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이동훈 SK바이오팜 사장 “2027년 글로벌 방사성치료제 리더 될 것”

IT조선 조회수  

SK바이오팜이 미래먹거리 선점을 위한 차세대 모달리티(약물 전달체) 확보를 본격화한 가운데, 개발 난이도가 높은 방사성의약품(RPT)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향후 글로벌 선두주자가 되겠다는 포부를 공개했다.

SK바이오팜은 30일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RPT 사업관련 ‘애널리스트 컨퍼런스콜’을 개최했다.

이동훈 SK바이오팜 대표. / SK바이오팜
이동훈 SK바이오팜 대표. / SK바이오팜

RPT는 세포를 사멸시키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표적에 결합한 물질에 탑재 후, 미량을 체내에 투여하여 치료하는 혁신적인 항암 치료 신기술이다. 뛰어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분야지만 방사성 동위원소의 짧은 반감기, 원료의 안정적 확보가 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현재 SK바이오팜은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를 주력 상품으로 갖고 있다. 세노바메이트는 2019년 1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받은 뒤 2020년부터 제품명 ‘엑스코프리’로 미국에서 직접 판매하고 있다.

세노바메이트는 올해 상반기 SK바이오팜 누적 매출액(2480억원) 가운데 96.7%(2398억원)에 달한다. 이로 인해 SK바이오팜은 지속 성장을 위해 신규 신약 확보가 필수인 시점이다.

이에 SK바이오팜은 지난해 7월 새로운 중장기 성장전략 파이넨셜 스토리(Financial Story)를 발표하며 3대 차세대 모달리티로 ▲표적단백질분해치료제(TPD) ▲RPT ▲세포치료제(CGT)를 제시한 바 있다.

이중 항암효과가 뛰어나지만 원료 확보가 까다로운 RPT 치료제 시장을 빠르게 선점해 ‘빅 바이오텍(Big Biotech)’으로 도약하겠다는 전략이다. 빅 바이오텍이란 높은 현금창출력을 기반으로 활발한 비유기적 성장(Inorganic Growth)을 통해 혁신 기술을 도입하고 지속적으로 신약을 개발하는 기업을 뜻한다.

최은정 SK바이오팜 사업개발 본부장은 “RPT는 표적·면역 항암제, 세포치료제 등 차세대 항암제로 거론되고 있는 모달리티로, 글로벌 빅파마들이 미래먹거리로 점찍고 투자를 늘리고 있다”며 “RPT는 암 조직을 정밀 타겟해 부작용이 낮고 치료효과를 높이는 신기술로, 개발에 성공한다면 막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고 설명했다.

실제 대표 RPT 체료제 ‘플루빅토’는 출시 1년만에 막대한 성장을 기록하기도 했다. 노바티스가 개발한 플루빅토는 2022년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승인받았다. 지난해 플루빅토는 9억8000만달러(1조3400억원)에 달하는 글로벌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261% 성장했다.

최 본부장은 “RPT 시장은 반해 원료 확보가 매우 까다롭고 취급 허가를 받기도 힘들어 진입 장벽이 높다”며 “SK바이오팜은 원료 공급망 프로세스를 빠르게 구축해 추후 RPT 시장 규모가 확대될 때 후발 주자들을 따돌릴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SK바이오팜은 올해 RPT 관련 계약 2건을 체결했다. 우선 지난 7월 홍콩 풀라이프테크놀로지로부터 RPT 후보물질 ‘FL-091’의 글로벌 개발과 판매권리를 도입했다.

개발이 진척됨에 따라 지급하는 마일스톤(단계별 기술료)을 포함한 총 계약금액은 5억 7150만 달러(7800억원)에 달한다. FL-091은 영국계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의 자회사 퓨전파마슈티컬스의 경쟁약물인 ‘FPI-2059’보다 동일한 용량 기준으로 뛰어난 항암효과를 나타냈다.

최 본부장은 “FL-091가 경쟁사의 약물보다 우수한 항암효과를 낸 이유는 NTSR1과 높은 결합 친화성이 꼽힌다”며 “현재 두 RPT 치료제는 모두 악티늄-225이라는 방사성동위원소를 사용하고 있다. 악티늄-225는 플루빅토에 쓰이는 루테튬-177보다 질량이 크고 에너지가 센 알파입자를 방출한다”고 밝혔다.

이후 SK바이오팜은 악티늄-225 확보를 위해 8월 28일 미국 테라파워(TerraPower) 자회사 테라파워 아이소토프스로부터 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인 악티늄-225 공급받는 계약을 체결했다.

