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기차 제조사에 배터리 정보 공개 권고
최근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고에 대한 대응 방안
![전기차](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8/CP-2023-0225/image-975c32e4-c355-4bad-a69b-0f1a830c6ea8.jpeg)
정부가 최근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고와 관련해 소비자들의 안전 우려를 해소하고 전기차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국내 모든 전기차 제조사들에게 배터리 정보를 자발적으로 공개할 것을 권고하기로 했다.
이 같은 조치는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배터리에 대한 투명성을 높이고, 소비자들이 전기차 선택 시 안전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방침으로 해석된다.
현대차를 시작으로 배터리 정보 공개 시작한 전기차 제조사들
![전기차 (2)](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8/CP-2023-0225/image-2bb69c5b-3ccc-4e36-9854-2c101feeb183.jpeg)
13일, 정부는 정부서울청사에서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관계 부처 차관급 회의를 열고, 모든 전기차 제조사에 배터리 정보를 자발적으로 공개하도록 권고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회의에서 정부는 전기차 배터리 및 충전시설의 안전성 강화,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응 시스템 구축, 주차시설에 대한 다양한 안전 강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정부의 이 같은 조치는 지난 6월 배터리 공장에서 발생한 대규모 화재와 최근 인천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로 인해 수백 명의 주민들이 대피하는 사태 등, 최근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고에 대한 대응으로 풀이된다.
![전기차 (3)](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8/CP-2023-0225/image-618bb8e4-9898-432b-8d2b-8ffaad95f89b.jpeg)
실제로 제조사들은 최근 자사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제조사 정보를 자발적으로 공개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국내 업체 중 현대차가 지난 10일 처음으로 배터리 정보를 공개한 데 이어, 기아차, KG모빌리티, 르노 등이 뒤따라 공개했다.
이어, 수입차 브랜드 중에서도 BMW코리아,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볼보, 폴스타 등이 자사 웹사이트와 유선 안내 등을 통해 배터리 정보를 공개했다.
배터리 제조사 정보가 공개되면 소비자들이 보다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전기차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고 신뢰를 회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기차 (4)](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8/CP-2023-0225/image-dda21131-997b-4851-bd92-a0fa1353f548.jpeg)
한편, 이번 배터리 정보 공개 권고는 비단 국내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 전기차 업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다른 국가들도 한국의 사례를 참고해 배터리 투명성 강화를 위한 정책을 마련할 가능성이 크며, 이는 배터리 제조업체들에게도 안전성과 혁신을 더욱 중요하게 고려하게 만드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