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D가 지난 8월 공식 출시한 후 성능 문제가 제기됐던 라이젠(Ryzen) 9000 시리즈 데스크톱 프로세서의 대규모 업데이트에 나섰다. 특히 일부 모델에서는 업데이트를 통해 출시 당시의 사양이 변경되는데 AMD는 이 사양 변경에 대한 부분도 보증한다는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AMD는 9월 30일(현지시각) 데스크톱 PC용 라이젠 9000 시리즈 프로세서를 위한 펌웨어인 AGESA(AMD Generic Encapsulated Software Architecture) PI 1.2.0.2 버전을 발표했다. 이번 버전에서는 ‘라이젠 9000 시리즈’ 프로세서 출시 이후 제기되던 성능 문제 부분들을 상당 부분 해결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이번 AGESA PI 1.2.0.2 버전을 통해 초기 출시에는 TDP(열설계전력) 65W로 발표된 라이젠 7 9700X, 라이젠 5 9600X 제품의 cTDP(지속 열설계전력)가 105W로 공식 조정됐다. 이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성능 향상은 10% 정도로 알려졌다. 새로운 AGESA PI 1.2.0.2 버전은 메인보드 제조사의 바이오스 업그레이드를 통해 제공된다. AMD는 일부 모델의 TDP 조정에도 보증이 유지된다고 공식 발표했다.
![65W TDP로 발표됐던 일부 모델이 105W TDP 보증으로 공식 변경됐다. / AMD](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0/CP-2023-0274/image-345c5c3f-eca3-4578-90c5-5b027c7b0a36.jpeg)
일부 모델 ‘cTDP 105W’ 사양 변경, 기존 판매 제품도 ‘보증’
AMD의 AGESA PI 1.2.0.2 버전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일부 프로세서의 공식 사양 변경이 포함됐다는 점이다. AMD는 이번 업데이트에서 라이젠 5 9600X, 라이젠 7 9700X의 공식 지속 열설계전력(cTDP)을 65W에서 105W로 상향한다고 밝혔다. 기존에 65W 사양으로 구입한 사용자도 메인보드 바이오스 업데이트 이후 새로운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기존 사용자들이 105W cTDP 설정을 사용하더라도 제품 보증은 유지된다.
AMD는 이러한 변경에 대해 “라이젠 5 9600X와 라이젠 7 9700X는 출시 시점에서부터 이미 105W cTDP에 대해 검증이 된 상태다”라고 밝히며 이번 사양 변경이 제품에 무리를 주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했다. 하지만 중앙처리장치(CPU) 쿨러가 65W TDP에 맞춘 제품이라면 이를 105W cTDP에 맞는 제품으로 교체할 필요는 있다고 덧붙였다.
AMD는 라이젠 7 9700X 제품에서 65W TDP와 105W cTDP 설정 사이의 성능 차이를 ‘최대 10%’ 정도로 제시했다. 이 TDP 설정 변화로 인한 성능 차이는 멀티코어 활용도가 높은 연산 집약적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난다.
한편, AMD의 데스크톱용 라이젠 프로세서 제품군 중 ‘X’ 시리즈 제품군은 전통적으로 95~105W TDP를 사용해 온 바 있다. 이전 세대에서도 105W TDP가 공식 사양이었다. 이에 이번 세대 제품이 X 시리즈이면서도 65W TDP 사양이었던 점은 초기 가격 정책 측면과 함께 논란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번 변경으로 논란의 근본 원인이 사라지게 된 셈이 됐다.
![2개 CCD 사용 모델의 지연시간 문제도 이번 업데이트로 해결했다. / AMD](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0/CP-2023-0274/image-08fc7164-6870-4818-b83a-6dff631ace8c.jpeg)
2개 CCD 사용 모델의 ‘지연시간’ 문제도 완화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라이젠 9000 시리즈 발표 초기에 제기됐던 ‘코어간 지연시간’ 문제에 대한 최적화도 적용됐다. AMD의 ‘라이젠 9’ 모델은 두 개의 CCD(Core Complex Dies)로 구성되고 서로 분리된 CCD간의 통신은 CCD 내부간 통신보다 느리기 때문에 특정 상황에서는 예상보다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기존에 제기된 문제는 이런 구조적 특성을 감안하더라도 예상 이상으로 성능에 영향을 크게 주는 부분이었다.
AMD는 이에 대해 “제기된 문제는 서로 다른 CCD에 할당된 작업들에서 동시에 읽기, 쓰기와 정보 공유가 일어나게 되는 드문 상황에서 나타났다”며 “최적화를 통해 이러한 상황의 트랜잭션 수를 절반 가량으로 줄이고 이 부분이 멀티 CCD 탑재 프로세서에서 코어간 지연시간을 줄이는 효과로 돌아왔다”고 설명했다. ‘스타필드(Starfield)’나 ‘보더랜드 3(Borderlands 3)’ 등의 일부 게임들에서 이에 따른 성능 향상이 나타난다고도 덧붙였다.
한편, 라이젠 9000 시리즈 발표 당시의 성능 문제 중에는 윈도 운영체제 수준에서의 최적화 문제도 제기된 바 있다. ‘젠 5’ 아키텍처 기반 프로세서에서 분기예측 정확도 문제를 개선한 윈도11 업데이트는 이미 23H2, 24H2의 8월 선택적 업데이트로 제공된 바 있다. 9월 정기 업데이트에서도 모든 사용자들에 배포된 상태다. 이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성능 향상도 제법 있다. ‘젠 5’ 뿐만 아니라 기존 ‘젠 4’ 사용자들에도 성능 향상이 나타났다고 전해졌다.
한편, 이번 AGESA PI 1.2.0.2 버전은 메인보드 제조사의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통해 적용받을 수 있다. 적용 시기는 제조사마다 다를 수 있다. 이미 일부 메인보드 제조사들은 최신 버전의 AGESA가 적용된 업데이트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적용 대상 메인보드는 라이젠 9000 시리즈 프로세서를 사용할 수 있는 ‘AM5’ 플랫폼 기반, ‘AMD 600 시리즈’ 이상의 칩셋을 탑재한 제품들이다.
권용만 기자 yongman.kwon@chosunbiz.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