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마로 파생된 인공지능(AI) 모델이 6만5000개 이상이다. 메타는 저렴한 비용으로 개방적이면서도 편의성 높인 모델을 개발해 이용자 삶의 질을 개선하겠다.”
10일 메타 코리아는 서울 강남구 센터필드 이스트 메타 오피스에서 ‘메타의 AI 미디어 브리핑’을 열고 라마를 앞세운 오픈소스 활용 성과와 메타의 AI 전략, 한국에서의 활용 사례를 밝혔다. 이 자리에는 마노하 팔루리 메타 생성형 AI 부사장이 참석해 오픈소스 대규모언어모델(LLM)인 라마의 그간 활용 성과를 설명했다.
팔루리 부사장은 “메타는 최근 발표한 라마 3.2 모델을 포함해 총 4번의 생성형 AI 모델을 배포했다”며 “AI 커뮤니티 내에서 영향력을 키워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현재까지 라마모델은 4억회 이상 다운로드됐다”며 “이는 지난해보다 10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라고 설명했다.
팔루리 부사장은 메타가 오픈소스 접근 방식을 추구하는 이유로 개방형 생태계가 기술 혁신 속도를 높이고 안전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팔루리 부사장은 “매일 40억명의 이용자과 개발자가 이용할 수 있게 지원하는 엔진이 라마다”라며 ” 메타는 장기적으로 인간 수준을 뛰어넘는 범용 인공지능(AGI)를 구축해 더 많은 사람들이 AI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메타는 이날 텍스트뿐 아니라 이용자 이미지를 넣어 영상을 만드는 최신 기술 무비젠도 소개했다. 무비젠은 현재 개발 단계다. 내년 중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메타의 주요 서비스에 적용될 전망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무비젠 등과 같은 AI 기술 진화로 딥페이크(불법 합성물) 양산 확대를 우려한다. 팔루리 부사장은 “아직까진 연구단계로 책임성이 충분히 확보된 이후 공개를 검토하겠다”며 “워터마크를 추가해 AI가 제작했는지 식별 가능해 오히려 (딥페이크) 탐지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메타 코리아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는 기업뿐 아니라 공공기관에서 라마가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실제 이날 행사에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초거대AI 모델을 연구하는 장광선 선임연구원이 참여해 과학기술정보에 특화된 데이터를 라마에 학습시킨 초거대언어모델(LLM) ‘고니’를 소개했다.
장 선임 연구원은 “라마를 선택한 이유는 오픈소스 특성과 적은 자원으로 보안성이 높은 모델을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라며 “올해 7월 허깅페이스에 전체 공개된 고니는 출연연 등 국내 연구기관과 공공기관에 특화된 과학기술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라고 말했다.
유상윤 에임인텔리전스 최고경영자(CEO)는 “(라마와 같은) 오픈소스 형태의 모델이 클로스된 모델보다 훨씬 유용하다”라며 “서비스 이용이 닫혀있어 회사가 완벽히 통제할수 있고, 악용은 피할 수 있지만 소수의 손에서만 해결된다면 여러 기업들이 다 같이 안정성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는 없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선율 기자 melody@chosunbiz.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