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첫 외국인 CEO 선임
무뇨스 “혁신 가속화 자신”
전기차 시장 도전과 기회
![출처: 연합뉴스(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186/image-ead4a1c0-c944-448c-b77c-effee99bfde9.jpeg)
현대차가 다시 한번 글로벌 무대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사상 첫 외국인 최고경영자(CEO)로 내정된 호세 무뇨스 글로벌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새로운 리더십으로 현대차의 혁신적인 변화를 이끌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무뇨스, 글로벌 경영 전략으로 현대차 도약
무뇨스 CEO는 “정의선 회장님께서 한국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길 원하신다”고 언급하며, 초기에는 한국에서 70%, 나머지 시간은 미국 등 해외에서 활동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임직원들과의 협력을 통해 신뢰를 쌓고 현대차만의 빠른 실행력을 ‘미리 준비하는’ 문화로 확장해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으로 보인다.
![출처: 연합뉴스(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186/image-33e770e5-ac5f-47da-970c-027553923462.jpeg)
현대차는 변화하는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어떻게 앞서나갈 수 있을까? 무뇨스 CEO는 “자동차 업계가 새로운 도전에 직면했지만, 이는 곧 기회”라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는 특히 하이브리드차(HEV),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수소전기차(FCEV) 등 다양한 전동화 모델을 기반으로 현대차가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로의 전환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시장에서도 현대차는 탄탄한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다. 조 바이든 정부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등 정책 변화에도 불구하고, 무뇨스 CEO는 “유연성이 현대차의 핵심 경쟁력”이라고 강조했다.
앨라배마 공장에서 다양한 모델을 한 생산라인에서 제조하는 체계는 현대차의 빠른 대응 능력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다. 전기차(EV)와 내연기관차의 생산 비중도 수요 변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는 준비를 마쳤다.
2030년, 전기차 200만 대 목표로 미래 도약
![출처: 연합뉴스(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186/image-9c9d7290-d885-4f04-888f-97e44547b966.jpeg)
또한, 현대차는 기술적 우위를 강화하며 중국 전기차 업체들의 위협에 정면으로 맞서겠다는 계획이다.
무뇨스 CEO는 “기술 개발에서 더 똑똑하고 빠르게 대응하는 것”을 강조하며,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차별화된 서비스와 품질을 바탕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현대차는 자율주행과 전동화 기술에서 전략적 협력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할 예정이다. 웨이모와 함께 로보택시를 준비 중이고, GM과의 협력도 추가 발표를 앞두고 있다.
그는 “현대차는 전기차 시장에서 확고한 2위를 유지하고 있다”며,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테슬라와의 격차를 줄이고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출처: 연합뉴스(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186/image-26710cdf-8b6c-4be9-85b1-29245d496fe4.jpeg)
2030년까지 전기차 200만 대를 포함한 글로벌 555만 대 판매 목표를 제시한 현대차. 이제 새로운 CEO의 리더십 아래 어떤 변화와 도전이 펼쳐질지 주목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