SK바이오팜이 공개한 RTP 시장 진입 로드맵. / SK바이오팜
SK바이오팜이 공개한 RTP 시장 진입 로드맵. / SK바이오팜

테라파워는 빌게이츠가 설립한 차세대 소형모듈원전 설계 및 방사선 치료제 원료 물질 생산 기업이다. 해당 회사는 노바티스, 릴리 등 글로벌 제약사에 방사성 동위원소를 공급하고 있다.

나아가 SK바이오팜은 테라파워에 약 3000억원의 지분 투자를 단행해 아시아 4개국 독점 공급 협상권도 확보했다.

Ac-225는 알파선을 방출하는 방사성동위원소로서 전립선암, 대장암, 췌장암 등을 치료하는 방사성의약품에 사용된다. SK바이오팜은 해당 공급계약과 연구개발 계획에 맞춰 10월 중 Ac-225 초도 물량을 확보할 예정이다.

SK바이오팜은 이번 계약을 통해 확보한 Ac-225를 기반으로, 향후 RPT 분야의 사업 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추가적인 파트너십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 검증된 고순도 Ac-225를 확보함에 따라, 비교적 초기 단계인 RPT 분야에서 방사성의약품 개발을 선도하겠다는 전략이다.

마지막으로 이동훈 SK바이오팜 사장은 “엑스코프리 매출은 성장단계에 진입했고, 3분기 연속 흑자를 실현하고 있다”며 “이제 미래 파이프라인 사전 선정과 집중 투자가 중요한 시점으로, SK바이오팜은 RPT를 비롯해 TPD, CGT 등에 장기적 선제 투자를 기획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3년 후 RPT 임상 물질 두 종류 이상, 전임상 단계 물질을 다수 확보해 탄탄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예정”이라며 “2027년까지 글로벌 RPT 선두가 돼 빅 바이오텍으로 올라서겠다”고 말했다.

김동명 기자 simalo@chosunbiz.com

IT조선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차·테크] 랭킹 뉴스

  • “오공이 끝이 아니다”… ‘트리플A’ 대작 쏟아내며 K-게임 위협하는 中
  • "한국에서 라이브 강제 종료?" 틱톡(TikTok), 과도한 규제로 창작 활동 위축 우려
  • 대형 TV 수요에 패널 가격 계속 오른다… “트럼프 관세 영향 미미”
  • “토요타·벤츠도 못 막았다”.. 경쟁 브랜드 고객 74%를 빼앗은 국산차, 대체 뭐길래?
  • “AI로 웹툰 불법유통 지능화…사이버범죄 체계로 대응해야”
  • ‘무쏘 EV’ 본격 판매… 10년에 100만km 보장

[차·테크] 공감 뉴스

  • “AI로 웹툰 불법유통 지능화…사이버범죄 체계로 대응해야”
  • 크래프톤 '블라인드스팟', 실내서 펼치는 CQB의 묘미... 배그 바통 이을까
  • [미리보는 MWC25]〈2〉텔코에서 테크코로 진화…AI 혁신 이끄는 통신사
  • “쏘나타 압도한다”.. 달라진 디자인으로 깜짝 공개된 신형 세단
  • “역대급 효자, 42만 대 팔렸다” … 2030 사로잡은 소형 SUV의 ‘정체’
  • 통신 3사 수장 사상 첫 MWC 총집결, 글로벌 민간 AI 외교전 승자는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람보르기니보다 빠른 아우디?” 640마력 RS Q8 퍼포먼스로 판매 부진 이겨낼까?
  • “사자마자 구형된 내 차” 싸서 샀더니 뒤통수 맞는 중국차 근황
  • “전기 VS 디젤 픽업” 무쏘 EV와 타스만, 국내 픽업 트럭 강자가 될 자는 누구인가?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 “이건 진짜 선 넘었지” 4기통에 1억 5천 받는 벤츠 오픈카
  • “월 50만원에 5시리즈 오너된다!” 국산차만큼 저렴해진 수입차 근황
  • “코란도가 이렇게 나와야지” 아빠들 지갑 싹 털릴 터프한 SUV 공개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김수현, ’굿데이’ 예능감 하드캐리…지드래곤 첫인상 투표 1위

    연예 

  • 2
    '팬 폭행 방관' 제시, 3개월만 SNS 재개 "에너지를 줘서 감사해요"

    연예 

  • 3
    “한국이 대만에 패한 건 비극 아니다” 대만의 자아도취…현실은 스페인·니카라과에 완패 ‘WBC행 불발 위기’[MD타이난]

    스포츠 

  • 4
    "작년에 잘했으니, 올해 더 보여줘야지" 22살 165cm 내야수의 다짐…부상만 없다면, 3할타자&도루왕에 도전한다

    스포츠 

  • 5
    아스널 떠난 22살 MF “내가 하이힐 신어서 팀에 해 끼친게 뭐 있냐”항변…18살 때 성인팀 데뷔→‘독특한 패션 통해 자신 표현’→동료들‘색안경’→결국 이적

