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 ‘윤석열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며 꺼내든 총파업에 현대자동차 노조와 한국GM 노조도 참여하면서 ‘12·3 비상계엄’ 사태의 여파가 산업 현장까지 옮겨 붙고 있다. 당장 수천 대의 차량 생산이 차질을 빚을 예정이고 추가 결의에 따라 경제적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가능성이 높아 기업들이 긴장하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5일 ‘정권 퇴진 운동’에 나선 민노총 산하 금속노조 지침에 따라 이날부터 이틀 간 주야 2시간씩 부분파업에 돌입한다. 현대차는 조합원만 약 4만 3000명인 민주노총 최대 조직이다. 여기에 한국GM 지부도 금속노조 지침에 따라 같은 기간 4시간의 부분파업에 돌입했다.
현대차는 지난해 7월 금속노조 지침에 따른 소위 ‘정치 파업’으로 이틀 간 약 5000대의 생산 자질을 빚었다. 이번 파업으로 그나마 수출 호조를 보이고 있는 자동차 생산 현장에서 수천 대의 생산 차질이 불가피하다. 3일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 선포 사태를 기점으로 터진 노동계의 파업이 공공 부문에서 민간 부문까지 옮겨 붙은 것이다. 이들은 파업 명분을 근로조건 개선이 아닌 ‘정권 퇴진이 이뤄져야 멈추겠다’는 정치적 요구를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사측은 마땅히 대응할 방안도 없이 생산 차질에 따른 피해를 떠안을 위험에 처했다.
문제는 정치 파업의 규모가 더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민주노총이 정권 퇴진 시까지 무기한 총파업에 나서기로 하면서 산하 노조 파업도 탄력이 붙고 있다. 전국철도노조는 서울과 대전 등 전국 곳곳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열고 파업에 돌입했다. 서울지하철노조(1·3노조)와 학교비정규직 노조도 6일부터 파업에 동참키로 하면서 출퇴근길 혼잡은 물론 급식 차질도 예상된다. 금속노조는 11일부터 전면 총파업도 예고하고 있다.
경제계는 정치 파업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경제가 내수와 수출 부진 등 어려운 상황에서 정치적 구호를 앞세운 총파업은 사회 혼란과 국가 경제에 어려움을 가중하는 만큼 자제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