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기차 제조사에 배터리 정보 공개 권고
최근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고에 대한 대응 방안

정부가 최근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고와 관련해 소비자들의 안전 우려를 해소하고 전기차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국내 모든 전기차 제조사들에게 배터리 정보를 자발적으로 공개할 것을 권고하기로 했다.
이 같은 조치는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배터리에 대한 투명성을 높이고, 소비자들이 전기차 선택 시 안전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방침으로 해석된다.
현대차를 시작으로 배터리 정보 공개 시작한 전기차 제조사들

13일, 정부는 정부서울청사에서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관계 부처 차관급 회의를 열고, 모든 전기차 제조사에 배터리 정보를 자발적으로 공개하도록 권고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회의에서 정부는 전기차 배터리 및 충전시설의 안전성 강화,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응 시스템 구축, 주차시설에 대한 다양한 안전 강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정부의 이 같은 조치는 지난 6월 배터리 공장에서 발생한 대규모 화재와 최근 인천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로 인해 수백 명의 주민들이 대피하는 사태 등, 최근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고에 대한 대응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제조사들은 최근 자사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제조사 정보를 자발적으로 공개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국내 업체 중 현대차가 지난 10일 처음으로 배터리 정보를 공개한 데 이어, 기아차, KG모빌리티, 르노 등이 뒤따라 공개했다.
이어, 수입차 브랜드 중에서도 BMW코리아,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볼보, 폴스타 등이 자사 웹사이트와 유선 안내 등을 통해 배터리 정보를 공개했다.
배터리 제조사 정보가 공개되면 소비자들이 보다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전기차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고 신뢰를 회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이번 배터리 정보 공개 권고는 비단 국내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 전기차 업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다른 국가들도 한국의 사례를 참고해 배터리 투명성 강화를 위한 정책을 마련할 가능성이 크며, 이는 배터리 제조업체들에게도 안전성과 혁신을 더욱 중요하게 고려하게 만드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