    스포츠 

[차·테크] 인기 뉴스

  • “오공이 끝이 아니다”… ‘트리플A’ 대작 쏟아내며 K-게임 위협하는 中
  • "한국에서 라이브 강제 종료?" 틱톡(TikTok), 과도한 규제로 창작 활동 위축 우려
  • 대형 TV 수요에 패널 가격 계속 오른다… “트럼프 관세 영향 미미”
  • “토요타·벤츠도 못 막았다”.. 경쟁 브랜드 고객 74%를 빼앗은 국산차, 대체 뭐길래?
  • “AI로 웹툰 불법유통 지능화…사이버범죄 체계로 대응해야”
  • ‘무쏘 EV’ 본격 판매… 10년에 100만km 보장

지금 뜨는 뉴스

  • 1
    부장님·사장님 다 모이겠네…여의도 한복판에 '이것' 생긴다

    뉴스 

  • 2
    손흥민 어시스트 받고 멀티골…브레넌 존슨 "항상 믿음 가지고 있었다"

    스포츠 

  • 3
    구래동삼겹살 맛있는 인생화로

    여행맛집 

  • 4
    트럼프 통상 압박에도… 공정위, 美 온라인 플랫폼 제재 ‘원칙대로 간다’

    뉴스 

  • 5
    "XX 많이 해보라" 종로 부구청장의 성희롱, 피해자는 4년째 싸우고 있다

    뉴스 

[차·테크] 추천 뉴스

  • “AI로 웹툰 불법유통 지능화…사이버범죄 체계로 대응해야”
  • 크래프톤 '블라인드스팟', 실내서 펼치는 CQB의 묘미... 배그 바통 이을까
  • [미리보는 MWC25]〈2〉텔코에서 테크코로 진화…AI 혁신 이끄는 통신사
  • “쏘나타 압도한다”.. 달라진 디자인으로 깜짝 공개된 신형 세단
  • “역대급 효자, 42만 대 팔렸다” … 2030 사로잡은 소형 SUV의 ‘정체’
  • 통신 3사 수장 사상 첫 MWC 총집결, 글로벌 민간 AI 외교전 승자는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람보르기니보다 빠른 아우디?” 640마력 RS Q8 퍼포먼스로 판매 부진 이겨낼까?
  • “사자마자 구형된 내 차” 싸서 샀더니 뒤통수 맞는 중국차 근황
  • “전기 VS 디젤 픽업” 무쏘 EV와 타스만, 국내 픽업 트럭 강자가 될 자는 누구인가?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 “이건 진짜 선 넘었지” 4기통에 1억 5천 받는 벤츠 오픈카
  • “월 50만원에 5시리즈 오너된다!” 국산차만큼 저렴해진 수입차 근황
  • “코란도가 이렇게 나와야지” 아빠들 지갑 싹 털릴 터프한 SUV 공개

추천 뉴스

  • 1
    김수현, ’굿데이’ 예능감 하드캐리…지드래곤 첫인상 투표 1위

    연예 

  • 2
    '팬 폭행 방관' 제시, 3개월만 SNS 재개 "에너지를 줘서 감사해요"

    연예 

  • 3
    “한국이 대만에 패한 건 비극 아니다” 대만의 자아도취…현실은 스페인·니카라과에 완패 ‘WBC행 불발 위기’[MD타이난]

    스포츠 

  • 4
    "작년에 잘했으니, 올해 더 보여줘야지" 22살 165cm 내야수의 다짐…부상만 없다면, 3할타자&도루왕에 도전한다

    스포츠 

  • 5
    아스널 떠난 22살 MF “내가 하이힐 신어서 팀에 해 끼친게 뭐 있냐”항변…18살 때 성인팀 데뷔→‘독특한 패션 통해 자신 표현’→동료들‘색안경’→결국 이적

    스포츠 

지금 뜨는 뉴스

  • 1
    부장님·사장님 다 모이겠네…여의도 한복판에 '이것' 생긴다

    뉴스 

  • 2
    손흥민 어시스트 받고 멀티골…브레넌 존슨 "항상 믿음 가지고 있었다"

    스포츠 

  • 3
    구래동삼겹살 맛있는 인생화로

    여행맛집 

  • 4
    트럼프 통상 압박에도… 공정위, 美 온라인 플랫폼 제재 ‘원칙대로 간다’

    뉴스 

  • 5
    "XX 많이 해보라" 종로 부구청장의 성희롱, 피해자는 4년째 싸우고 있다

    뉴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