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이하 KAMA)는 3일 보도자료를 내고 향후 BYD 등 중국 전기승용차의 한국 진출 본격화에 따른 국산 전기차 경쟁력 강화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더불어 KAMA는 BYD 일본시장 현황과 국내 업계 시사점 보고서를 발간했다.
KAMA는 이 보고서에서 BYD가 우리나라보다 먼저 진출한 일본시장의 현황을 소개하고 업계 시사점으로 ‘전기차 틈새 시장을 선점할 우려가 있다’며 ‘국내 업계 내수 전략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소개했다.
BYD를 비롯한 중국 전기차 업계는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시장 전략을 구사할 수 있으며, 비교적 높은 브랜드 인지율로 틈새시장을 공략할 가능성을 간과할 수 없다고 말했다. KAMA는 보고서를 통해 ‘하지만 BYD가 앞서 진출한 일본 시장 사례를 언급하며 한국시장에서도 초기 성과는 제한적인 것이라는 관측을 내놨다.
실제 BYD는 일본 시장에 자사의 대표 모델 아토3와 씰, 돌핀 등을 순차적으로 투입하며 판매 확대를 노렸지만 올해 4월 이후 일본정부가 보조금을 줄이기 시작하며 판매에 어려움을 겪었다.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BYD의 일본내 판매량은 승용차 부문 1,742대로 목표치에 한참 못 미쳤다. 하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96.6% 증가했다.
KAMA가 BYD 한국 시장 진출에 있어 초기 성과를 비교적 크게 보지 않은 데에는 일본시장에 이런 진출 결과를 도출하며 한국 시장이 일본 시장처럼 자국 브랜드 점유율이 높다는 데에 이유를 들었다. 일본 자동차 시장은 자국 브랜드 판매율이 94%에 달한다. 해외 수입차 시장은 이 가운데 독일 프리미엄 브랜드들이 대부분 차지하는 시장이다. 한국과 유사하다. 물론 전기차 비중은 일본이 전체 2.2%인데다 성장율도 저조한 편이라 이는 국내 상황과는 조금 다르다.
이런 일본 시장과 한국 시장의 유의성 그리고 올해 9월 기준 수입 전기차 월간 판매량이 2,753대로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는 점은 BYD이 한국 내 초기 성공 가능성에 대해 낙관적이기 어렵다는 이유다. 반면 KAMA는 한국 내에서 비교적 높은 브랜드 인지율을 바탕으로 젊은 소비자층이나 플릿 판매(영업용 차량, 렌터카)를 공략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한편, 중국자동차 업체는 BYD를 비롯해 지커, 리프모터 등이 한국 진출을 앞두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