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기아 등 리콜 조치 시행
총 10개 차종 60만 7,502대 차량
안전을 위협하는 제작 결함 발견

현대차와 기아를 포함한 10개 차종에서 안전을 위협하는 제작 결함이 발견되며, 60만 대가 넘는 차량이 리콜 조치에 들어간다.
지난 10일, 국토부는 현대차, 기아, GM아시아퍼시픽 지역본부, 한국지엠에서 제작 또는 수입·판매한 총 60만 7,502대의 차량에서 제작 결함이 발견되어 자발적 시정조치(리콜)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에어백 제어장치 결함, 대규모 리콜 원인

이번 리콜의 핵심 원인은 에어백 제어장치 설계 오류다.
현대 쏘나타와 기아 포르테를 포함한 6개 차종에서 에어백 제어장치의 내부 소자 손상으로 에어백이 충돌 시 제대로 전개되지 않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현대 쏘나타 등 2개 차종 31만 2,744대와 기아 포르테 등 4개 차종 28만 5,327대가 11일부터 리콜을 시작했다.
전자식 브레이크 소프트웨어 오류도 리콜 원인

이 외에도 기아 EV9 8,592대는 전자식 브레이크 소프트웨어 오류로 인해 원격제어 주차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발견되어, 7일부터 이미 리콜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GM아시아퍼시픽과 한국지엠의 에스컬레이드 등 3개 차종 839대도 전자식 브레이크 소프트웨어 오류로 제동액 부족 시 경고등이 점등되지 않는 문제가 확인됐다. 이들 차량은 지난 8일부터 시정조치가 시작됐다.

한편, 차량 소유자는 자신의 차량이 리콜 대상인지 여부를 ‘자동차리콜센터’ 홈페이지에서 차량번호 및 차대번호를 입력해 확인할 수 있으며, 안전과 직결된 문제인 만큼 신속한 확인과 조치가 필요하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