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 선택 아닌 필수…日은 이미 도입률 93% 달성

IT조선 조회수  

지난 1일 시청역 인근에서 9명의 목숨을 앗아가고 7명이 다치는 교통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가해자는 급발진을 주장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는 상태다.

지난 1일 시청역 인근에서 9명이 사망하는 대형 교통사고가 발생했다. / 독자제공
지난 1일 시청역 인근에서 9명이 사망하는 대형 교통사고가 발생했다. / 독자제공

급발진 주장 사고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지난해에도 전기 택시가 담벼락을 들이받는 사고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당시 운전자도 급발진을 주장했었다. 브레이크 페달을 수차례 밟았지만 반응하지 않았다는 게 이유다.

이처럼 급발진 주장 사고가 늘고 있는 상황에서 차량 결함이 아닌 운전자 페달 오조작이었음을 증명하는 블랙박스 영상 자료가 처음 공개됐다.

유럽연합유엔경제위원회(UNECE) 주관 분과 회의에 참석한 한국교통안전공단의 발표 자료. 자료에 따르면 사고 운전자는 브레이크 페달이 아닌 가속 페달을 여러 차례 조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 UNECE
유럽연합유엔경제위원회(UNECE) 주관 분과 회의에 참석한 한국교통안전공단의 발표 자료. 자료에 따르면 사고 운전자는 브레이크 페달이 아닌 가속 페달을 여러 차례 조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 UNECE

지난 2월 유럽연합유엔경제위원회(UNECE) 주관 분과 회의에 참석한 한국교통안전공단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운전자의 주장과 달리 3초 동안 30미터(m)를 주행하는 동안 가속 페달을 여섯 차례나 반복해 밟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다는 주장을 반증하는 것이다.

페달 오조작으로 인한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에서 의무화하고 있는 ‘ACPE(Acceleration Control for Pedal Error)’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ACPE는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를 뜻한다.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의 상용화를 처음 시작한 국가는 일본이다. 일본은 지난 2012년 노인 운전자가 일으킨 사고로 인해 많은 사상자가 발생한 바 있다. 이와 같은 사고를 막기 위해 ACPE를 도입하게 됐고 현재 일본에 판매되는 차량 93%에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가 장착되고 있다.

해당 장치의 효과는 컸다. 2012년부터 10년간 페달 오조작으로 인한 사고와 사상자 수가 절반 이하로 준 것이다. 이에 일본은 UNECE에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 장착 의무화에 대한 논의를 요청했다.

UNECE는 이를 받아들였다. 세계 각국에서 페달 오조작으로 인한 심각한 사고가 끊이질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율주행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UNECE 내 ACPE 분과는 해당 사안에 대해 7차례 논의를 진행한 상태다.

UNECE는 내년 발효를 목표로 ACPE 관련 법안을 제정중이며 신차 안전도 평가를 진행하는 ‘유로 앤캡(EURO NCAP)’은 ‘제이 앤캡(J NCAP)’의 기준을 바탕으로 2026년부터 해당 기능의 안전도 평가 항목을 신설해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지난 6월 21일 ‘페달 오조작 방지 기술 및 국제동향’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지난 6월 21일 ‘페달 오조작 방지 기술 및 국제동향’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 역시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 도입에 시동을 걸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지난 6월 21일 ‘페달 오조작 방지 기술 및 국제동향’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 바 있다. 이 세미나는 지난 6월 19일부터 3일간 서울에서 자동차 국제기준제정기구(UN WP29) 산하 페달 오조작 전문가기술그룹 회의와 연계해 110여명의 국내·외 제작사 및 해외 전문가가 참석해 국제동향 및 기술을 발표하고 질의 응답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또 토요타 자동차 소속 페달 오조작 기술 전문가인 타쿠야 카미나데(Takuya Kaminade)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의 사고 예방 효과를 소개하기도 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지난해 12월부터 페달 오조작 방지 및 평가 기술 개발 기획 연구에 착수했으며 올해 8월말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당시 세미나에서 권용복 한국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은 “자동차 안전 관련 국민의 다양한 요구사항에 대처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 등 공공-민간 간의 협업이 필요하다”며 “이를 통해 국민 불안 해소를 위한 우수 안전기술이 선제적으로 도입될 수 있도록 앞장서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한국이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 도입에 미지근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는 의견이 일고 있다.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이미 일본은 해당 기능을 도입한 지 10년 이상이 흘렀고 이에 따른 효과가 명확히 드러나고 있다”며 “반면 한국은 점차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고 지속해서 페달 오조작 사고로 인한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장치 도입을 위한 준비가 미흡한 상태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에서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가 탑재된 모델은 현대자동차가 최근 출시한 캐스퍼 일렉트릭이 유일하다.

