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년 만의 폭우가 지난 16일 새벽 전남 해남군을 강타하며, 주택·상가 침수와 토사 유실 등 피해가 잇따랐다. 좁은 강수대가 국소 지역에 집중 폭우를 쏟아붓으며 인명·재산 피해가 속출했다. 지난 주말인 20일 새벽 또 다시 호남지역에 게릴라성 폭우가 내려, 시간당 강수량이 전남 곡성 77㎜, 전북 김제 75㎜를 기록했다.
북상한 장마가 동반한 극한의 집중호우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국을 강타했다. 정부는 지난 15일 전북 완주, 충북 영동 등 5개 지방자치단체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한 데 이어, 추가 지역 선포를 위한 피해 조사를 진행 중이다.
최근 수년간 100~200년 빈도의 큰 강수량이 수시로 전국 곳곳에 나타나고 있다. 2022년에는 중부지방에 80년 만의 폭우가 쏟아져 내리면서 서울 도심은 물바다가 됐다. 시간당 141㎜ 비가 쏟아지며 신도림 반지하 주택 침수로 주민이 사망했다. 불과 열흘 남짓 시간당 80㎜ 이상의 극한 호우가 30차례 관측됐다. 지난해에는 100년 빈도 홍수 높이보다 1m 높았던 충북 청주 미호천 임시 제방이 붕괴돼 오송 궁평 지하차도 참사를 촉발했다. 올해도 지난 10일 전북 군산시 어청도에서 시간당 146㎜ 비가 쏟아지는 등 상황은 더 악화하고 있다.
극한 호우가 급증하는 가장 큰 원인은 기후변화다. 지구 표면 온도가 1.1도 상승함에 따라 세계적으로 극심한 폭우·폭염과 가뭄·홍수 재해가 빈번해지고 악화하고 있다. 홍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에 선제적으로 투자해 ‘국가 기후위기 적응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서울시를 제외한 지자체 하수처리 능력 기준은 50~80년 강수량에 맞춰져 있다. 홍수 방어 설계 기준부터 200년 빈도에 맞게 수정해야한다. 기후위기 시대에 맞게 수방대책 패러다임을 전환할 시점이다.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