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청약 당첨됐는데 못 가요” 40% 상승한 서울 아파트 최고가, 무려…

모빌리티TV 조회수  

서울 분양가 평균 4,820만 원
광진구 가장 높아
올해 분양가 상승 전망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올해도 분양가 상승은 이어질 것으로 전망이 나온 가운데 지난해 서울 전체 평균 분양가가 4,820만 원으로 1년 만에 40% 가까이 오른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3.3㎡당 평균 2,000만 원대로 민간 분양이 이뤄진 자치구는 단 2곳 밖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4,000만 원(이하 3.3㎡ 기준) 이상인 자치구는 10곳으로 전년 대비 100% 상승했다.

12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부동산R114 자료를 토대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민간아파트의 평균 분양가는 4,820만 원으로 확인됐다. 이는 3,508만 원이었던 전년 대비 37.4% 상승한 수치다.

출처 : 광진구
출처 : 광진구

2021년(2,799만 원) 고점이었던 집값에 비해도 72.2% 올랐다. 지난해 분양가가 5,000만 원 이상인 곳은 7곳으로 나타났다. 7곳 중 광진구가 1억 846만 원으로 분양가가 가장 높았다. 이는 지난해 1월 1억 3,770만 원에 공급된 ‘포제스 한강’이 큰 영향을 미친것으로 파악된다. 해당 아파트는 당시 역대 최고 분양가로 공급됐음에도 불구하고 평균 경쟁률이 6대 1에 달했다.

분양 당시 ‘국민 평형’이라 불리는 전용면적 84㎡ 타입의 평균 경쟁률은 25.35대 1을 달성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광진구에 이어 강남(6,935만 원), 서초(6,657만 원), 송파(5,459만 원), 성동(5,271만 원), 마포(5,249만 원) 등의 순으로 높은 분양가를 보였다. 지난해 4,000만 원 이상으로 분양가가 정해진 자치구는 모두 10곳이며, ‘강남3구’(강남·서초·송파), 강서, 마포, 강동, 영등포 등을 포함했다.

출처 : 구로구
출처 : 구로구

이는 전년에(2023년) 양천, 용산, 마포, 광진, 동작 5개 구가 4,000만 원 이상으로 분양가가 정해진 것과 비교하면 100% 상승한 수치다. 연도별로 분양가를 보면 2021년 서초구 1곳, 2022년 마포구, 성동구, 송파구 총 3곳에서 매년 올랐다.

서울 자치구들 중 평균 분양가가 2,000만 원대인 지역은 금천구(2,797만 원)와 구로구(28881 만원) 두 곳인 것으로 확인됐다. 2021년에는 관악, 양천, 성북 등 8곳에서, 2022년에는 강서, 중랑, 영등포 등 5곳에서, 전년(2023년)에는 구로, 은평, 도봉 3곳에서 2,000만 원대 아파트를 볼 수 있었지만 지난해 2곳으로 줄어들었다.

출처 : 삼성물산
출처 : 삼성물산

올해 현재까지 민간 분양은 이달 초 서초구에 공급된 ‘래미안 원페를라'(6,941만 원) 1곳이 유일하며, 해당 아파트의 평균 분양가 6,000만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지난 5년간 건설공사비지수가 약 30% 이상 올랐고, 환율 불안과 관세 부과 등의 이유로 원자잿값은 더욱 오를 전망”이라며 “최근 이어지고 있는 분양가 상승세는 더욱 가파르게 진행될 여지가 있다“라고 전망했다.

한편, 12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기존 공공 건축물에만 적용하던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를 민간 건축물도 포함하기로 했다. 이는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오는 6월부터 30가구 이상의 민간 아파트는 기본적으로 5등급 인증을 취득해야 한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따라서 고성능 창호, 단열재, 태양광 설비 등의 도입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업계에서는 이러한 조치로 인해 공사비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분양가가 인상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따르면 제로에너지 인증 의무화에 따른 공사비 증가 폭을 전용면적 84㎡ 기준 가구당 약 130만 원 수준일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건설업계는 실제 증가 폭이 이보다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일각에서는 최소 300만 원 이상이 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현재 공사비는 원자재와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자료에 따르면 공사비 지수는 2020년 이후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며, 지난해 11월을 기준으로 130.26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을 기준치(100)로 삼았을 때 30% 이상 오른 수치다. 공사비가 상승함에 따라 작년 아파트 분양가도 급등한 것이다. 분양 업계 관계자는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의무화로 인한 고효율 자재와 친환경 설비 설치 비용 증가가 예상보다 더 커질 수 있다”라며 “실제 분양가 상승폭은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라고 예측했다.