허인학 기자 ih.heo@chosunbiz.com

IT조선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차·테크] 랭킹 뉴스

  • “오공이 끝이 아니다”… ‘트리플A’ 대작 쏟아내며 K-게임 위협하는 中
  • "한국에서 라이브 강제 종료?" 틱톡(TikTok), 과도한 규제로 창작 활동 위축 우려
  • “토요타·벤츠도 못 막았다”.. 경쟁 브랜드 고객 74%를 빼앗은 국산차, 대체 뭐길래?
  • 대형 TV 수요에 패널 가격 계속 오른다… “트럼프 관세 영향 미미”
  • 피부 속 혈류량까지 파악해 高퀄리티 영상 구현…의료 분야 활용도 기대
  • ‘무쏘 EV’ 본격 판매… 10년에 100만km 보장

[차·테크] 공감 뉴스

  • “AI로 웹툰 불법유통 지능화…사이버범죄 체계로 대응해야”
  • 크래프톤 '블라인드스팟', 실내서 펼치는 CQB의 묘미... 배그 바통 이을까
  • [미리보는 MWC25]〈2〉텔코에서 테크코로 진화…AI 혁신 이끄는 통신사
  • “쏘나타 압도한다”.. 달라진 디자인으로 깜짝 공개된 신형 세단
  • “역대급 효자, 42만 대 팔렸다” … 2030 사로잡은 소형 SUV의 ‘정체’
  • 통신 3사 수장 사상 첫 MWC 총집결, 글로벌 민간 AI 외교전 승자는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람보르기니보다 빠른 아우디?” 640마력 RS Q8 퍼포먼스로 판매 부진 이겨낼까?
  • “사자마자 구형된 내 차” 싸서 샀더니 뒤통수 맞는 중국차 근황
  • “전기 VS 디젤 픽업” 무쏘 EV와 타스만, 국내 픽업 트럭 강자가 될 자는 누구인가?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 “이건 진짜 선 넘었지” 4기통에 1억 5천 받는 벤츠 오픈카
  • “월 50만원에 5시리즈 오너된다!” 국산차만큼 저렴해진 수입차 근황
  • “코란도가 이렇게 나와야지” 아빠들 지갑 싹 털릴 터프한 SUV 공개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NJZ(뉴진스) 다니엘, 머리에 꽃 달고 비키니 입은 모습…깜짝 놀랄 자태

    연예 

  • 2
    '70-70 달성' 손흥민 영입은 EPL 판도 흔드는 이적…'맨유 약점 보완 가능'

    스포츠 

  • 3
    꼴찌팀 시즌 최다 득점 선수는 외롭다 '나도 쌍포, 삼격 편대를 원해' [한혁승의 포톡]

    스포츠 

  • 4
    "원래 제가 긴장하는 편이 아닌데"...'신인' 배진우, 데뷔전부터 풀타임 활약→'부담감' 떨쳐냈다! [MD목동]

    스포츠 

  • 5
    엄마는 96세, 세 자매는 73세, 69세, 63세 ...“아버지의 사랑까지 드리고 싶었어요”

