 큰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 관계자는 “국내외 경기둔화 등의 영향으로 수요측 물가압력이 약화되면서 앞으로 근원물가 오름세가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 그간의 기준금리 인상도 근원물가 오름세 둔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또 주택시장 전세 하락세가 물가 내 집세 오름세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는 평가다. 올해 하반기 이후 대출금리 상승, 매매거래 위축에 따른 전세매물 확대 등의 영향으로 전세 하락폭이 확대됐다. 주택시장에서 전세 및 월세 하락세가 지속될 경우 집세의 소비자물가 내 가중치가 10%에 달하는 점을 고려하면 상당기간 근원물가를 끌어내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한은은 전체 소비자물가는 당분간 5% 내외의 상승률을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이같은 상승세가 이어지며 연간 기준으로는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수준(4.7%)을 넘어 1998년(7.5%)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낼 전망이다. 이미 올해 1~11월 누적 소비자물가는 5.1% 상승해 한은 물가안정 목표(2.0%)를 크게 웃돌았다.
한은 관계자는 “향후 유가 흐름은 최근 글로벌 경기둔화로 하방압력이 커졌으나 대(對)러시아 제재(러시아산 원유 수입 제한 및 가격상한제), OPEC+(석유수출국기구와 러시아 등 기타 산유국의 협의체) 의 대규모 감산 등 공급측 불안요인도 상존해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앞으로 소비자물가는 당분간 5% 내외의 상승률을 이어가겠지만 석유류가격 오름폭이 축소되고 국내외 경기하방압력도 커지면서 오름세가 점차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향후 물가경로 상에는 유가 및 환율 흐름, 전기료 등 공공요금 인상 정도, 국내외 경기둔화 정도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