모빌리티TV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경제] 랭킹 뉴스

  • “한국 떠난다던 사직 전공의” 다 어디로 몰렸나 했더니…‘반전’ 결과
  • 서러운 직장인들 “이러니 중산층 허리가 휘죠”…700만 명은 ‘한 푼’도 안냈다
  • 한국의 이혼율 5년 연속 하락, 이유 살펴봤더니 ‘깜짝’
  • “납치 오해해 사망한 여대생”…택시기사 처벌 수준 살펴봤더니 ‘깜짝’
  • 2100만 가입자들 가슴 ‘철렁’ “그냥 없애주세요”…심상치 않은 움직임에 ‘술렁’
  • “이번 달 요금 왜 이렇게 많이 나왔지?”…눈속임 상술 규제 나선다

[경제] 공감 뉴스

  • ‘잠·대·삼·청’ 토허제 해제로 ‘이 투자’ 고삐 제대로 풀렸습니다
  • 백종원 고평가 논란 ‘빽햄’ 결국 판매 중단, 이유 뭐길래…
  • 공장까지 지어줬는데 “2달도 채 안 남았다”, “제네시스 이제 어떡해요”…대체 무슨 일?
  • “尹 이어 ‘내란 장군’도 보호한다” 인권위 내부 분위기, 심상치 않다
  • “특단의 조치였다” 오세훈 시장 발언에 5억 뛴 이곳의 위치
  • “폭설로 출발 지연됐는데”…승무원들의 행동 황당합니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찜질방, 골프장 있는 3층 대저택 소유주” 장동민, 1억 재규어 테러 당했다?
  • “사고 막는 124만원짜리 필수 옵션” 역대급 인기 누리는 스포티지 트림별 가격 따져보기
  • “기아의 전기 봉고차” 더 기아 PV5, 스타리아보다 좋을까?
  • “끊이지 않는 팰리세이드 논란” 이번엔 안전 문제…아빠들 계약 취소 고민 깊어진다!
  • “시장님 말이 다 맞아요” 공무원 음주운전에 ‘제 식구 감싸기’ 도대체 언제까지?
  • “조부 친일 논란” 이지아, 마세라티와 테슬라 모는 재력은 어디서?
  • “요즘엔 독일차보다 볼보지” 2026년형 XC60 풀체인지급 변화 공개
  • “GV80보다 넓은 BMW X3 출시” 한국엔 왜 안 들여오나 난리 난 상황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트럼프의 일방적 미국주의 파고에 숙고해야 할 쟁점들

    뉴스 

  • 2
    멈출 줄 모르는 불장에 "강남조차도" 뛰어넘어버린 이 지역

    뉴스 

  • 3
    “매년 빨리 찾아오더니”… 벌써 입소문 나기 시작한 벚꽃 명소 3곳

    여행맛집 

  • 4
    '11주년' 코인원 누적 거래액 503조·72만배 ↑...성과 데이터 공개

    뉴스 

  • 5
    언중위, ‘노란봉투법 오보 정정’ 요구한 금속노조에 “당사자 아냐”

    뉴스 

[경제] 인기 뉴스

  • “한국 떠난다던 사직 전공의” 다 어디로 몰렸나 했더니…‘반전’ 결과
  • 서러운 직장인들 “이러니 중산층 허리가 휘죠”…700만 명은 ‘한 푼’도 안냈다
  • 한국의 이혼율 5년 연속 하락, 이유 살펴봤더니 ‘깜짝’
  • “납치 오해해 사망한 여대생”…택시기사 처벌 수준 살펴봤더니 ‘깜짝’
  • 2100만 가입자들 가슴 ‘철렁’ “그냥 없애주세요”…심상치 않은 움직임에 ‘술렁’
  • “이번 달 요금 왜 이렇게 많이 나왔지?”…눈속임 상술 규제 나선다