    뉴스 

[차·테크] 인기 뉴스

  • “오공이 끝이 아니다”… ‘트리플A’ 대작 쏟아내며 K-게임 위협하는 中
  • "한국에서 라이브 강제 종료?" 틱톡(TikTok), 과도한 규제로 창작 활동 위축 우려
  • “토요타·벤츠도 못 막았다”.. 경쟁 브랜드 고객 74%를 빼앗은 국산차, 대체 뭐길래?
  • 대형 TV 수요에 패널 가격 계속 오른다… “트럼프 관세 영향 미미”
  • 피부 속 혈류량까지 파악해 高퀄리티 영상 구현…의료 분야 활용도 기대
  • ‘무쏘 EV’ 본격 판매… 10년에 100만km 보장

지금 뜨는 뉴스

  • 1
    25일 윤 대통령 최종 변론…조선일보 “헌재 결론에 승복 약속해야”

    뉴스 

  • 2
    “3월 재개장으로 돌아온다”… 최고 휴양지로 각광 받는 대표 힐링 명소

    여행맛집 

  • 3
    이준석, 이재명 겨냥 “운전이든 정치든 이렇게 하면 사고 난다” (전문)

    뉴스 

  • 4
    태국 치앙마이 여행 도이인타논 끼우매판 트래킹

    여행맛집 

  • 5
    '36세 빙속' 이승훈, 7년만에 월드컵 금메달..."끝나지 않은 도전"

    스포츠 

[차·테크] 추천 뉴스

  • “AI로 웹툰 불법유통 지능화…사이버범죄 체계로 대응해야”
  • 크래프톤 '블라인드스팟', 실내서 펼치는 CQB의 묘미... 배그 바통 이을까
  • [미리보는 MWC25]〈2〉텔코에서 테크코로 진화…AI 혁신 이끄는 통신사
  • “쏘나타 압도한다”.. 달라진 디자인으로 깜짝 공개된 신형 세단
  • “역대급 효자, 42만 대 팔렸다” … 2030 사로잡은 소형 SUV의 ‘정체’
  • 통신 3사 수장 사상 첫 MWC 총집결, 글로벌 민간 AI 외교전 승자는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람보르기니보다 빠른 아우디?” 640마력 RS Q8 퍼포먼스로 판매 부진 이겨낼까?
  • “사자마자 구형된 내 차” 싸서 샀더니 뒤통수 맞는 중국차 근황
  • “전기 VS 디젤 픽업” 무쏘 EV와 타스만, 국내 픽업 트럭 강자가 될 자는 누구인가?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 “이건 진짜 선 넘었지” 4기통에 1억 5천 받는 벤츠 오픈카
  • “월 50만원에 5시리즈 오너된다!” 국산차만큼 저렴해진 수입차 근황
  • “코란도가 이렇게 나와야지” 아빠들 지갑 싹 털릴 터프한 SUV 공개

추천 뉴스

  • 1
    NJZ(뉴진스) 다니엘, 머리에 꽃 달고 비키니 입은 모습…깜짝 놀랄 자태

    연예 

  • 2
    '70-70 달성' 손흥민 영입은 EPL 판도 흔드는 이적…'맨유 약점 보완 가능'

    스포츠 

  • 3
    꼴찌팀 시즌 최다 득점 선수는 외롭다 '나도 쌍포, 삼격 편대를 원해' [한혁승의 포톡]

    스포츠 

  • 4
    "원래 제가 긴장하는 편이 아닌데"...'신인' 배진우, 데뷔전부터 풀타임 활약→'부담감' 떨쳐냈다! [MD목동]

    스포츠 

  • 5
    엄마는 96세, 세 자매는 73세, 69세, 63세 ...“아버지의 사랑까지 드리고 싶었어요”

    뉴스 

지금 뜨는 뉴스

  • 1
    25일 윤 대통령 최종 변론…조선일보 “헌재 결론에 승복 약속해야”

    뉴스 

  • 2
    “3월 재개장으로 돌아온다”… 최고 휴양지로 각광 받는 대표 힐링 명소

    여행맛집 

  • 3
    이준석, 이재명 겨냥 “운전이든 정치든 이렇게 하면 사고 난다” (전문)

    뉴스 

  • 4
    태국 치앙마이 여행 도이인타논 끼우매판 트래킹

    여행맛집 

  • 5
    '36세 빙속' 이승훈, 7년만에 월드컵 금메달..."끝나지 않은 도전"

    스포츠 

공유하기