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아파트 ‘마피’ 속출… 거래 절벽 심화
미분양 급증에 건설사도 휘청… 정부 대책 실효성 있나

“5000만원을 할인해도 매수자가 없습니다.”
경기도 안성의 한 부동산 관계자는 지방 부동산 시장의 냉각된 분위기를 이렇게 전했다. 신축 아파트 가격이 급락했지만 거래는 오히려 더 어려워지고 있다.
지방 부동산, 끝없는 하락… 미분양 속출

지난 1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지방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1만7229가구로, 불과 4개월 만에 3589가구가 추가됐다.
대출 규제 강화로 실수요자들의 구매력이 낮아지면서 거래 절벽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지방 주요 도시에서는 ‘마피(마이너스 프리미엄)’ 매물이 쏟아지고 있다. 경기도 안성의 ‘e편한세상안성그랑루체’ 전용 84㎡ 매물은 3억 원 중반대까지 내려갔지만, 여전히 매수자가 없는 상황이다.
충청·전라·경상권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면서 지방 부동산 시장이 빠르게 얼어붙고 있다.
영남권 미분양 직격탄… 건설사도 타격

특히 부산·대구·울산·경남 등 영남권의 미분양 문제가 심각하다. 이 지역의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7000여 가구로, 전국 물량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이 중 대구는 준공 후 미분양이 2674가구에 달해 전국 악성 미분양 물량의 12%를 차지한다. 부산도 사정이 다르지 않다. 지난해 12월 기준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는 1886가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며 시장이 계속 위축되고 있다.
미분양 물량이 계속 늘어나면서 건설사들도 위기에 처했다. 분양이 지연되면 자금 회전이 막히고, 미분양 물량을 떠안으면 중과세 부담까지 커지기 때문이다.
일부 건설사는 할인 분양을 진행하고 있지만, 대출 규제로 실수요자들이 움직이기 어려운 상황이라 효과는 제한적이다.
정부 대책 미흡… 수도권·지방 격차만 더 벌어지나

이런 상황속에서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지면서 지방 시장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과 수도권은 공급 부족으로 가격이 유지되거나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지방은 미분양과 가격 하락이 맞물려 부동산 양극화가 심화될 전망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미분양 주택을 청년·신혼부부용 장기 임대 아파트로 전환하거나, 추가 대출 규제 완화 정책을 도입해 실수요자들의 내 집 마련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방 부동산 시장이 회복되려면 단기적 조치보다는 공급·수요 조절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현재와 같은 미분양 증가세가 지속되면 지역 경제 전반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