지금 뜨는 뉴스

  • 1
    尹의 국회 진입 독촉에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이 뱉은 한마디: 이제 빠져나갈 구멍이 없다

    뉴스 

  • 2
    티모시 샬라메와 제이콥 엘로디, 스타일 취존해 드립니다

    연예 

  • 3
    블랙핑크 지수, 전용 앱 ‘JISOO’ 공개…팬소통 강화

    연예 

  • 4
    ‘나는솔로’ 24기 옥순, 영식 집착에 “부담스러워”…광수X순자 갈등

    연예 

  • 5
    국민의힘 49.0% 민주당 37.2%…오차범위 밖 격차 [데일리안 여론조사]

    뉴스 

[경제] 추천 뉴스

  • ‘잠·대·삼·청’ 토허제 해제로 ‘이 투자’ 고삐 제대로 풀렸습니다
  • 백종원 고평가 논란 ‘빽햄’ 결국 판매 중단, 이유 뭐길래…
  • 공장까지 지어줬는데 “2달도 채 안 남았다”, “제네시스 이제 어떡해요”…대체 무슨 일?
  • “尹 이어 ‘내란 장군’도 보호한다” 인권위 내부 분위기, 심상치 않다
  • “특단의 조치였다” 오세훈 시장 발언에 5억 뛴 이곳의 위치
  • “폭설로 출발 지연됐는데”…승무원들의 행동 황당합니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찜질방, 골프장 있는 3층 대저택 소유주” 장동민, 1억 재규어 테러 당했다?
  • “사고 막는 124만원짜리 필수 옵션” 역대급 인기 누리는 스포티지 트림별 가격 따져보기
  • “기아의 전기 봉고차” 더 기아 PV5, 스타리아보다 좋을까?
  • “끊이지 않는 팰리세이드 논란” 이번엔 안전 문제…아빠들 계약 취소 고민 깊어진다!
  • “시장님 말이 다 맞아요” 공무원 음주운전에 ‘제 식구 감싸기’ 도대체 언제까지?
  • “조부 친일 논란” 이지아, 마세라티와 테슬라 모는 재력은 어디서?
  • “요즘엔 독일차보다 볼보지” 2026년형 XC60 풀체인지급 변화 공개
  • “GV80보다 넓은 BMW X3 출시” 한국엔 왜 안 들여오나 난리 난 상황

추천 뉴스

  • 1
    ‘손지창♥’ 오연수, 고환율에 두 아들 미국 유학 “그만하라고 할수도 없고”

    연예 

  • 2
    8년만에 '한한령 해제' 초읽기…APEC 정상회의 韓·中 문화 교류 확대

    뉴스 

  • 3
    ‘유 퀴즈’ 차주영 “애매함이 나의 원동력”…한가인 출연 예고

    연예 

  • 4
    아마존닷컴(AMZN) 4분기 실적 예상치 상회, AWS 성장 둔화 전망에도 목표가↑

    뉴스 

  • 5
    윤은혜, 수영장에서 살짝 보이는 휴양지룩이 더 아찔해…"수영복 입고 놀았다"

    연예 

지금 뜨는 뉴스

  • 1
    '사사키 던진다고?' 부리나케 달려온 오타니…'50여 명 운집' 퍼펙트괴물, 첫 라이브 1피안타 2K '152.8km 쾅!'

    스포츠 

  • 2
    "독보적으로 치고 나가겠다" 윤정환 감독의 각오→"인천 강력한 승격 후보지만…" K리그2 사령탑들이 예측한 승격 후보는? [MD현장]

    스포츠 

  • 3
    “안우진 KBO에서 가장 재능있는 투수…ML에서 임팩트 암” ML 유망주 20위, 서른의 기적 준비

    스포츠 

  • 4
    멈출 줄 모르는 불장에 "강남조차도" 뛰어넘어버린 이 지역

    뉴스 

  • 5
    대학시절 "유명 얼짱"이었는데 아직 미혼이라는 50대 탑 여배우

    뉴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