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와 카카오 등 주요 플랫폼 기업이 중소상공인과 상생하기 위해 기존 지원 프로그램을 강화하기로 했다. 네이버는 100만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대규모 인공지능(AI) 교육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5년간 600억원을 투자한다. 카카오는 내년부터 전국 100여개 전통시장과 거리 지원으로 혜택을 늘린다.
네이버와 카카오 등 주요 플랫폼은 6일 오전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플랫폼사 CEO 간담회’에 참석해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이날 간담회는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취임후 플랫폼 기업 CEO와 첫 대면하는 자리다. 유 장관은 네이버, 카카오, 쿠팡, 당근마켓 등 4개 플랫폼 대표를 만나 플랫폼의 사회적 역할 강화를 주문했다. 또 민생문제 해소를 위한 상생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유상임 장관은 “플랫폼 기업은 소상공인이나 중소기업에 새로운 기회를 열어주는 중요한 역할이 있다”며 “플랫폼 영향력에 걸맞은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시장 참여자들과 함께 성장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 장관은 이어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는 업체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매출액은 높고, 폐업률은 낮다”며 “플랫폼이 소상공인 판로 확대와 디지털 전환 등을 지원한다면 그들의 경쟁력을 키우는 데 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플랫폼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발판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네이버는 중소상공인과 창작자들의 디지털 전환 및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분수펀드를 확대⋅재편성하겠다고 밝혔다. 분수펀드는 네이버가 SME와 창작자 성장을 돕고 이를 통해 경제에 ‘분수효과’를 일으킨다는 취지로 2017년 별도 조성한 사내 예산이다. 현재 분수펀드는네이버의 상생협력 프로그램 ‘프로젝트 꽃’의 재원으로 누적 금액이 6000억원을 넘어섰다.
네이버는 또한 100만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AI 솔루션 활용 역량을 높이기 위한 대규모 ‘SME AI 교육 프로젝트’에 착수한다. 프로젝트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네이버는 향후 5년간 6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카카오는 소상공인들이 디지털 전환을 통해 단골손님을 확보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 단골’ 지원 대상을 개별 시장⋅거리에서 도시 단위의 인접 시장⋅거리 전체로 확대한다. 프로젝트 단골에 참여하면 디지털 마케팅 활용 교육을 위한 튜터가 파견되며, 카카오톡 채널 메시지 발송 비용 등이 지원된다.
카카오는 내년 전국 100여 개 전통시장 및 거리를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업종별 특화교육, 단골 멘토 육성, 스타 단골가게 발굴 등 지원 프로그램을 강화한다. 또한 카카오는 선물하기 교환권 정산 횟수를 월 4회에서 10회로 확대해 소상공인 부담을 낮출 방침이다.
쿠팡은 ‘과학기술⋅ICT 중소기업 전용관’을 신설하고, 혁신적인 중소상공인 제품을 발굴해 할인 프로모션 비용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쿠팡은 지난해 출시한 판매대금 빠른정산 서비스 대상을 오픈마켓 입점 사업자에서 로켓그로스(쿠팡이 상품 유통을 대행하는 서비스) 입점 사업자까지 연내 확대하기로 했다.
당근은 비즈프로필, 당근사장님학교 운영 및 ‘당근 동네사장님 어워즈’ 등의 행사를 진행을 통해 지역 가게와 주민을 연계하는 상생 협력을 넓히겠다는 방침이다.
과기정통부는 “오늘 간담회를 통해 플랫폼 기업 대표들은 플랫폼 생태계의 동반성장을 위해 소상공인과의 상생협력에 적극 동참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서는 플랫폼법정책학회장인 이봉의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플랫폼의 가치와 플랫폼 정책에 대한 단상’을 주제로 발표를 했다.
이봉의 교수는 “플랫폼간 경쟁이 촉진되면 소상공인으로선 그만큼 자기한테 유리한 플랫폼을 선택할 수 있어 플랫폼의 불공정 관행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며 “이렇게 되려면 플랫폼 관련 법안들이 입법화됐을때 플랫폼간 공정하고 자유로운 경쟁을 촉진할 수 있도록 추진되야 한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또 “사전지정이나 원칙적 금지 등으로 접근하면 (플랫폼) 경쟁 촉진으로 이어지기 상당히 어렵다”라며 “우리나라는 경쟁력 있는 토종 플랫폼을 몇 개 보유하고 있지만 글로벌 빅테크에 훨씬 뒤처지고 있는 상태로, K플랫폼이 디지털화의 거센 물결 속에서 중요한 국가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법과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선율 기자 melody@chosunbiz.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