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버스에서 3세 아동 폭행 사건과 지하철 칼 난동 사건은 대중교통 내 난동 행위에 대한 강력한 처벌의 필요성을 다시 일깨워준다.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만큼 공공 안전을 위한 법적 대응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대 여성, 4세 아이와 노인을 무차별 폭행

최근 부산에서 발생한 4세 남아 폭행 사건으로 인해 대중교통 내 난동 행위에 대한 강력한 처벌 필요성을 일깨워주고 있다.
지난 2일, 부산의 한 버스에서는 아이의 팔이 여성의 신체에 닿았다는 사소한 이유로 아이와 할머니를 무차별하게 폭행한 사건이 발생했다.
이 여성은 아이의 얼굴을 주먹으로 가격해 코피를 나게 하고, 할머니의 팔을 물기까지 했다.
버스 기사는 즉시 버스를 멈췄으며 주변 승객들이 적극적으로 막아 더 큰 사고를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가해자는 분노조절장애를 주장하고 반성의 기미를 보이지 않아 대중의 큰 분노를 사고 있다.

공공 안전의 심각한 위협

대중교통 내에서의 폭력 행위가 시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라는 점을 드러내고 있다.
지난해에는 지하철 2호선에서 칼 난동을 부린 한 남성이 있었다. 당시 이 남성은 지하철에서 흉기를 휘두르며 주변 승객들을 위협했고, 이로 인해 2명이 다치게 됐다.
가해자는 미분화조현병을 앓는 사실과 피해망상으로 인해 징역 2년을 구형받았지만 시민들은 형량이 약하다며 비판을 목소리를 높였다.

대중교통 난동 시 안전 수칙 요약

그렇다면 대중교통에서 위협의 순간을 마주하게 되면 어떻게 해야 할지 알아보자.
신속한 대피: 난동을 목격하면 즉시 상황을 파악하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한다.
즉시 신고: 119나 112에 연락해 사건 위치와 상황을 알린다.
침착하게 대응: 목소리를 낮추고 상대방을 자극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비상 버튼 사용: 대중교통 내 비상 버튼이나 인터콤을 이용해 도움을 요청한다.
증거 기록: 안전한 상황에서 휴대폰으로 상황을 촬영하거나 녹음한다.
직접 개입 피하기: 난동 제지는 전문가에게 맡기고 직접 개입을 피한다.
응급처치 제공: 안전이 확보된 경우 기본적인 응급처치를 수행한다.
예기치 못한 상황을 마주하게 된다면 침착함을 유지하고, 신고와 대피를 우선시하여 자신의 안전을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개인이 조심한다고 하더라도 돌발 상황은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 대중교통은 수많은 시민들이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공공장소로 여기에 대한 안전은 누구나 누려야 할 권리이다.
반복되는 난동 사건은 단순히 개별적인 문제로 볼 수 없으며 대중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국가와 지자체가 법적 처벌 강화와 안전 대책 마련에 더욱 힘써야 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