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외 연구진이 AI(인공지능) 공동연구를 수행하는 ‘국가 AI 연구거점’이 서울에 마련됐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AI 시대가 열린 현 시점 AI 기본법 제정 등에 대한 국회 관심을 촉구했다.
28일 서울 서초구 서울 AI 허브에서 열린 ‘국가 AI 연구거점’ 개소식에서 축사를 맡은 유 장관은 “우리나라는 세계적 AI 경쟁력을 확보해 글로벌 AI G3(3대 강국)로 도약하고, AI 전환을 선두에서 이끄는 미래 30년을 설계해야 한다”며 “국가 AI 연구거점은 국내외 연구들이 자유롭게 교육하고 협력할 수 있는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회에서의 AI 기본법 제정이 시급한 상황으로, 정부는 이를 보다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현재 정부는 지난 9월 윤석열 대통령이 민관 협력 ‘국가 AI 위원회’의 위원장을 맡고, 한미 협력 ‘글로벌 AI 프론티어랩(뉴욕)’을 성공적으로 출범한 것을 토대로 AI에 대한 밀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다음달에는 AI 안전연구소를 설립해 고도화된 AI 위험에 체계적으로 대응한다는 계획도 더 했다.
국가 AI 연구거점은 국내외 연구진이 세계적 AI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글로벌 AI 리더 양성 기능과 AI 산·학·연 생태계를 집약하는 플랫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양재서울 AI 허브에 약 2132평 규모 설치를 시작으로 내년에는 2300평 규모로 확충할 계획이다.
2028년까지 국비 440억원을 포함한 946억원이 투자된다. 연구거점의 구축과 운영을 맡을 수행기관으로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고려대·연세대·포스텍 컨소시엄이 선정됐다.
이날 연구거점 책임자인 김기응 카이스트 교수는 “네이버클라우드, 포스코홀딩스, LG전자 등을 비롯해 12개 기업이 협력하기로 했다”며 “여러 기업의 다양한 목소리를 들었는데, 그 중 가장 기억에 남은 것은 ‘기업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의 리스크를 담보로 하는 주제로 연구를 해달라’는 말이었다”고 밝혔다.
연구거점에서는 먼저 AI 모델 훈련과 운용에 필요한 비용 곡선의 법칙(뉴럴 스케일링 법칙)의 한계를 초월해 성능과 효율성을 달성하는 연구가 미국 워싱턴대 연구진 주도로,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연구가 코넬대 연구진 주도로 진행된다.
과기정통부는 국가 AI 연구거점에 해외의 AI 우수 연구자 15명 이상이 일정 기간 상주하며 국내 연구진과 공동 연구를 수행하고 공개 세미나와 국제 포럼을 정례적으로 열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개소식에는 유 장관을 비롯해 오세훈 서울시장, 이경우 대통령실 AI·디지털 비서관, 최호정 서울시의장 등 정관계 주요 인사와 이광형 카이스트 총장, 유혁 고려대 연구부총장, 이원용 연세대 연구부총장 등 산·학·연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했다.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