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조원 규모 초대형 데이터센터 추진
2028년 완공 목표로 전라남도에 건설
텍사스 데이터센터 복합단지 3배 규모

“데이터센터 하나가 서울시 전체의 3분의 1 이상에 해당하는 전력을 소비한다고?”
한국에 들어설 세계 최대 규모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계획이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지난 18일(현지시간) 보도한 바에 따르면, 총 350억 달러(한화 약 50조원)가 투입되는 이 시설은 현존하는 어떤 AI 데이터센터보다도 큰 규모를 자랑한다.
LG 가문과 중동 자본이 만나다

이 거대 프로젝트의 주체는 ‘스톡 팜 로드’라는 투자 그룹이다. LG그룹 창업주의 손자이자 고 구자홍 LS그룹 회장의 장남인 브라이언 구(한국명 구본웅)와 바드르 인베스트먼츠의 아민 바드르 엘 딘이 공동 설립했다.
이들은 초기에 100억 달러(한화 약 14조 4천억원)를 투자하고 단계적으로 350억 달러(한화 약 50조원)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브라이언 구는 “한국의 현재 데이터센터들이 국내 수요는 충족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전 세계를 대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더 큰 설비를 감당할 모든 요소를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전례 없는 초대형 규모에 쏠린 세계의 눈

이번 데이터센터의 가장 큰 특징은 그 규모다. 3기가와트(GW)의 전력을 사용하는 이 시설은 75만~100만 가구가 사용하는 전력량의 3배에 달한다.
WSJ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적으로 1기가와트 이상의 전력을 사용하는 데이터센터도 찾기 힘들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는 미국에서 오픈AI와 소프트뱅크가 추진 중인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3배 규모다. 글로벌 AI 산업의 최강자들이 추진하는 프로젝트보다 더 큰 규모라는 점에서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전남의 새로운 도약, 하지만 난관도

스톡 팜 로드는 이미 전라남도와 투자 협약을 체결했다. 전라남도는 에너지와 수자원 확보 등을 지원하기로 했으며, 김영록 전남지사는 오는 26일 샌프란시스코를 방문해 구체적인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AI 데이터센터는 올해 초 착공해 2028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도전 과제도 있다.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서는 현재 국내 데이터센터용 전기 공급 규모가 최대 100메가와트인 점을 들어 3기가와트 규모의 전력 공급이 현실적으로 가능할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기대되는 경제적 파급효과

이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에너지 공급, 재생에너지 생산, 장비 공급, R&D 분야에서 1만개 이상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되며, 초기 연간 매출액도 35억 달러(한화 약 5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이 시설은 한국의 AI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스타트업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DC바이트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담당 연구 매니저 징웬 옹은 “비용을 절감하고 신속하게 건설할 수 있다면 한국 데이터센터가 충분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미국과 유럽, 중동에서도 데이터센터 건설이 활발한 가운데, 아시아에서는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 등이 저렴한 토지와 인건비를 내세워 경쟁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의 메가 프로젝트는 글로벌 AI 산업의 새로운 전기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